관행(慣行)은 사회에서 예전부터 해 오던 대로 하는 행위를 말한다. 그러나 관행은 그것이 옳고 그름을 가르는 기준이 아니라는데 문제가 있다. 좋은 관행은 미덕으로 지켜져야 하지만 잘못된 관행은 바로 잡아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현재 우리 사회는 곳곳에서 잘못된 관행이 판을 치면서 각종 파열음을 내고 있다.
조선업계가 잘못된 관행속에서 곪아 국내 경제가 현재 휘청거리고 있고 사회 전반적으로 연(緣)줄이라는 낡은 관행속에 사회정의가 비틀거리고 있는 게 현실이다. ‘잘못된 관행을 퇴출시키겠다’고 정치지도자들이 목청을 높이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하지만 뿌리가 깊어 쉽게 사라지지 않는 게 관행이다.
다음달초 군산시의회 후반기 원구성을 앞두고 잘못된 관행이 고개를 들고 있다.
의장·부의장·상임위원장선거가 선거권자인 의원들의 양심에 따라 이뤄져야 하지만 외부 입김에 의한 내정설이 파다하기 때문이다. 무엇에 근거해 내정됐는지 시민들은 명확히 알 수 없다.
의장단은 7월 4일, 상임위원장 선거는 7월 5일 치러질 예정이지만 이같은 내정설로는 선거는 짜고 치는 게임에 불과하다. 특히 국민의 당 15명, 더불어 민주당 6명, 무소속 2명, 새누리당 1명으로 구성된 군산시의회의 의장단 선거에서 다수당인 국민의 당 소속의원들만 뭉치면 의장단을 석권할 수 있다.
의장단 선거와 관련, 다선 의원들은 향후 정치적 발판을 다지기 위해 도전장을 내밀고 있고 지역 국회의원은 정치적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 영향력을 행사하는 게 과거의 관행이다.
그러나 의장단은 본회의에서 의원들에 의해 선출되도록 돼 있기 때문에 시의원들의 양심에 따라 선거가 치러져야 한다. 지방의회에는 예산의 심의확정, 행정사무감사와 조사권한 등 막강한 권한이 부여돼 있어 의장단 선거는 무엇보다 중요하다. 의장단이 누가 선출되느냐에 따라 군산시의 발전이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의장단 선거가 정략적으로 이용돼서도 안되고 다선의원들의 이해관계에 따라 춤을 추어서도 안되는 이유다.
낡은 관행에 따른 사전조율로 다선의원을 배려한 의장단선거는 그동안 지방의회가 제역할을 다해오지 못한 점을 고려할 때 개선돼야 할 사항이다.
시의원은 공공의 이익을 우선하여 양심에 따라 그 직무를 성실히 수행해야 할 의무가 있는 만큼 시의원들 스스로의 양심에 의거, 후보등록도 하고 선출되도록 하는 게 마땅하다.
의장단 선거의 관행을 파괴하라고 주문하고 싶다.
지역발전을 위한 사명감을 도외시하고 주어진 권한이나 주물럭거릴 요량이면 의장단 선거에 고개도 내밀어서는 안된다. 시의원에게 가장 중요한 덕목은 ‘책임’의 윤리의식이다. 시민들이 시발전을 위한 권한을 부여한 만큼 권한에 따르는 책임을 다해야 하기 때문이다.
시의회 의정 활동의 경륜만을 따지면서 책임윤리의식이 희박한 시의원이 의장단에 선출돼서는 안된다.
초선, 재선, 다선 등에 상관없이 사심을 버리고 책임을 통감하면서 역할을 다하는 시의원이 의장단에 선출돼야 한다.
이번 군산시의회 의장단 선거에서는 관행을 파괴하는 파격적인 모습을 보고 싶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