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경쟁력 유지·발전시키기 위해
위의 원리를 인간사회에 한정해 이야기하면, 그것이 개인이든 기업이든 또는 국가이든 동일하다. 우리는 역사에서 수많은 국가의 생성과 멸망을 배웠으며, 경제시장에서 많은 기업의 명멸을 보아왔다. 흔히 말하는 1,000년 로마제국(Pax Romana)의 쇠망원인을 지배계급의 사치와 부패, 그리고 무사안일의 자만심으로 변화에 적응치 못한 결과 국가 경쟁력을 상실한데서 찾는다.
IMF시대에 많은 대기업들이 이른바 ‘대마불사론’을 신봉하며 무사안일의 방만경영으로 시장경쟁력을 상실한 결과가 어떠했는지 우리는 경험했다. 이 문제를 기업경영으로 좁혀서 이야기해 보자. 기업의 목표는 이익추구이고, 기업은 이익을 창출해 투자자에게 이익을 배분하고, 그 기업 구성원들의 윤택한 생활을 이어가게 하는 살아있는 생명체이다. 이익창출은 상품(서비스 포함)을 더 많이 판매하고, 원가를 더 많이 낮추어가는 과정의 연속이며 이것이 곧 기업의 경쟁력이다. 원리가 이러할진대 경영자가 해야 할 과제는 자명하다. 상품의 부단한 품질향상과 시장개척이 그 하나이고, 다음은 시장(수요) 변화에 따른 미래 상품개발을 위한 기술혁신(Innovation)과 인재육성, 그에 걸맞는 시스템 정비가 핵심이다. 여기에 더하여 업계 상호간 과잉품목의 재조정과 업종조정을 위한 빅딜(Big deal 또는 business swap)등이 필요하다. 한마디로 환경과 시대의 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몸부림이다.
인원감축과 잉여자산 정리 등은 이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파생되는 부수적인 문제이다. 다만 인원감축은 종업원들의 생활과 직결되는 문제이고, 특히 노동탄력성이 경직되어있는 우리나라의 경우 국가의 보완적 정책이 뒤따를 수밖에 없다. 여기까지 우리 모두가 알고 있는 어쩌면 상식에 속하는 이야기일 것이다.
문제는 기업의 구조조정은 기업이 부실화되거나 어려울 때 비로소 인원감축이나 자산정리 등을 대대적이고 일시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기업은 자신의 경쟁력을 유지·발전시키기 위해 상시적이고 선제적으로 구조조정을 수행하는 것이며, 그러한 기업만이 생존할 수 있고 생존하기 위해서는 그렇게 해야 한다는 당위이다. 그렇지 않고서 이 시대에 불어오는 제 4차 산업혁명에 어떻게 대처하겠는가? IMF 당시, 1970~80년대 우리 경제정책을 주도했던 남덕우 전 총리도 재임 중 선제적으로 구조조정 정책을 시행치 못한 것을 후회한다고 술회했다. 필자가 몸담고 있던 회사도 선제적 구조조정에 태만하다가 IMF 시기에 큰 어려움을 경험했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것은 해당 기업 CEO의 의지와 결단력, 그리고 자기희생이 따르는 공인정신이다. 유약한 CEO의 지식은 갑 속에 든 칼에 불과하다.
상시적이고 선제적으로 구조조정을
국가기밀을 요하거나 손익을 떠난 공공의 목적이 있는 특수한 전략산업을 제외한 공기업은 속히 민영화해야 한다는 담론의 이유도 여기에 있다. 비전문적인 낙하산 CEO가 주어진 자기 임기 단축의 희생을 감내하면서까지 선제적이고 지속적인 모험을 수행한다는 것은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