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6 06:37 (Thu)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오피니언 chevron_right 오목대
오피니언

[오목대] 아침을 먹는 사람들

image

우리나라 최초의 근린공원은 바로 서울 종로에 있는 탑골공원이다. 원각사지 10층 석탑이 있었기에  ‘파고다 공원’으로 불리기도 했다. 1919년 3월1일 만세운동이 일어난 독립운동의 상징적 장소다. IMF 외환위기를 즈음해서 주변 무료급식소를 찾아 점심 한끼를 해결하려는 노인들이 탑골공원으로 몰려들면서 이곳은 노인문화가 자리잡았다. 꼭 무료급식소가 아니더라도 탑골공원 주변엔 주머니 사정이 빠듯한 이들이 아침이나 점심을 때우는 저렴한 식당이 오랫동안 인기를 끌었다. 요즘 웬만한 식당에서 점심 한끼를 해결하려면 1만원이 훌쩍 넘는 경우가 많다. 비단 노인뿐만 아니라 젊은 청년들도 아침이나 점심 식대가 상당한 부담이라고 토로한다. 더욱이 시간에 쫒기는 청년들은 경제력 여하를 떠나서 아침을 굶는 일이 다반사였다. 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대의  53%가 아침식사를 거르고 있다고 한다. 오래전부터 이러한 문제의식에 착안해서 이곳저곳에서 간헐적으로 천원의 아침밥을 지원하기도 했는데, 4년전부터 전북대 총동창회에서 십시일반 뜻을 모아 본격적으로 '천원의 아침밥' 지원사업을  펼쳤다. 전북대 총동창회 정영택 전 회장과 최병선 현 회장이 적극 앞장서서 후원하면서 결실을 맺었다. 올해의 경우 3000만원을 후원해서 후배 학생들에게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전북대는 올해로 4년째 천원의 아침밥 사업을 이어오며 학생 복지와 지역 농업의 상생 모델을 정착시켰다. 전북대는 올해 총 120일간 3만명의 학생에게 아침식사를 제공한다.단돈 1천원으로 아침을 해결하게 되자 그동안 아침을 거르던 학생들도 줄을지어 식사를 하려고 몰려드는 진풍경이 연출됐다. 그런데 이게 예상밖으로 인기몰이를 하면서 이젠 전북대뿐 아니라 대한민국 상당수 대학으로 널리 확산됐다. 2023년에는 정부 사업으로 추진하면서 지금은 전국 2백여 개 대학으로 확산됐다. 급기야 일선 산업현장에서도 도입을 서두르고 있다. 아이디어 하나가 이처럼 식사 문화를 확 바꾼 것이다. 이젠 정부에서도 젊은 층의 조식 습관화와 쌀 소비 촉진에 나서고 있다. 지난 18일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전북대학교와 국가식품클러스터 산업단지를 방문했다. 송 장관은 '천원의 아침밥' 운영 현장을 둘러보고 학생들과 함께 식사하면서 다양한 의견을 나눴다. 정부는 '천 원의 아침밥'을 인구감소지역의 중소기업을 대상으로도 확대 추진할 계획이다. 사실 요즘엔 돈이 없어 밥을 굶는 경우는 많지않다. 하지만 저렴한 비용으로 제때 식사할 수 있다면 개인은 물론, 공동체의 행복을 위해서도 퍽 다행스런 일이다. 그런점에서 청년, 중년, 노년 할것없이 부담없이 한끼 식사를 해결할 수 있도록 중앙정부나 지방정부는 물론, 각 기관, 단체가 십시일반 뜻을 모았으면 한다. 식대가 1천원 짜리가 됐든, 10만원 짜리가 됐든 각자에겐 한끼 식사가 동일한 가치를 갖기 때문이다. 위병기 수석논설위원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천원의 아침밥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오피니언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