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축구 키우는 전주시, 연이은 경기장 공사에 시민들 '갸웃'
전주 월드컵경기장 일원에 드론축구스포츠복합센터 등 드론축구 인프라 활성화를 위해 경기장 확충 등이 추진되고 있다. 사진제공=전주시 전주 월드컵경기장내 '드론축구 상설경기장'이 최근 리모델링을 마치고 재개관을 준비하고 있는 가운데, 인근에 140억원대의 드론축구 관련 경기장이 새로 지어지면서 시민들이 고개를 갸웃하고 있다. 기존 드론 경기장을 두고 굳이 예산을 들여 추가로 짓느냐는 것인데, 새 경기장이 드론월드컵을 대비하고 드론산업 등 인프라를 확대하기 위한 것이라는 당위성을 시민들에게 더 알리는 등 시의 자구책 마련이 요구된다. 1일 시에 따르면 시는 월드컵경기장 광장부지에 드론축구 전용구장을 비롯한 드론스포츠복합센터 건립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국비 33억, 도비 10억, 시비 101억 원 등 총사업비 144억 원이 투입된 드론스포츠복합센터에는 드론축구 전용구장이 들어설 예정이다. 지난해 말 착공했으며 2025년 2월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지하 1층~지상 3층에 연면적 3980㎡ 규모로 드론축구 홍보·체험 공간과 1000여 명이 관람할 수 있는 복층 형태의 전용 경기장이 들어선다. 시는 이를 두고 '세계 유일의 드론축구 전용구장'이자 '드론축구를 상징하는 건물'이라고 설명했다. 시가 드론축구 경기장을 짓는 것은 처음이 아니다. 현재 건립공사가 진행 중인 자리에서 불과 400m 남짓한 거리에는 '드론축구 상설경기장'이 있다. 월드컵경기장 내 옛 웨딩홀을 리모델링한 상설경기장은 드론축구 초창기인 지난 2016년 문을 열었다. 이후 드론축구 교육, 체험, 홍보를 위한 공간으로 사용하다가 코로나19 시기 운영을 축소하고 지난해 말까지 누수 등 시설 노후화 개선을 위한 보수작업을 진행해 오는 7월 재개관을 앞두고 있다. 시 관계자는 "기존에 있던 상설경기장에 전기 등 시설 개선공사를 진행했고, 올 하반기부터 민간위탁방식으로 운영될 예정이어서 전문업체를 모집공고 등 행정절차를 진행하고 있다"며 "오는 2025년 말에 드론축구 세계 월드컵을 개최할 예정이어서 그전까지는 운영을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추가 경기장을 짓는 것과 관련해 회의적인 목소리도 나온다. 전주발 드론축구 활성화를 위해 관련 시설을 집적화하고 일대 스포츠타운을 조성 사업과 연계성을 살릴 수 있다는 당위성이 있지만 시민들의 공감대를 얻기에는 역부족인 모양새다. 시민 이모씨(35)는 "전북현대 경기를 보려고 월드컵경기장을 갔지만 드론축구 경기장이 있는지는 몰랐다"며 "그런데도 많은 세금을 들여 드론축구 경기장을 또 짓는다니 기존 경기장과 용도가 어떻게 다를지, 대회나 행사가 없을 땐 시민들이 얼마나 이용할 지 의문이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는 지상 1층에 연면적 2427㎡ 규모의 기존 상설경기장으로는 세계 32개국 2500여 명이 찾는 드론축구월드컵을 치르는 데 한계가 있다고 판단, 대회를 성공적으로 치르기 위해선 반드시 필요한 사업이라고 보고 있다. 대회기간 동시에 경기가 진행되는데 차질이 없도록 기존 상설경기장을 보조경기장으로, 새로 짓는 전용구장을 주경기장으로 삼고 야외 경기장을 추가로 설치한다는 계획이다. 더불어 올해는 드론축구협회장배 전국드론축구대회, 전주시장배 솔내유치원 전국드론대회, 전주시장배 전국드론축구대회, 한국대학드론스포츠협의회 대학대회 등 전국 규모의 드론축구대회가 전주에서 열린다. 이와 관련 시는 드론 레저스포츠산업 활성화를 목표로 추진 중인 '코리아 드론축구 세미프로리그' 출범도 앞두고 있다. 오는 11월까지 전국 10개 도시를 순회하며 경기를 치르고, 12월 전주에서 우승팀 세리모니와 시상식을 열기로 했다. 시 관계자는 "현재 신축공사는 내년 드론축구 세계월드컵을 위해 대규모 관람석을 갖춘 경기장을 확충하고 드론축구가 시작한 전주의 상징성을 가진 공간을 만들기 위해 추진하고 있다"며 "전주에서 출발한 드론축구가 세계로 나아가는 데 필요한 거점공간인 만큼 더 많은 대회를 유치하고 산업 가능성을 확장하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