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발전을 위한 학문 후속세대의 양성과 지역의 책무
박정민(전북대 사학과 조교수) 최근 교육부에서 발표한 정부 재정지원 탈락 대상 대학에 52개교가 선정되었다. 가장 충격적인 것은 우리 지역의 국립대인 군산대가 포함되었다는 사실이다. 정량 평가에서 만점에 가까운 점수를 획득했음에도 정성 평가에서 탈락 점수를 받아 군산대와 시민 등이 반발하며 이의신청을 제기했지만 기각되었다. 이 결과 군산대뿐만 아니라 전북 지역도 큰 타격을 받을 것이다.
다른 학교들이 여기에 포함되지 않았다고 안도할 일은 아니다. 학령인구가 감소하는 가운데 이 문제에서 자유로운 대학은 없기 때문이다. 이렇게 하나, 둘씩 학교가 무너지게 된다면 우리 지역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할 연구자 자체가 감소할 수밖에 없다. 지역 대학교수와 연구원들은 지자체의 자문 임무를 수행하고, 중앙 부처의 전공 분야에서 지역 이해를 대변해준다. 하지만 점차 지역 대학이 사라진다면 그 소임을 다해 줄 수 있는 인력풀 자체가 감소할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 지역에 대한 연구 자체가 줄어들 수밖에 없다. 필연적으로 우리 지역 사람들이 전북 지역에 대한 사례 조사를 많이 진행하는데, 이 역시 해당 인력이 감소하면 감당할 수 있는 사람 자체가 줄어들기 때문이다. 또한, 향후 10년, 20년 이상을 이끌어갈 미래 세대의 소멸은 우리 지역의 연구 역량과 발전 기반의 감소를 의미한다. 그 결과 앞으로 지역을 체계적으로 이해하여 정책적으로 제시하기 어려운 상황에 봉착할 것이다.
각 학문에서 미래 세대가 감소하는 문제는 현재 대부분의 학계에서 나타나는 공통점으로, 국가적으로 혹은 공공기관, 기업, 학회 등 다양한 곳에서 학문 후속세대를 양성하여 해결책을 강구하고 있다. 즉, 이들을 위한 각종 장학금을 운영하거나, 연구비 공모 사업 등을 진행하고 있다. 이 사업들이 구조적으로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없을지라도 학문 후속세대 양성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다만 아쉬운 점은 이와 같은 지원이 중앙 차원에서만 진행되고 있고, 지역에서는 두드러지지 않는다는 점이다. 다행히 전북은 전북연구원 전북학연구센터를 중심으로 학문 후속세대에 대한 지원을 하고 있다. 작년부터 센터에서는 전북 지역을 대상으로 박사와 석사학위를 취득한 대학원생 중 우수 연구자를 선발하여 시상하는 우수학위 논문 지원사업을 진행하였다. 올해는 콘텐츠, 문화인류학, 고고학, 도시계획, 교육학 등 전북을 주제로 한 다양한 학위논문 연구자를 선발하였고, 9월 24(금)에 시상식이 개최될 예정이다. 또한, 연초에 진행하는 전북학 연구지원 사업에서도 쿼터를 두고 학문 후속세대의 몫을 배정하고 있다.
물론 이 사업 하나로 전북 지역에 대한 연구가 풍부해지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이를 시작으로 우리 지역에 대한 학계와 대중의 관심을 높일 수 있고, 몇 안 되는 우리 지역을 연구하는 사람들에게 고무적으로 작용할 것이다. 현재는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곳이 전북학연구센터 밖에 없지만 향후 도내 다양한 기관들에서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특히, 전북에 내려와 있는 유수의 공공기관에서도 지역 연구 지원 사업에 관심을 기울이고 다양한 방면으로 학문 후속세대를 양성해야 할 책무가 있다. 이들 기관이 각자의 분야에서 지역과 상생하는 모델을 만든다면 다른 지역보다 전북이 선도적인 위치를 점유하며 지역 발전의 원동력으로 삼을 수 있을 것이다. /박정민(전북대 사학과 조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