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6일 오후 5시께.
남원시청 시장 부속실은 외부행사를 마치고 돌아오는 시장을 만나러 온 민원인들과 결재를 받기 위해 기다리는 공무원들로 북새통을 이루고 있었다.
최진영 남원시장이 들어오자 70대 노파가 최 시장을 따라 집무실로 들어갔다.
이 노파는 최근 남원시가 추진하고 있는 노점상 단속에 항의하기 위해 시장실을 찾았다고 한다.
민선시대 이후 이런 저런 잡다한 이유로 실무자와의 면담이 필요한 사항인데도 시장과의 면담을 요청하는 사례가 부쩍 늘고 있다.
민선 자치시대를 맞아 가장 달라진 모습 중 하나는 과거 ‘군림하던 관’이 ‘봉사하는 관’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점이다.
민원인들을 대하는 공무원들의 태도가 과거와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달라졌고 시장·군수실의 문턱도 눈에 띄게 낮아졌다.
관청에만 들어가면 ‘주눅’이 들던 시민들도 이제는 거리낌 없이 시장·군수실을 두드리곤 한다.
이같은 변화는 민심을 중히 여길 수밖에 없는 자치단체장들의 ‘의지’가 큰 몫을 하고 있다.
문제는 지나치게 낮아진 지자체장들의 문턱이 자칫 조직의 질서를 해치고 효율적인 시정 활동을 방해할 수도 있다는 점이다.
남원시 한 공무원은 “시장이 민원인들과의 격의없는 대화를 통해 밑바닥 민심을 파악하고 직접 해결책을 제시해준다는 데 반대할 사람은 없다”면서도 “그러나 읍·면·동사무소나 시청 계장 및 과장 등 실무선에서 해결해야 할 일인데도 무분별하게 면담이 이뤄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러다보니 민원인들은 모든 민원을 시장과의 면담을 통해 해결하려 하게 되고, 일부 공무원들은 조금만 민감한 사안이 있어도 시장에게 일을 떠넘기곤 한다.
또 11만 시민의 복리후생을 고민해야 할 시장이 사소한 문제로 귀중한 시간을 허비하는 것도 비효율적인 일이다.
남원시 관계자는 “시장과의 직접 대화가 필요한 사안이 아니면 부속실에서 해당 공무원에게 연결해주는 등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무조건‘높은 사람’을 만나고 보자는 민원인들의 자세도 바뀌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