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화두는 경제살리기 ‘올인’이다. 도내 각 자치단체는 올해 새로운 기업 유치와 일자리 창출을 통해 취업난을 해소하겠다며 기대에 찬 입장을 표명하고 있다.
그러나 전주상공회의소가 최근 관내 84개 중소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인력채용 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이 같은 목표도달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취업난이 가중되고 있다지만 사실상 전북경제를 주도하는 중소기업체의 생산·현장직에 종사하고 싶어하는 근로자는 드물기 때문이다. 일하고 싶어하는 구직자와 일할 사람을 찾는 기업체간 엇박자 현상이 극명하게 드러나고 있는 것이다.
이에 전문가들은 기업과 구직자 사이에 ‘눈높이 기준’이 달라 이 같은 현상이 초래되고 있다고 지적하면서도 마땅한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중소업체 관계자들은 임금 및 근로조건 열악에 따른 퇴사 등 자연인력 감소때문에 회사운영이 제대로 안된다며 토로하고 있다.
반면 대학생 등 취업전선에 발을 내디딘 예비생들은 “임금이 너무 낮은데 비해 근로조건은 열악하다. 안정적인 일자리를 찾겠다”는 확고한 입장으로 취업난에도 불구, 중소업체를 외면하고 있다. 한마디로 시간이 걸리더라도 공무원 등 안정적인 직종에 올인하겠다는 각오로 철저하게 무장돼 있다.
중소업체들이 인력수급의 원활화를 위해 임금보조 및 복리후생지원과 산재예방시설 확충 등 작업환경 개선을 정부측에 요구한 점으로 미뤄, 양측 모두 도내 중소업체의 현주소를 인정하고 있는 것이다.
이 때문인지 매번 반복되는 ‘기업과 구직자간 서로 눈높이를 맞춰갈 수 밖에 없다’는 대책은 이제 군색하게 들린다.
전주상의 관계자가 “양측간 눈높이를 조절하는 것 만큼 이를 조정할 수 있는 마땅한 정부시책이 앞서야 한다”고 주문한 내용이 예사롭게 들리지 않는다.
도내 기업체가 회생하고 취업난이 해소될 수 있는 윈윈 전략, 중소기업과 구직자의 몫으로만 돌리기엔 너무 큰 과제라는 사실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