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진우 기자(교육부)
수능이 끝난 뒤 며칠에 걸쳐 도내 일선 고등학교들을 돌아봤다. 오전수업만 마치고 하교중인 학생들을 붙잡고 “논술준비를 위해 서울지역 학원을 오가는 학생들은 어떻게 하는가’라고 물었다. 학생들마다 “평일이라도 담임선생님에게 수강생을 보여주면 출석처리해준다”고 한결같이 말했다.
학교에 들어가 같은 질문을 던졌다. 각 학교 관계자마다 “학생들의 결석 또는 조퇴를 눈감아주는 일은 절대 있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학생이나 학교관계자 가운데 누군가는 거짓말을 하고 있는 셈이다. 도교육청 관계자에게도 ‘결석 눈감아주기’실태를 물었지만 “금시초문이다”는 반응이었다.
지난 22일의 연가투쟁 참가교사수 파악과정에서도 ‘또다른 누수’가 빚어졌다. 전교조 전북지부는 도내 교사 70여명이 연가투쟁에 동참했다고 밝힌 반면, 도교육청측은 45명으로 파악했다. 일선 학교로부터 취합한 자료를 종합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학교측이 고의로 누락한 것아니냐는 의혹이 불거지고 있다.
어떻게 일선 학교가 지도·감독기관인 도교육청의 주문사항을 무시하거나 주요 현안에 대한 보고를 게을리할수 있는지 고개가 갸웃거려진다. 혹시 도교육청이 눈을 감고 귀를 막은 것은 아닐까 한다.
기자의 이같은 지적에 대해 ‘한두가지 사안을 놓고 지나치게 침소봉대 한 것아니냐’는 반론도 있을 수 있다. 일선 학교로서도 현실적인 어려움이 한두가지가 아니다.
하지만 교육청의 일선 학교에 대한 장악력 약화현상이 현재진형행이라는 점에서 한두가지 사안도 그리 가볍게 보이지 않는다. 어떤 이유로든 공교육의 ‘권위’는 흔들려선 안된다. 어쩌면 공교육을 추스리는 작업의 첫발은, 기본부터 지키는 게 아닐까.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