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우 기자(임실주재)
임실군이 3년여에 걸쳐 공들였고 갈망했던 공무원교육원 유치가 끝내 무산됐다.
전임 강현욱 지사가 굳건히 약속했던 희망을 임실출신 김완주 지사가 실망으로 바꿨다는 것이다.
이를 두고 지역에서는 ‘믿었던 도끼에 발등찍힌 격’이라며 들썩인다.
전북도는 공무원교육 지역 이전을 지난 2003년에 계획했고 정보에 앞선 임실군은 그 즉시 유치작전에 돌입했다.
물론 당시에는 다른 기관의 이전 계획은 거론되지 않았었다.
임실군은 처음부터 공무원교육원에만 집중했을 뿐 이후에도 기타 산하기관에는 눈길을 돌리지 않았다.
임실군에 보건환경연구원이 배당되자 공직계와 의회, 주민들의 반응은 아연실색으로 변했다. 심지어 어느 주민은 농기계를 몰고 군청으로 난입, 무능행정을 질책하는 스트리킹도 벌였다. 모두가 전북도를 원망했고 김지사를 성토하는 분위기가 팽배했다.
하지만 교육원과 연구원의 차이점을 자세히 들여다 볼 필요가 있다.
우선 기구와 공직자 수에서 교육원은 2과 36명에 반해 연구원은 1부 7과에 67명이 근무한다.
또 외부 방문객도 교육원은 연간 4000명에 비해 연구원은 4만여명이 임실을 다녀가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지역경제 활성화 측면에서도 교육원은 단순히 교육에 그치지만 연구원은 식약품 분석과 환경조사, 폐기물 분석 등 연간 3만7000건의 민원을 처리한다.
공무원교육원 유치의 실패를 상쇄키 위한 변명이 아니라 현실을 직시한 냉철한 판단을 잠시 가져보자는 뜻이다.
옥정호 상수원 보호구역 해제나 의견도시 조성 등의 굵직한 현안사업들이 눈앞에 산재해 있는 만큼 소탐대실(小貪大失)로 망치지 말자는 얘기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