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전문인력 부족 10개사중 6곳 내용 잘몰라
해외 환경규제가 강화되고 있지만 상당수의 수출 중소기업들은 환경규제에 대한 이해 부족과 관계기관의 정보 제공 미흡 등으로 높아지는 무역장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하고 있다.
중소기업중앙회가 최근 해외환경규제와 관련, 도내를 비롯한 전국 116개 수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해외환경규제 대응 실태를 조사한 결과 응답기업의 60.3%가 해외환경규제에 대해'자세히 모른다'고 답했으며'잘알고 있다'는 기업은 28.4%에 그쳤다.
반면 해외환경규제가 향후 경영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는'크다'와 '매우 크다'는 응답이 각각 27.6%와 11.2%를 차지하는 등 응답기업의 38.8%가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
해외환경규제에 대응하면서 겪는 애로점에 대해서는 정보 부족이 42.2%로 가장 손꼽혔고 자금부족(27.6%), 전문인력 부족(17.2%) 등이 뒤를 이었다.
기업들은 또 환경관련 자금 지원 확대(56.0%) 정보 제공 강화(43.1%), 전문인력 지원(10.3%) 등을 정부에 바랐다.
해외환경규제에 대한 대응방안으로는 기준에 맞는 제품 개발과 환경마크 등 인증 획득을 꼽았다.
중소기업중앙회는 "갈수록 늘어나는 해외환경규제에 대한 정보 제공 확대가 시급하다"며 "해외환경규제에 대응하는 수출 중소기업들의 관련 비용 부담이 가중되고 있어 이에 따른 정부의 정책자금 지원도 절실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