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8 01:31 (Sat)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오피니언 chevron_right 오목대
일반기사

[오목대] 진신사리(眞身舍利) - 장세균

얼마전에 익산 미륵사지에서 발견된 사리장엄등 문화유산을 지키기 위한 지킴이 대책회의가 열린 가운데 미륵사지 석탑에서 발견된 진신사리(眞身舍利) 친견 대법회는 익산에서 개최되는 것이 마땅하다는데 의견을 모았다고 한다.

 

진신사리와 관련해서 이야기 한다면 진신사리는 부처님이 돌아 가신 후 그 유골은 각기 연고를 주장하는 여덟 부족(部族)들에게 나누어주고 나중에 와서 소유를 주장하는 두사람에게는 나누어줄 유골이 없어 한사람에게는 유골을 담았던 단지를, 다른 한사람에게는 화장(火葬)한 곳의 재를 주었다는 것이 정설로 되어있다고 한다.

 

이렇게 분배된 부처님의 유골을 그 후 아쇼카왕이 거두어 8만4천개의 사리탑에 나누어 모셨다고 하는데 그 사실 여부는 알길이 없다고 한다. 오직 과학적으로 입증할만한 유일한 부처님의 진신사리는 1898년에 인도와 네팔의 국경지방의 한 옛 전탑에서 발굴된 것이라고 한다. 그곳은 부처님의 고국(故國)인 석가족이 살았던 땅이라고 한다.

 

그 당시 영국의 주재관원(駐在官員)이었던 폡폐라는 사람이 전탑발굴 도중에 뼈단지 하나를 발견하게 되었는데 그곁에 기원전 수세기 무렵의 고대문자가 씌여져 있었다고 한다. 그 문자가 "샤카족 불세존(佛世尊)의 유골단지로 영예로운 형제자매 처자들이 받들어 모시는 바이다"로 해독되어 당시 온 세계를 흥분시켰다고 한다.

 

이 유골단지는 불교국인 태국왕실(泰國王室)에 양도되어 지금도 그곳에 보관되어 있다고 한다. 우리나라에도 삼국시대 이래 중국에서 전래되었다는 불세존의 사리를 모신 곳이 한두 군데가 아니라고 한다.

 

예를 든다면 양산(梁山) 통도사, 팔공산(八公山)의 동화사, 묘향산(妙香山)의 보현사, 오대산(五臺山)의 적멸보궁, 태백산(太白山)의 정암사, 천안(天安)의 광덕사, 지리산의 대원사, 속리산의 법주사, 설악산의 봉정정암 등이라고 한다. 그리고 지금도 도굴로 화제가 되고 있는 고성(高城) 민통선(民統線)에 있는 건봉사(乾鳳寺)가 있는데 한때는 조선의 4대 사찰의 하나로써 전쟁 때 소실되어 지금은 사리탑 두 개와 무지개 다리만이 남아있다고 한다.

 

/장세균 논설위원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장세균 desk@jjan.kr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오피니언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