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10 04:07 (Mon)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오피니언 chevron_right 오목대
일반기사

[오목대] 가을 - 장세균

우리에겐 가을을 수식하는 단어가 많다. 풍요의 계절, 결실의 계절, 독서의 계절이 그것이다. 또 천고마비(天高馬肥)의 계절이라는 한문도 자주 인용되었다. 하늘은 높고 말은 살찐다는 뜻이다. 우리에게 이처럼 가을은 긍정적 이미지의 계절이지만 유럽으로 가면 가을은 그리 좋은 이미지의 계절은 아닌듯싶다.

 

가을은 고위도(高緯度) 지방인 유럽에 있어서는 생존을 위협하는 지루하고도 혹독한 겨울을 몰고 오는 전주곡이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래서 가을은 인생에다 비유하면 중노인(中老人)이요 하루로 치면 석양(夕陽)이며 그리스도교에서는 최후의 만찬으로 비유되었다고 한다. 방향으로 치면 가을은 해저무는 서쪽이요, 빛깔로 치면 햐얀빛, 맛으로 치면 떫은맛이라고 한다고 한다.

 

그래서 유럽에서는 우울한 이미지의 가을을 계절속에 끼워주기에 인색했다고 하며 되도록 이면 소외시키려고 했다고 한다. 완연한 가을인 10월 중순을 "리틀 섬머 (Little Summer)" 라고 불렀는데 이는 작은 여름이라는 뜻이다. 또 11월 초순을 "올 해어로인 섬머 (All Heroine Summer)"라 불렀는데 이는 여장부의 여름이라는 뜻이다.

 

11월 중순을 가르켜 "성(聖) 마틴의 섬머 "라 불러 가을을 하나의 계절로 독립시키지 않고 여름에다 결부시켜 버렸다. 미국에서까지도 유럽의 전통을 따라 가을을 "인디언 섬머 (Indian Summer)"라고 불러 가을을 하나의 계절로 인정 않은 것이다. 영국에서도 14세기까지는 한해를 여름과 겨울 두 계절로 양분했을 뿐이라고 한다.

 

가을이 처음 등장하여 3계절이 된 것은 15세기경으로 문인(飛) 초서라는 사람이 "오텀(Autumn)"이라는 말을 처음 쓰기 시작한 것이 시초가 되었다고 한다. 그전까지는 가을이라는 계절이름이 없이 다만 수확(收穫)의 계절이라는 뜻에서 "하베스트(Harvest)" 또는 낙엽이 진다는 뜻에서 "폴(Fall)"로 불렀다고 한다.

 

그러나 가을은 우리 한국이 위치한 풍토대에 자리잡은 소수의 나라 사람에게만 주어진 신(神)의 혜택인 것이다. 그래서 가을을 찬미하는 싯귀들이 우리에게는 그렇게 많았던 것이다. 그러나 가을이 자꾸 짧아져가는 것 같아 많은 아쉬움이 있다.

 

/장세균 논설위원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장세균 desk@jjan.kr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오피니언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