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6 23:29 (Thu)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오피니언 chevron_right 이경재 칼럼
일반기사

전주 종합경기장 개발 어떻게 할 것인가

▲ 수석논설위원
전주 종합경기장 개발사업이 표류하고 있다. 단체장이 바뀌면서 기존의 이전 및 개발계획에 대한 가치가 충돌하고 있기 때문이다.

 

전주종합경기장 이전 및 개발은 2005년 12월 당시 김완주 지사가 현 종합경기장 부지를 민간 사업자에게 양여하고 대체시설 및 컨벤션센터를 기부 받는 ‘기부 대 양여’ 방식으로 추진한 데서 비롯됐다. 그 뒤 컨벤션센터를 전주시 재정사업으로 떼어냈다. 이 방안은 2011년 12월 9일 전주시의회 임시회에서 가결돼 지금까지도 유효한 개발계획이다. 대규모 회의나 행사를 유치하려 해도 회의장소나 숙박공간이 없어 반납해야 했던 궁핍함을 절감한 뒤 나온 결단이다. 전시 컨벤션 사업은 효과가 크고, 컨벤션시설이나 호텔은 도시의 경쟁력이기도 하다.

 

두차례 공모과정을 거쳐 사업자로 결정된 (주)롯데쇼핑은 전주 월드컵경기장 인근에 1종 육상경기를 치를 수 있는 종합경기장과 야구장을 지어 전주시에 기부하고, 종합경기장 부지 절반을 양여 받아 영화관과 호텔·쇼핑몰을 짓는다는 구상이다.

 

취임 1년, 구체적 마스터 플랜 못 내놔

 

전주시가 2000억 원 정도의 예산만 조달할 수 있다면 굳이 민간 사업자를 끌어들일 필요가 없었을 것이다. 부족한 예산 때문에 나온 궁여지책이다.

 

어쨌건 이 계획은 전북도와 전주시 간의 대체시설 이행 양여계약 체결, 각종 관련 안건에 대한 전북도의회와 전주시의회의 의결, 민간 사업자 선정 및 협약 체결, 지식경제부 협의 및 행정안전부 투·융자 심사 등 수많은 행정절차를 밟아 탄생했다. 시민 68%가 찬성하고 있다. 이렇게 되면 전주 월드컵경기장 일대는 스포츠 콤플렉스화 되고 종합경기장 부지는 전시 컨벤션센터와 호텔·영화관이 들어서 집적효과를 거둘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법원과 검찰청이 2018년 만성지구 법조타운으로 이전한 뒤 나타날 덕진 일대의 공동화를 막는 효과도 있다.

 

문제는 롯데 쇼핑몰이다. 쇼핑몰이 문을 열면 지역상권을 잠식할 것이다. 특히 로드샵 등 의류매장의 타격이 심할 것이라고 한다. 김승수 전주시장은 작년 선거 때 쇼핑몰을 막겠다고 약속했다. 그래서 종합경기장 재생에 가치를 둔 개발계획을 구상하고 있다. 종합경기장 일부를 헐어 재생시키고 다른 대체시설은 전주시 예산으로 짓는다는 것이다.

 

하지만 취임 1년이 다 되도록 구체성을 띤 마스터플랜을 내놓지는 못하고 있다. 김 시장의 고민이 깊을 것이다. 이 방안을 추진하려면 전북도와의 무상 양여계약을 파기해야 한다. 그럴 경우 종합경기장 재생도, 컨벤션시설도 추진할 수 없다. 다른 대체시설 예산 대책도 내놓아야 하는데 쉽지 않다. 종합경기장은 노후 건물로 안전 C등급이다. 재생 가치가 있는 지도 의문이다. 옛 것이라고 해서 모두 가치 있는 것도 아니다. 또 구상 자체가 미래 수요나 가치, 전북의 체육시설 인프라 구축 필요성에 비춰 보면 옹색하기 짝이 없다는 비판을 받을 개연성이 크다.

 

장고 끝에 악수 두는 법이다. 애초의 계약을 이행하되 지역상권 보호 방법을 찾는 게 해답일 것 같다. 유통산업발전법상 대규모 점포 등의 개설 등록 시에는 상권영향평가서 및 지역협력계획서를 첨부하도록 돼 있다. 이 과정에서 지역업체 참여나 지역 상권보호 방안 등을 놓고 롯데 측과 조율하는 쪽에 에너지를 쏟는다면 해법이 나올 수도 있다.

 

당초 계약 이행하며 지역상권 보호를

 

전주는 전북의 수도다. 전주시는 전북의 대표기능을 할 인프라 구축도 고려해야 한다. 이젠 촌티를 벗고 전북의 수도에 걸맞는 모습으로 탈바꿈할 필요가 있다. 정치 리더는 수많은 선택을 강요받는다. 표를 의식하면 일을 그르치기 쉽다. 미래의 가치를 바라보고 가야 한다. 기회는 자주 오지 않는 법이다.

 

김승수 전주시장은 의견을 많이 듣는 스타일이다. 몇몇 자기 사람에만 의지하지 말고 시민 전체의 의견을 수렴해 종합경기장 문제를 매듭지었으면 한다. 그렇지 않으면 결국 두고두고 단견 리더십이라는 꼬리표가 따라 붙을 지도 모른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경재 kjlee@jjan.kr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오피니언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