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량판 구조 아파트에서 철근이 빠진 사례가 적발되면서 국민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전북지역에도 이같은 공법이 도입된 아파트가 있어 특별 안전점검이 요구된다. 더욱이 지난 29일 장수군에서 3.5 규모의 지진이 발생하는 등 전북도 지진 안전지대가 아님이 확인되면서 지진에 취약한 구조인 무량판 건축물에 대한 관리 강화 목소리가 높다.
전북도에 따르면 도내 아파트 가운데 2017년 이후 무량판 구조가 적용된 아파트는 총 9곳으로 조사됐다. 이 가운데 6곳은 준공해 입주를 끝냈고, 나머지 3곳은 공사가 진행 중이다. LH 아파트는 1곳이고, 나머지는 모두 민간 아파트며 지역별로는 전주시 5곳, 익산시와 군산시가 각각 2곳이다.
무량(無梁)판 구조는 대들보(beam) 없이 기둥만으로 천장을 지탱하는 구조다. 보나 벽 없이 수직 자재인 기둥이 직접 슬래브(콘크리트 천장)를 지지하기 때문에 공간 확보가 용이하고, 건설 비용과 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반면 대들보가 없다 보니 수평 하중에 취약해 주변에 전단보강근을 충분히 넣는 등 치밀한 시공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현장에서는 이를 잘 모르거나 고의로 누락시켜 사고의 원인이 되고 있다. 기둥과 맞닿는 부위에 하중이 집중되면 슬래브에 구멍이 뚫리면서 붕괴되는 펀칭현상이 일어나는 것이다.
이같은 무량판 공법으로 붕괴사고가 일어난 곳은 이번에 문제된 인천의 검단신도시 자이 안단테와 지난해 1월 무너져 6명이 숨진 광주 화정 아이파크가 그렇다. 또 1995년 붕괴돼 1500명의 사상자를 낸 서울 삼풍백화점 사고도 무량판 공법이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이 공법이 적용된 민간아파트는 293개소 25만 가구에 이른다. 이 공법은 공법 자체가 문제가 아니라 전단보강근을 넣지 않는다든지, 무리하게 구조를 변경하면서 사고가 발생한다.
이번 인천 LH아파트 지하주차장 붕괴에서 비롯된 소위 순살아파트 부실공사 문제는 우리나라 건설업계의 민낯을 여실히 보여줬다. 발주-시공-설계- 감리 과정에서 이권 카르텔과 담합, 불법 하도급, 전관예우 등이 종횡으로 얽혀 있기 때문이다. 서민들에게 아파트는 유일한 재산인 경우가 많다. 수억원을 주고 들어간 아파트가 부실이라면 등골이 오싹할 일이다. 정부와 지자체는 전수조사를 통해 국민들의 불안감을 해소해주길 바란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