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end news
미국 국방부가 주한미군사령부와 유엔사령부, 한미연합사령부 해체를 포함, 태평양사령부의 대대적인 재편을 추진중이라고 미국 일간 워싱턴타임스(WT) 인터넷판이 3일 보도했다. 검토되고 있는 안에 따르면 주한미군사령부와 유엔사, 한미연합사, 8군 사령부의 해체가 유력하며 일본에서는 주일미군사령부가 해체되고 중장이 지휘하는 군단사령부가 신설될 것으로 보인다고 신문은 전했다. 신문에 따르면 이와 함께 주한미군사령부와 유엔사, 한미연합사를 책임지는 4성 장군이 한국에서 철수하는 대신 하와이 포트섀프터의 육군 태평양사령부에 4성 장군 직이 신설된다. 미군 관계자들은 태평양사령부 재편 목적은 제2차 세계대전과 한국전쟁, 베트남전쟁, 그리고 냉전시대의 유산으로서 서로 복잡하게 얽혀있는 지휘체계를 감축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겹겹이 쌓인 군내 관료주의를 없앰으로써 병력과 함대, 군용기가 대통령이나 국방부 장관의 명령에 의해 신속하게 위기에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게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미군 관계자들은 그러나 태평양사령부 재편안은 현재 검토중이며 아직 결정된 바 없다고 덧붙였다. 신문은 이와 함께 주한미군 재편이 한국에서 점증하고 있는 반미(反美) 정서에 항의하는 의도도 띠고 있다고 분석했다. 한국 근무경험이 있는 미군 장교들은 한미연합사 해체가 주권침해 시비를 완화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시 한국군과 미군 지휘권을 동시에 갖는 한미연합사 사령관은 미군 장성이 맡고 한국군 장성은 부사령관을 맡는데 이에 대해 많은 한국인들은 한국군이 전시 지휘권을 가져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3일 태국에서 조류독감으로 7세 소년이 숨져 이 병으로 인한 사망자로 확인된 태국내 희생자는 4명이 됐다고 차랄 트린부티퐁 질병통제국장이 밝혔다. 트린부티퐁 국장은 "소년이 몇분전에 사망했으며 조류독감이 사인으로 확인된 4번째 경우"라고 말했다. 앞서 3명의 희생자는 지난 25,27일 숨진 6세 남아 두명과 28일 숨진 58세 여성등이다. 태국에서는 그간 4건의 사망 외에도 18명의 조류독감 감염 의심 사례가 발생했다. 18명 가운데 이날 사망한 4세 남아를 포함, 11명이 숨졌다. 태국은 조류독감 퇴치를 위해 전국적으로 2천690만 마리의 닭을 도살했다. 또 76개 주 가운데 7개 주가 도살을 계속하고 있고 치명적인 H5N1 바이러스 감염 지역인 나머지 29개 주에서는 도살 작업이 끝났다. 지금까지 조류독감으로 베트남에서 9명이 숨졌으나 다른 8개 발병국에서는 아직 희생자 발생이 보고되지 않았다.
미국 상원 건물에서 2일 발견된 백색가루가 초동검사에서 치명적인 독성을 가진 `리신'(ricin)에 양성반응을 나타냈다고 미 의사당 경찰책임자인 테런스 게이너가 밝혔다.게이너는 이날 밤 기자회견에서 3차례에 걸친 검사중 2차례에서 리신 양성반응을 보였다면서 3번째 검사에는 음성반응을 보여 지속적인 검사를 진행중인 만큼 최종결과는 3일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이와 관련, 정부의 한 관리는 메릴랜드주(州)의 포트 데트릭에서 검사가 진행중이라고 말했으나 게이너는 정확한 장소에 대한 언급을 거부했다. 게이너는 이 물질이 편지에서 발견됐는지 또는 소포에서 발견됐는지 아직 파악하지 못했다고 말했다.게이너는 이와 함께 백색가루가 발견될 당시 인근에 16명이 있었던 것으로 파악됐으며 이들은 검사가 마무리되는대로 귀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그는 "현재 다음조치를 위한 준비단계에 있다"면서 다음 단계는 상원의 덕슨 빌딩에 대한 정화작업 실시 여부와 정화작업 방법 등이 포함된다고 말했다.상원의 공화당 대표 빌 프리스트 의원도 기자회견에서 백색가루에 근접해 있던 사람들로부터 어떤 증세도 나타나지 않았다는 보고를 받았다고 강조했다.상원의원이 되기전 외과의사로 활동했던 프리스트 의원은 "아무도 감염되지 않았으며 감염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고 말했다.이 백색가루는 이날 오후 3시(현지시간) 덕슨 빌딩 4층에 있는 프리스트 의원 사무실 인근에 있는 우편실에서 발견됐다고 게이너가 말했다. 그러나 앞서 한 의회 관리는 이 백색가루가 프리스트 의원 사무실에서 발견됐다고 말했었다.브라이언 로어캐시 국토안보부 대변인은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으며 미 연방수사국(FBI)은 이 사건 수사착수에 앞서 포트 데트릭의 검사결과를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의사당으로 배달되는 우편물의 경우 2001년 톰 대슐(민주.사우스다코타)의원과 패트릭 리히(민주.버몬트)의원에게 탄저균이 배달된 후부터 모두 방사선검사를 받고 있다.이번에 발견된 리신은 피마자에서 추출되는 것으로 1천분의 1g 정도의 소량으로도 성인을 사망에 이르게 할 수 있는 독성물질이다. 액체나 결정체, 가루의 형태를 띠고 있는 리신을 복용이나 공기중 흡입, 주사를 이용해 투약할 경우 몇시간내에는 열과 구토, 기침 등 독감증세를 보이며 결국에는 폐와 간, 신장, 면역체계를 무력화시켜 사흘내 사망에 이르게 한다. 그러나 독성이 전염되지는 않는다.이 독성물질은 대량살상보다는 요인암살 등에 더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실제로 이라크가 이를 포탄에 장착하는 실험을 했으나 실패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이와 관련, 영국 경찰은 지난해 1월 런던 북부의 한 아파트에서 리신의 흔적을 발견하고 알-카에다 테러조직과 이라크와 연계된 북아프리카 출신 용의자 7명을 체포한 바 있다. 또 지난해 10월에는 리신이 담겨있는 소포가 사우스 캐롤라이나주(州) 그린빌-스파턴버그 국제공항 우편시설물에서 발견되기도 했다.
파키스탄의 핵무기 개발 주역인 압둘 카디르 칸 박사가 핵무기 제조기술을 북한과 이란, 리비아 등에 유출시켰음을 자백했다고 익명의 파키스탄 정부 관계자가 2일 밝혔다.
중국이 조류 독감과 전면전에 돌입한 가운데 1일 하루에만 성시자치구(省.市.自治區) 5개 지역에서 조류독감 의심사례가 발생, 조류독감 확인 또는 의심 지역이 중국 전체의 3분의1로 확산됐다. 중국 농업부는 이날 저장(浙江)성 융캉(永康)시, 후베이(湖北)성 이창(宜昌)시, 윈난(雲南)성 청공(呈貢)현, 허난(河南)성 핑위(平與)현, 신장(新疆)위구르자치구 생산건설병단 농(農)12사 등에서 조류 독감 의심사례가 추가로 보고됐다고 밝혔다.지난 23일 광시좡주(廣西壯族)자치구 룽안(隆安)현 딩당(丁當)진 오리 농장에서 첫 발생한 조류 독감은 후난(湖南)성, 후베이(湖北)성, 상하이(上海)를 거쳐 허난성까지 북상했고, 서쪽으로는 신장지역까지 번졌다.이로써 중국의 조류독감 발생 지역은 31개 성급(級) 지역 중 10개로 늘었고 허난 핑위현은 후베이성과 인접해 있어 후베이의 우쉐(武穴)시 장링상(張嶺上)의 조류독감 확산 방지 조치가 미흡하지 않았나 하는 의혹이 제기됐다.특히 허난은 수도 베이징(北京)의 관문인 허베이(河北)성과 접경을 이뤄 당국은 바짝 긴장하고 있다.중국은 후이량위(回良玉) 부총리를 사령탑으로 하는 조류독감방지총지휘부를 설립, 24시간 방역을 하는 등 총력전 체제에 들어 갔는데도 확산이 멈추지 않아 미발생 지역들도 예방에 비상이 걸렸다.일인당 양계 최다 지역인 허베이성 관타오(館陶)현은 양계장을 매일 소독하고 분뇨를 치우고 일부 닭에 백신을 접종하기도 했다. 베이징은 물론 헤이룽장(黑龍江)성, 랴오닝(遼寧)성, 지린(吉林)성 등 동북 3성도 비상이 걸리기는 마찬가지이다.조류독감 확산을 막기위해 발생 지역 인근 가금류 수 백만 마리가 도살돼 농민의 생계가 위협을 받자 당국은 살처분 가금류에 대한 보상을 시작했다.간쑤(甘肅)성 안닝현에서는 조류독감이 의심되는 한 농장에서 반경 3㎞ 이내에 있는 모든 닭들이 살처분 됐으며 신장지구에서도 조류독감 의심사례가 발생, 조류독감이 이미 광범위하게 확산된 게 아니냐는 우려를 낳고 있다. 베이징에서는 대규모 살 처분으로 달걀 반입량이 줄어들면서 500g에 2.4위앤(元.약 360원)하던 달걀 값이 3위앤으로 올랐다. 500g에 8위앤(5급기준)하는 닭고기 판매는 오히려 줄었다.그러나 베이징 시내 닭튀김 외식 업체인 켄터키와 베이징 오리구이 전문식당인 취앤쥐더(全聚德)의 매장은 앉을 자리가 없을 정도로 손님이 몰리는 이상현상이 벌어지기도 했다. 고온에 가금류를 요리하면 조류독감 전염 위험성이 없다는 소식 덕분이라고 식당 관계자들은 말했다.한편 중국 당국은 이미 효력있는 조류독감 백신을 개발, 접종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으며 일간 차이나데일리는 29일 긴급 각료회의부터 조류독감 발생 보고가 가장 중요한 순서가 됐으며 이후 새로 발생한 의심사례가 빠르게 발표되고 있다고 전했다.또 상하이 시 정부는 시에서 50㎞ 떨어진 농장의 오리에서 조류독감 의심사례가 발견됨에 따라 1일 오후 조류독감 확산을 막기 위해 살아있는 가금류 거래를 전면금지하는 긴급조치를 취했다.
한국군 파병 예정지인 이라크 키르쿠크의 하위자 지역에서 지난달 31일 미군 3명이 폭탄 공격을 받아 사망했다고 미군측이 밝혔다.미군들은 이날 오전 10시15분께 행렬을 이뤄 키르쿠크시에서 남서쪽으로 45km 떨어진 하위자지역의 알 루베이다 마을 인근 도로를 지나던 중 사제 폭탄이 터져 사망했다고 미군 대변인인 조슬린 에이벌 소령이 발표했다.폭탄 폭발로 미군들이 사망한 하위자 지역은 무장세력의 공격이 잦은 곳으로 미군 제4보병사단 소속 병력이 주둔하고 있으며 한국군이 파병될 경우 미군들이 머물고 있는 하위자 동쪽 7km지점의 미군 캠프를 넘겨받을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날 공격이 있은 뒤 키르쿠크 공항으로부터 300여m 떨어진 지점에서 또 다른 사제 폭발물이 발견돼 미군들이 이를 제거했다고 미군측은 말했다.키르쿠크에서 남쪽으로 15km 떨어진 타자시에서는 이날 터키계 정당인 이라크 투르크멘전선 간부 2명이 무장세력의 공격을 받아 사망했다. 투르크멘전선 간부인 마흐디 후세인 투르크마니는 이날 총격을 받고 사망했으며 후세인 아바스는 매복공격을 받은뒤 중상을 입고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1일 오전 숨졌다고 투르한 유세프 키르쿠크시 경찰청장이 밝혔다.이날 공격의 용의자들은 체포되지 않았으나 투르크멘 전선이 키르쿠크의 쿠르드 자치연방 편입에 강력히 반대해온 점에 비춰 볼 때 쿠르드족 과격파의 소행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또 키르쿠크 시내 오루바지역에서는 1일 오전 5시께 경찰 순찰차에 수류탄 공격이 가해져 경찰관 4명이 중상을 입고 키르쿠크 병원에 입원 중이라고 유세프 청장이 밝혔다. 경찰관들은 자동차를 이용해 키르쿠크 시내를 순찰 중이었다.유세프 청장은 앞서 31일 이슬람 명절을 앞두고 미군 행렬과 경찰 초소, 이슬람 사원 등을 공격하겠다는 경고가 입수돼 키르쿠크 내 15개 경찰서에 5천여명의 경찰병력을 배치하는 등 경계를 강화했다고 말한 바 있다.
태국 정부의 방역체계 본격 가동으로 조류독감 확산 속도가 조금씩 떨어지고 있다.30일 태국 언론에 따르면 조류독감 `감염지역'(적색경보)은 29일 하루동안 4개주(州)가 늘어 모두 29개주가 됐다. 6개주가 신규 감염지역으로 선포된 반면 조류독감이 가장 먼저 발견됐고 피해도 극심한 수판부리,칸차나부리 등 2개주는 `감시지역'(황색경보)으로 등급이 낮춰졌다.태국 정부는 이들 2개주의 경우 새로 조류독감이 발생하지 않아 `감염지역'에서 제외됐지만 아직 안심할 단계는 아니며 향후 3주간 추가 발생여부를 엄중 감시해야 한다고 밝혔다.정부측은 전체적으로 `감염지역'으로 지정된 주는 늘었지만 감염률은 떨어졌다고 밝혀 조류독감 확산세가 약간 수그러들었음을 시사했다.탁신 치나왓 태국 총리도 "조류독감을 곧 진정시킬 수 있을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날씨가 더워지고 있는 점도 조류독감 확산 저지에 도움을 줄 것"이라며 몇몇 감염지역의 상황이 나아지고 있다는 조짐이 보인다고 덧붙였다. 탁신 총리는 방콕의 경우 가금류 농장이 많지 않은데다 대부분 시 외곽에 자리잡고 있어 크게 우려할만한 상황은 아니라고 밝혔다. 이런 가운데 태국 보건부는 조류독감 인체전염 확산 저지에 총력을 기울이기로 하고 감염자 `조기탐지 시스템' 구축에 나섰다.보건부는 감염 여부를 5분내에 파악할 수 있는 조류독감 진단장비가 미국에서 도착함에 따라 감염자를 신속히 가려내 응급대처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보건부는 특히 12세 미만 어린이들 사이에 감염환자가 많이 발생하는 점에 주목,자원봉사자들을 배치해 12세 미만 연령층에 대한 검사를 집중 실시키로 했다.보건부는 또 절에서 닭을 많이 치고 있는 점에 착안, 승려들에 대해서도 조류독감 감염 여부를 정밀 추적할 방침이다.보건부는 한편 이미 사망한 조류독감 의심환자들의 정확한 사인 분석.평가를 위해 세계보건기구(WHO)전문가들과 함께 전담위원회를 구성했다.태국에서는 지금까지 조류독감 진성환자 3명중에 2명이 죽고 1명은 위독한 상태이며 10명의 의심환자 가운데 6명이 숨졌다.
미국 상원과 하원의 정보위원회들은 이라크 전쟁 이전 이라크에 관한 정보에 있어서 일련의 오류가 있었음을 밝혀냈으며 이는 이라크 무기사찰단을 이끈 데이비드 케이 전 단장이 확인한 사항과 유사한 내용이라고 워싱턴포스트 인터넷판이 30일 보도했다.
국회 법사위가 29일 소위원회를 열어 `일제강점하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 등을 논의할 예정이었으나 성원 미달로 회의조차 개의하지 못해 법안처리에 의지가 없는 것 아니냐는 비판을 받고 있다. 법사위는 불법대선자금 청문회 개최여부를 논의하기 위한 전체회의에 앞서 이날 오전 9시 제2법안심사소위를 열 계획이었으나 의원들이 제시간에 참석하지 않아 회의가 열리지 못했다. 열린우리당 이종걸(李鍾杰) 최용규(崔龍圭) 의원은 전체회의 의사진행발언을 통해 "60년동안 묵은 의혹에 대해서는 풀 의지가 없고 1년동안 정치공방을 한 의혹에 대해서는 의지가 강하다"며 "친일반민족법의 전체 조문에 대한 심의를 마친 상태이기 때문에 전체회의를 잠시 정회하자"고 주장해 추후 논의하자는 한나라당 의원들과 논란을 벌였다. 이에 법사위는 전체회의가 끝난뒤 오후 2시30분 소위원회를 열기로 했다. 그러나 정작 오후 2시30분이 지나도 한나라당 김용균(金容鈞) 함석재(咸錫宰) 의원과 우리당 최용규 의원 3명만 참석, 또다시 성원이되지 않아 `간담회'만 하다 다음달 2일 소위원회를 열기로 했다. 최용규 의원은 "지난 1월7일 소위원회에서 심의한 내용을 과거사진상조사특별위원들의 의견을 물어 다음달 2일 오전에 소위를 다시 열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국회 관계자는 "법사위 고유법안도 아닌 타위원회 법안을 성원이 안된다는 이유로 회의조차 못여는 것은 국회가 직무유기를 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을 소지가 있다"며 "이렇게 가다간 자칫 16대 국회를 넘겨 법안이 자동 폐기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전국한우협회 경북도지회와 한국영농법인축산물수출입사업단은 29일 오후 경주시청에서 호주산 생우 국내 입식에 관한 간담회를 개최했다. 양측은 이날 4시간동안 수입생우 농가입식을 둘러싸고 협의를 가졌으나 입장차만 확인한 가운데 30일부터 예정됐던 수입소 출고를 일단 연기, 다음 달 2일 같은 장소에서 협상을 계속하기로 했다. 축산물수출입사업단측은 "지난해 4월 수입생우 입식에 대해 한우협회와 합의한 바 있는데 또다시 문제삼고 있다"며 "생우 입식을 기다리는 농가를 봐서 무한정 지연할 수는 없다"고 밝혔다. 그러나 한우협회 회원들은 "사업단이 외국산생우 수입관련 자료 등을 제시키로 하고 제대로 이행하지 않았다"면서 "지난해 수입분의 도축유통과정 결과가 불투명한 부분이 있다"고 주장했다. 사업단은 지난 16일 호주로부터 생우 842마리를 도입해 현재 부산과 인천검역원에서 검역을 받고 있으며 당초 오는 30일부터 출고해 경북 경주와 경남 김해지역 30여 농가에 입식할 예정이었다.
세계최대의 공영방송이자 공정보도의 대명사란 찬사를 받아왔던 영국의 BBC 방송이 이라크 대량살상무기(WMD) 정보 조작 논란으로 81년 역사상 최대의 위기에 직면했다. 영국 정부의 WMD 정보 조작 의혹과 국방부 무기전문가 데이비드 켈리 박사 자살사건을 조사해온 허튼 위원회는 28일 "영국 정부가 의도적으로 WMD 정보를 조작했다는 BBC 방송의 보도는 근거 없는 것이었으며 BBC의 보도국 운영체제에 결함이 있었다"는 판정을 내렸다. "운영체제 결함'을 운운하는 충격적인 판단이 나오자 데이비스 이사장이 즉각 책임을 지고 사임했다. BBC의 독립성과 공영성을 감독하는 최고책임자인 이사장이 오보 논란과 관련해 사임한 것은 BBC 역사상 처음 있는 일이다. 관측통들은 29일 오전 시작된 BBC 이사회의 `위기 대책 회의'가 끝나면 12인 이사회 총사퇴, 제작간부들의 무더기 사임, 보도제작관행 개편 등 미증유의 후폭풍이 몰아닥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데이비드 이사장은 사임 성명을 통해 "조직의 최고위직에 오른 사람은 행동에 책임을 질 줄 알아야 한다"면서도 "우리는 심판관을 선택할 수 없지만 심판관의 결정은 최종적인 것이라는 교육을 받고 자랐다"고 말해 허튼 위원회의 판정에 아쉬움을 표시했다. 그는 위원회를 주관한 판사 브라이언 허튼 경이 증거를 균형있게 검토하지 않았으며 검증되지 않은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한 것은 잘못이라는 판단을 함으로써 `언론 자유'를 제한하는 결정을 내렸다고 비판했다. 영국 기자들의 노동조합인 전국기자연맹도 BBC 보도를 `근거 없다'고 비판한 허튼 경의 판정은 "언론을 전혀 모르는 매우 잘못된 것"이라며 반발했다. 기자연맹의 제레미 디어 사무총장은 "허튼 경의 생각에 관계없이 정부가 WMD 정보를 왜곡, 조작했다는 BBC의 보도는 진실을 담고 있다"면서 "기사의 전체적인 내용을 보지 않고 자구에만 집착한 편협한 판정"이라고 비난했다. 그레그 다이크 BBC 사장도 성명을 통해 "일부 잘못된 주장이 있었으며 이에 대해 사과한다"면서도 "켈리 박사는 신뢰할 수 있는 소식통이었으며 그의 주장이 제대로 보도됐다면 국민이 알아야할 필요가 있는 것이었다"고 말했다. 하지만 허튼 보고서를 통해 `완벽한 승리'를 인정받은 영국 정부는 정부 정책에 사사건건 발목을 잡아온 BBC를 이번 기회에 확실하게 손을 보겠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토니 블레어 총리는 "BBC가 공식 사과해야 한다"며 기세를 올렸고 테사 조웰 문화장관은 BBC 방송의 허가장을 갱신할 때 허튼 보고서에서 지적된 내용을 고려하겠다며 압력을 가중하고 있다. 세계최고의 공영방송 BBC가 이라크 WMD 실체를 둘러싸고 영국 정부와 벌인 전쟁에서 패배함으로써 초래된 이 위기를 어떻게 돌파할지 주목된다.
부산, 광양항에 대한 외국기업 물류센터 유치노력의 첫 성과로 28일 부산항을 방문한 일본 시가(滋賀)현 마이하라(米原)정(町)의 대표단은 "한국에 20만평 가량의 물류센터를 조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도시오 무라시니 정장을 비롯한 마이하라정의 고위 공무원과 기업대표 등 21명의 대표단은 이날 오후 부산해양수산청을 방문해 부산항의 현황 등에 대해 설명을 들었다. 설명회에 이어 무라시니 정장은 기자회견을 갖고 "2006년 마이하라정에 JR화물역이 들어서는 것에 맞춰 부지 4만평, 건물면적 3만평 규모의 물류센터(SILC) 건립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중국 등 외국에서 일본으로 수입되는 화물의 포장 및 라벨링 등을 위한 물류센터를 한국의 부산이나 광양항에 조성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무라시니 정장은 "SILC에 참여하는 일본기업들에게 한국을 이용한 물류가 메리트가 크다는 점을 적극 홍보하고 있다"며 "SILC의 고객사들이 부산이나 광양항의 배후부지에 물류시설을 설치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무라시니 정장은 "한국내 물류센터 규모는 마이하라에 건립한 물류센터의 5~6배에 이를 것"이라고 밝혀 SILC와 연계한 한국내 물류센터 조성이 성사될 경우 20만평 이상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 무라시니 정장은 한국내 물류센터를 이용할 경우 일본항만을 이용하는 것보다 물류비를 30%이상 절감할 수 있어 한국내 물류센터 조성에 일본기업들의 관심이 크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한국내 물류센터 입지 결정 시기에 대해서는 "아직 알 수 없다"고 조심스런 입장을 취했다. 마이하라정의 대표단은 29일과 30일 부산 북항과 신항 건설현장, 광양항을 찾아 항만운영 시스템 및 입지 등을 살피고 해양부를 방문해 우리 정부의 동북아 물류중심 국가건설 계획과 외국기업에 대한 각종 인센티브에 대한 설명도 들을 예정이다. 마이하라정은 고속전철 신칸센(新幹線)과 국철 JR이 모두 통과하는 교통 요지로, 최근 내륙과 해상을 연결하는 물류중심도시 건설 계획을 추진하고 있는데 중국과 동남아에서 생산한 물건을 부산항이나 광양항의 물류창고로 집결시켜 분류 및 재포장 등을 한 뒤 해상항로를 통해 50㎞ 떨어진 쓰루가(駿河)항으로 들여와 철도로 일본 전역으로 배급한다는 계획이다.
영국 국방부 무기전문가 데이비드 켈리 박사의 자살 경위에 대해 조사를 진행해온 고등법원 판사 허튼 경은 28일 토니 블레어 정부가 켈리 박사의 사망과 관련해 명예롭지 못한 행동을 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허튼 경은 이날 TV로 생중계되는 가운데 발표한 328쪽 분량의 진상 조사 결과 보고서에서 켈리 박사는 자살한 것이 확실하며 제 3 자가 개입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그 누구의 결정이나 행동도 켈리 박사가 자살을 택할 것이라고 예상하지는 못했으며 그런 예상을 하지 못했다는 것이 잘못이 아니라는 점을 밝힐 수 있어 만족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허튼 경의 이 같은 결론은 켈리 박사의 자살과 관련, 총리실과 국방부 등의 책임을 전면 부인한 것이다. 야당과 켈리 박사 유가족들은 지난해 5월 이라크의 대량살상무기(WMD) 위협을 과장했다는 BBC 방송의 보도로 궁지에 몰린 영국 정부가 국면을 전환하려고 공무원 보호의무를 위반해 켈리 박사의 신원을 공개했으며 이 과정에 블레어 총리가 직접 개입했다고 주장해 왔다. WMD 위협을 과장했다는 BBC의 폭로는 이라크 전쟁의 정당성과 정부의 도덕성 시비로 확산됐고 켈리 박사는 이 과정에서 의회 청문회 증인으로 출석한 직후인 지난해 7월 손목 동맥을 끊어 자살했다. BBC는 당시 취재원이 켈리 박사인 사실을 밝히지 않은 채 블레어 정부가 이라크 전쟁의 정당성을 강조하기 위해 정보기관들이 작성한 이라크 WMD 보고서를 보다 `섹시한 것으로 과장하라(sex up)'고 지시했다고 보도했었다.
28일 오후 방콕에서 열린 `조류독감 긴급 국제회의에 참석한 각국 대표들은 조류독감 퇴치를 위한 초국가적 협력체제를 구축해나가기로 합의했다.한국과 중국, 일본, 베트남, 캄보디아, 태국 등 조류독감 감염국과 세계보건기구(WHO) 등 국제 유관기구 대표들은 이날 회의를 마치며 채택한 공동성명에서 조류독감을 비롯한 질병발생 억제를 위한 지역간,국가간 협력을 강화키로 했다고 밝혔다. 수라키아트 사티라타이 태국 외무장관은 "참석자들이 현재의 조류독감 확산에 비춰볼 때 각국의 개별적 노력이 효과적인 지역적, 국제적 협력을 통해 뒷받침돼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참가국 대표들은 조류독감 확산을 막기 위한 역내 검역망을 신설키로 합의했다. 이들은 또 성명에서 조류독감이 사람끼리는 전염되지 않고 있는 만큼 비(非)감염국들이 자국민의 감염국 여행을 규제해서는 안될 것이라고 강조하고 아울러 조류독감에 대한 조사 능력을 강화하고 효과적인 억제조치를 취해나가기로 합의했다. 성명은 이어 조류독감 감염국들에 대한 기술적 지원이 이뤄지도록 하는 한편 유관 국제기구와 협력을 강화하고 신속.투명하며 과학적인 정보 교환 시스템을 갖춰나가기로 했다. 탁신 치나와 태국 총리는 앞서 개막연설을 통해 "조류독감의 빠른 확산을 막기 위해서는 각 국가는 즉각 대응하고 투명성을 갖고 행동하며 믿을 만한 과학적 자료를 얻고 다른 나라들과 정보와 경험을 공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국대표단의 일원으로 참석한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이종구(李鍾求) 부장은 "우리나라는 조류독감이 가장 먼저 발생했지만 초기 단계에 신속히 대처, 피해를 크게 줄일 수 있었다"며 "조류독감의 인체 감염성은 크지 않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우리나라에 조류독감 환자가 발생할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보지만 정부로서는 사전 차단 대책을 철저히 강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중국이 1949년 공산 중국 건국 이후 50여년 만에 처음으로 기밀해제하는 외교문서들 가운데 한국전쟁 관련 문서는 공개하지 못한다고 중국 외교부가 27일 밝혔다.롄정바오(廉正保) 중국 외교부 문서보관소 관장은 이날 홍콩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와의 인터뷰에서 "외교문서 기밀해제가 중국의 대외관계를 위험에 빠뜨리지 말아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이에 앞서 중국 외교부는 지난 18일 1949년부터 1955년까지의 외교문서 1만여건을 담고 있는 3천여권의 자료를 기밀해제하고 일반인은 물론 외국인들에게도 공개한다고 중국 신화통신이 보도했었다.롄 관장은 "한국전쟁은 매우 복잡하며 관련 외교문서를 공개하면 북한과의 관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면서 "당시 옛 소련과 북한 등 3개국 관계 관련 문서도 공개대상에서 제외했다"고 덧붙였다.롄 관장은 "외교부는 지난 1998년 30년이 경과한 정부문서는 공개한다는 국제협약에 따라 외교문서 공개를 결정했다"면서 "1999년부터 특별위원회를 설립하고 공개 대상 문서를 선별해왔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선지루 중국 사회과학원 세계정치경제연구소 연구원은 "미국과 러시아의 북한 관련 문서도 공개됐다"면서 "중국도 사전 검열을 최소화하고 총괄적으로 기밀해제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선 연구원은 "중국이 한국전쟁 관련 문서를 공개하지 않으면 전체적인 그림을 그릴 수 없으며 중국이 북한과의 동맹을 위해 치른 값비싼 대가도 완전한 이해를 구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중국 외교부가 이번에 공개하는 문서는 옛 소련 및 동유럽 국가들과의 외교관계 수립에 관한 전문 등이 주종을 이루며 저우언라이(周恩來) 전 주석의 자필 지시전문과 연설문 초안 등도 포함돼 있다.기밀해제되는 중국 외교문서를 열람하기 위해서는 신청서에 신원과 열람목적 등을 기재하고 외교부 문서보관소에 제출해야 하며 20일 정도가 지나야 열람이 가능하며 메모는 가능하지만 복사는 못한다.
라오스에서도 조류독감 발병이 확인돼 조류독감 발생 확인국가가 9개국으로 늘어난 가운데 27일 태국에서 조류독감으로 인한 두번째 사망자가 공식 확인되는 등 조류독감으로 인한 희생자가 최소 8명으로 늘었다.
미국의 버드 수정법 철폐시한 경과에 따른 한국 등의 양허정지 조치 발동은 1-2개월 정도 미뤄지게 됐다. 세계무역기구(WTO)는 26일(현지시간) 열린 분쟁해결기구(DSB) 특별회의에서 한국 등의 양허정지 요청에 대해 미국이 이의를 제기함에 따라 중재절차를 밟기로 결정됐다고 밝혔다. 한국은 미국이 버드수정법 분쟁과 관련, 세계무역기구(WTO) 분쟁해결기구의 판정을 기한내에 이행하지 않음에 따라 유럽연합(EU), 브라질, 칠레, 인도, 일본, 캐나다, 멕시코 등 다른 공동제소국과 함께 지난 15일 WTO에 양허정지를 요청했었다. 공동제소국들은 이날 회의에서 양허정지 요청이 승인되면 수입관세 인상 등 보복조치를 취할 권리를 갖게 돼있었다. 미국이 이의를 제기함에 따라 DSB는 관련규정에 의거, 1-2개월의 중재절차를 거쳐 양허정지 규모에 대한 판정을 내릴 예정이다. 미국은 지난 23일자로 중재를 신청하면서 한국 등이 피해 규모와 조치대상 품목을 명시하지 않은 점에 이의를 갖고 있다고 밝혔다. 미국은 한국 등이 양허정지를 요청한 직후 불복한다는 성명을 발표한 바 있어 중재요청은 예견된 일이었다. 한국의 피해규모는 미국이 버드수정법에 따라 ▲한국기업에 매긴 반덤핑 및 상계관세 중 매년 미국내 기업에 지불한 금액과 ▲비제소국과 제소국 가운데 양허정지를 요청하지 않은 국가의 기업에 부과한 관세 중 미국내 기업에 지급한 금액을 양허정지 요청국의 피해액을 따져 배정한 금액을 합해 산정될 예정이다. 우리나라의 피해규모는 3천만달러 가량이 될 것으로 정부는 추정하고 있다. 2002년 기준으로 EU와 일본이 입은 피해 규모는 각각 3억3천만 달러와 1억 달러 정도인 것으로 알려졌다. 버드수정법은 징수된 반덤핑 및 상계관세를 피해업계에 나눠주는 것을 주요 내 용으로 하는 것으로, 주요 교역국들은 반덤핑과 상계관세 제소를 부추기는 결과를 낳을 것이라며 반발해왔다. 한국 등 제소국들은 2000년 10월 버드수정법이 발효되자 미국을 WTO에 제소했으며, WTO는 패널(1심)과 상소기구(2심)에서 각각 협정 위반 판정을 내리고 2003년 12월27일까지 법을 폐지하라고 미국에 통보했다.
일본의 전기 및 중기 유적 날조파문을 일으켰던 후지무라 신이치(藤村新一.53) 전 도호쿠(東北) 구석기문화연구소 부이사장은 지난 1974년부터 유적날조 유혹에 빠지게 됐다고 고백했다. 후지무라 씨는 26일 마이니치(每日)신문과 가진 인터뷰에서 20대 후반이었던 74년, 75년께부터 유적 날조를 시작했다고 털어놨다. 그는 `석기가 나오는 꿈을 꾼 후, 그곳을 파보았더니 진짜로 석기가 나왔다'는 식으로 둘러대며 땅속에서 석기를 연이어 발굴해 내는 `기적'을 연출, 고고학계의 `신의 손'으로 불려왔다. 그는 이번 인터뷰에서 유적 날조를 계속하게 된 이유에 대해 "모두가 즐거워하면 좋겠다는 생각에서 그렇게 했다"고 주장, 명성을 얻기 위해 날조행위를 했다는 세간의 지적을 부인했다. 특히 그는 자신의 발굴작업이 계속되면서 "20만년, 30만년 전의 석기가 나오면 좋겠다는 등 주위의 주문도 많아졌다"며 "결국 내가 그것에 응한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나 후지무라씨는 날조사실이 발각된 이후 의사에게 진단을 받은 결과, 정신병에 의해 저질러진 결과라는 얘기를 들었다고 주장했다. 후지무라씨의 `경이적인 발굴작업'에 힘입어 일본열도의 역사는 한때 약 70만년 전까지로 거슬러 올라갔으나, 날조사실이 드러나면서 비교적 확실한 유적이 존재하는 7만-5만년 전으로 뒷걸음질쳤다. 일본 고고학회는 후지무라씨의 유적날조 의혹이 제기되자 지난 2001년 5월 유적 재검증 조사단을 구성, 관련 유적들의 진위여부를 조사해 왔다. 그가 발굴에 관여했던 유적은 홋카이도(北海道)에서 간토(關東)지방에 이르기까지 무려 180여 곳에 달했다.
인도네시아에 이어 서남아시아의 파키스탄에서 추가로 조류독감 발생이 확인되고 라오스에서도 발생한 것으로 추정됨에 따라 조류독감 발생 확인 또는 의심지역이 9개국으로 늘어났다. 또 베트남에서 조류독감 바이러스인 H5N1으로 인해 6명이 숨졌고 태국에서도 유사증세로 1명이 숨진 것으로 확인되면서 이 바이러스의 인체 전염 가능성 여부에 국제 기구와 아시아 각국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특히 세계보건기구(WHO)는 이 바이러스가 사람이 복용하는 기존 감기약인 아만타딘(amantadine)과 리만타딘(rimantadine)에 내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면서 신종 치료약 개발에 최소한 6개월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했다. 파키스탄 보건당국은 지난해 11월 이후 남부지방에서 최대 400만 마리의 닭이 조류독감으로 인해 사망했다고 26일 밝혔다. 서남아시아에서 조류독감 발생이 확인된 것은 파키스탄이 처음이다. 교도통신도 파키스탄 농무부 관리의 말을 인용, 남부 항구도시 카라치의 한 닭 사육농장에서 조류독감 바이러스가 발견됐다고 전했으나 아직 인체감염 사례는 발견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인도네시아 정부 대변인은 지난해 11월부터 470만 마리의 닭이 뉴캐슬병과 이른바 A형 조류독감에 의해 숨졌다고 밝히고 이 가운데 대략 40%가 조류독감으로 인한 것같다고 25일 발표했다. 소피얀 수드라자트 인도네시아 농업부 축산국장은 "인도네시아에 조류독감이 발생해 수백만마리의 가금이 전염됐다는 사실을 숨지기 않겠다"고 말한 것으로 안트라통신이 전했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그러나 지난해 11월 이미 조류독감 발생사실을 확인했으나 지금까지 이 사실을 숨겨온 것으로 드러났다. 이와는 별도로 라오스 정부의 강력한 부인에도 불구하고 이미 라오스 일부지역에서 조류독감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유엔 관계자들이 밝혔다. 인도네시아와 파키스탄에서 발생한 조류독감이 일본, 캄보디아, 한국, 태국, 대만, 베트남에서 발생한 것과 같은 H5N1에 의한 것인지는 아직 확인되지 않고 있다. 대만에서 발생한 조류독감은 H5N1보다 약한 H5N2에 의한 것이다. 베트남에서 조류독감으로 6명이 숨지고 태국에서 유사 증세로 1명이 숨졌다는 보고가 있었지만 다른 지역에서 이 바이러스의 인간 전염사실은 아직 보고 되지 않고 있다. 이와 관련, WHO는 조류독감 바이러스가 급속히 돌연변이를 일으키기 때문에 신종 치료약 개발에 6개월 이상 걸릴 것이라고 경고했다. 학자들은 조류독감에 걸린 닭들과 접촉함으로써 이 질병이 인간에게 전염되는 것으로 믿고 있다. 이 질병이 사람간에 전염된 사례는 보고되지 않고 있지만 이 바이러스가 돌연변이를 일으켜 일반 감기 바이러스와 결합, 신종 바이러스로 변모함으로써 사람간 감염도 야기할 가능성을 보건 관계자들은 우려하고 있다. 한편 태국 정부는 수백명의 장병과 죄수들을 동원, 조류독감이 처음 발생한 수판부리주(州)내 모든 닭들을 살처분하는 한편 미얀마와 접경한 인접 칸차나부리주(州)내에서도 선별작업을 벌이고 있다. 탁신 시나왓 태국 총리는 지난 23일 "2주 전부터 조류독감을 의심해왔다"고 시인하고 "몇주동안 결과가 확인되지 않았지만 (정부는) 조류독감인 것으로 가정하고 대처해왔다"고 말했다. 현재 태국에서만 1천100만 마리 이상의 닭들이 살처분되거나 격리처분됐으며 인도네시아에서 470만 마리, 베트남 290만 마리, 한국 약 200만 마리, 대만 5만5천마리, 일본에서 3만5천 마리의 닭이 살처분됐다. 조류독감이 확산되면서 중국 정부는 태국과 캄보디아산 가금류 수입을 금지했으며 미얀마의 보건 당국자는 태국산 가금류 수입을 아직은 허용하고 있지만 면밀한 검역작업을 거치고 있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수라키아트 사티라타이 태국 외무장관은 28일 관련 회담을 위해 조류독감이 발생한 지역 관계 장관들을 초청했다고 밝히고 "이번 회담에서 감염 국가들을 위한 지속적인 예방 조치들이 마련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 문제는 국경을 초월한 것이기 때문에 감염국이 단독으로 예방활동을 벌일 수는 없다"면서 "우리는 (회의에서) 다른 국가들이 안심할 수 있는 동등한 기준도 마련하게될 것"이라고 말했다. 사티라타이 장관은 중국, 유럽연합(EU), 홍콩, 싱가포르, 미국, WHO, FAO 관계자들도 이번 회의에 참여한다고 덧붙였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2번째 화성탐사선 '오퍼튜니티'가 25일 오후(이하 한국시간) 화성 표면에 무사히 착륙했다고 NASA가 밝혔다. NASA는 오퍼튜니티가 이날 14시5분(그리니치 표준시 5시5분) 화성 '메리디아니 고원(Meridiani Planum)'에 무사히 착륙한 후 지구 관제소와 교신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메리디아니 고원은 앞서 지난 3일 화성에 착륙한 쌍둥이 탐사선 '스피릿'의 착륙지점 '구세프 분화구' 반대편에 위치해 있으며, 매끄러운 표면을 가진 평지로 총 1만620㎞에 걸쳐 펼쳐져 있다. 또 산화철(酸化鐵)인 적철광(赤鐵鑛) 매장 지역으로 이 때문에 토양 색깔이 구세프 분화구의 붉은 토양과는 달리 진회색이나 검은색을 띠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과학자들은 앞으로 오퍼튜니티를 이용, 이곳의 적철광층이 과거 해양 침전물이거나 뜨거운 물로 변화된 화산 퇴적물 혹은 다른 환경 조건에서 형성된 퇴적물인지를 조사할 계획이다. 이날 캘리포니아주(州) 패서디나에 위치한 NASA 제트추진연구소(JPL)에는 아널드 슈워제네거 주지사 부부와 앨 고어 전(前) 부통령이 오퍼튜니티의 착륙 장면을 지켜보기 위해 모습을 드러내기도 했다. 한편 찰스 엘라치 JPL 소장은 이날 기자들에게 지난 21일 이후 지구 관측소와의 교신에 문제가 발생한 스피릿과 관련, 스피릿이 조만간 제 기능을 완전히 회복할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새만금개발청 군산대 이전 무산…교직원 58% 반대
‘이춘석 빈 자리’ 민주당 익산갑 위원장 누가 될까
전북 2026년 국가예산 ‘AI시대 에너지 실험도시’ 목표
1조 2000억 인공태양 유치 시동…전북 민·관·학 손잡고 대장정 돌입
전북출신 김지형 경사노위 위원장, 김용선 지식재산처장
미국 고관세 맞서는 전북, 수출기업 맞춤형 종합대책 가동
새만금 신항만, 국내 8대 크루즈 기항지로
전북 유일 익산 축산물도매시장 5년 만에 재개장
임승식 전북도의원, 노인 임플란트 지원근거 마련
이틀째 밤샘수색에도 울산화력 실종자 2명 못찾아…수색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