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11-07 15:09 (Fri)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사회 chevron_right 날씨

中 황사 또 온다..피해 확산 우려

중국에 22일 다시 한번 황사가 몰아닥칠 것으로 예상되며 한반도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중국 중앙기상대가 오는 22일 전후로 신장(新疆)지역에서 발생한 찬공기 영향으로 황사가 다시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고 예보했다고 신화통신의 인터넷 사이트인 신화넷이 21일 보도했다. 신화넷은 이번 황사 역시 지난 19일 신장에서 발생해 북서기류를 타고 베이징을비롯해 중국 북중부를 덮친 황사와 유사한 것으로 간쑤성(甘肅省), 네이멍구(內蒙古), 닝샤(寧夏)자치구, 산시(陝西)성 중북부, 화북 서북부 등이 영향권에 들 것이라고 전했다. 중국 중앙기상대가 구체적으로 지목하지는 않았으나 바람의 영향으로 한반도 역시 피해권에 들 공산이 커 보인다. 지난 20일 베이징을 비롯해 톈진(天津) 및 허베이(河北), 신장위구르자치구, 간쑤, 네이멍구, 닝샤자치구, 산시, 칭하이(靑海), 산시(山西), 허난(河南), 산둥(山東), 장쑤(江蘇), 안후이(安徽), 쓰촨(四川), 후베이(湖北) 등 북중부 13개 지역을덮친 황사는 2009년 1월 이래 최악으로 해당 지역 주민들이 큰 불편을 겪었다. 중앙기상대는 이는 발생 지역으로 따져도 2년 사이에 가장 큰 규모였다고 밝혔다. 이날 오전 베이징시는 하늘이 온통 오렌지색으로 바뀌었고 황사로 6개성 96만㎢에 달하는 곳에 심각한 피해가 발생, 1천600만명의 주민들이 거의 외출을 삼갔다. 이번 황사의 풍속은 처음에는 5~6급이었으나 일부 지역에서는 7~9급으로 바뀌고곳에 따라서는 10급의 강력한 바람을 동반해 농작물 피해가 컸다. 특히 최근 폭설로 어려움을 겪는 신장위구르 자치주의 경우 황사까지 겹치면서도로와 항공편이 끊기는 등 혼란이 빚어졌다. 지난 3월에도 중국에서 황사가 3차례 발생했으나 큰 피해는 없었다. 중국에서는 지나친 삼림채벌과 도시확산, 그리고 가뭄 등의 자연현상으로 이미중국 전체 면적의 3분의 1이 사막화한 상태며 이 때문에 황사현상이 잦아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와 관련해 중국 사회과학원은 지난 50년 사이에 황사 발생 빈도가 6배 증가해매년 20여차례라고 밝혔다. 지금까지 최악의 황사는 2006년에 발생한 것으로, 당시 30만t의 모래먼지가 베이징을 덮쳤다.

  • 날씨
  • 연합
  • 2010.03.19 23:02

19일 중부 밤에 비

금요일인 19일 전국이 남해상에 위치한 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대체로 맑다가 중국 북쪽에서 저기압이 다가옴에 따라 차차 흐려지고 구름이 많아지겠다. 수도권과 강원 영서는 차차 흐려져 밤에 5mm 미만의 비(강수확률 6070%)가오겠고 그 밖의 지방은 점차 구름이 많아지겠다. 아침 최저기온은 영하 6도에서 영상 2도, 낮 최고기온은 6도에서 15도가 되겠다.늦은 오후부터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바람이 다소 강하게 불겠다. 바다의 물결은 모든 해상에서 0.52.5m로 일다가 오후에 제주도 전해상과 동해먼바다, 서해 먼바다, 남해 먼바다에서 13m로 점차 높아지겠다. 서해와 남해에는 짙은 안개가 끼는 곳이 있겠다. 다음은 19일 지역별 날씨 전망. [오전,오후] (최저최고기온) <오전ㆍ오후 강수 확률>▲ 서울 :[구름많음, 흐리고 가끔 비](-29) < 20,60 >▲ 인천 :[구름많음, 흐리고 가끔 비](-19) < 20,70 >▲ 수원 :[구름많음, 흐리고 한때 비](-39) < 20,60 >▲ 춘천 :[구름많음, 흐리고 가끔 비](-49) < 20,70 >▲ 강릉 :[구름많음, 흐림](012) < 20,30 >▲ 청주 :[구름조금, 흐림](-212) < 10,30 >▲ 대전 :[구름조금, 흐림] (-312) < 10,30 >▲ 전주 :[구름조금, 흐림](-315) < 10,30 >▲ 광주 :[구름조금, 구름많음](-115) < 10,20 >▲ 대구 :[구름조금, 흐림](-115) < 10,30 >▲ 부산 : [맑음, 구름많음](214) < 0,20 >▲ 울산 :[구름조금, 구름많음](115) < 10,20 >▲ 창원 :[구름조금, 구름많음](-213) < 10,20 >▲ 제주 :[구름조금, 구름많음] (418) < 10,20 >

  • 날씨
  • 연합
  • 2010.03.18 23:02

전국 때늦은 3월 폭설 원인은

9일 저녁부터 10일 아침까지 한겨울에나 볼 수있는 큰 눈이 내려 전국을 놀라게 했다. 3월 하고도 중순에 접어드는 이 시점에 전국적으로 '때늦은 큰 눈'이 내리기는이례적인 현상이다. 기상청에 따르면 10일 오전 8시 현재까지 대관령의 적설량(예전에 내려 쌓인 눈과 얼음의 두께 포함)이 108.0cm에 달하는 등 강원 산간과 영동에는 몇일째 폭설이이어졌고, 전국적으로도 서울에 13.5cm의 눈이 쌓이는 등 비교적 고르게 10㎝ 안팎의 적설량을 기록했다. 기상청은 이번 큰 눈이 지난 1월 기록적인 폭설을 만들어냈던 기상적 상황과 기본적으로 비슷한 상황에서 내렸다고 설명한다. 북쪽에서 유입된 찬공기가 남쪽의 습한 공기와 만나 큰 눈을 뿌렸다는 것이다. 이번 대설의 직접적인 원인도 북서쪽에서 고도 5천500m 상공을 통해 우리나라로유입된 영하 40도의 매우 찬 공기다. 이 한기는 일본 남쪽 해상에서 서해상으로 형성된 기압골과 만나 서해상에서 큰눈구름대를 만들어 냈고, 이에 따라 전국적으로 대기가 불안정해져 돌풍과 폭설 등악천후를 유발했다는 것이 기상청의 설명이다. 기본적으로 1월 초 서울 지역에 관측사상 최대 폭설인 25.8cm의 눈이 내렸던 때와 유사한 기상 상황이다. 북쪽 대륙에서 들어온 매우 차가운 공기 덩어리가 비교적 따뜻하고 습기 많은남쪽의 공기 덩어리와 부딪히면서 큰 눈을 유발했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눈은 기온이 낮은 12월이나 1월에 자주 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폭설은 오히려 날씨가 다소 풀리는 23월에 올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기상청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기온이 낮으면 대기 중에 수증기가 적어 눈으로 내릴 수분도 많지 않지만, 기온이 올라가면 그만큼 대기 중 수증기 함량도 커지므로 갑자기 한기가 유입됐을 때 눈의 양도 많아질 여지가 크다는 뜻이다. 그래서 이른 봄에 눈이 내리는 경우는 겨울에 비해 드물지만 일단 눈이 오면 폭설로 변할 가능성이 오히려 더 높다고 기상청은 설명했다.

  • 날씨
  • 연합
  • 2010.03.10 23:02

올 봄 따뜻하고 비 많다

올 봄은 예년에 비해 기온이 높고 강수량은 많을 것으로 전망된다.또 이번 겨울(2009.12~2010.2)에는 평년보다 눈 내린 날과 강수량이 많아 최근 지속된 가뭄 해소에 보탬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전주기상대는 23일'2010년 봄철 방재기상 정책브리핑'을 통해 올 봄에는 기온이 평년(4~18℃)보다 높겠지만 대륙고기압의 일시적으로 확장에 따라 기온이 큰 폭으로 떨어지는 등 기온변화가 클 것으로 전망했다.전주기상대는 올 봄 전북지방 강수량이 평년(51~95㎜)보다 많고, 내륙 산간지방에서는 눈이 내릴 때도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황사 발생일은 올해 발원 가능성이 낮을 것으로 예상, 전국 평년 3.6일과 비슷할 것으로 분석했다.기상대는 또 이달 20일을 기준으로 전주와 군산남원정읍 등 도내 4곳에서 이번 겨울 눈이 온 일수를 분석한 결과 평균 27.3일로 평년(25.3일)보다 2일 많았다고 밝혔다. 이처럼 눈이 자주 오면서 도내 겨울철 강수량도 124.3㎜로 평년(108.3㎜) 보다 많았다.한편, 기상청은 도서지역 주민과 관광객들에게 해양 기상정보를 신속하게 알리기 위해 다음달 11일부터 'One-call 기상정보 전달시스템'을 가동한다고 밝혔다. 도내의 경우 군산에서 어청도선유도개야도로 이어지는 주요 여객선 항로 9개 기항지에 거주하는 마을 이장에게 기상특보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를 발송하면 이장이 마을 앰프방송을 통해 주민과 관광객들에게 실시간으로 알리는 방식이다.

  • 날씨
  • 윤나네
  • 2010.02.24 23:02

전국 올 첫 황사…오후 거의 소멸

25일 전국적으로 약한 황사가 나타났다. 기상청에 따르면 24일 늦은 오후에 네이멍구와 만주 등에서 발원한 약한 황사가북서풍을 타고 25일 오전 5시께부터 국내로 유입됐다. 이에 따라 25일 오전 9시15분 인천 강화도의 미세먼지(PM10) 농도가 황사주의보발령 기준(400㎍/㎥)에 거의 도달한 370㎍/㎥를 기록했으며, 서해5도(백령도)에서도오전 4시25분께 PM10 농도가 369㎍/㎥에 이르렀다. 또 서울(오전 11시5분, 359㎍/㎥), 관악산(오전 10시50분, 332㎍/㎥), 수원(오전 11시35분, 320㎍/㎥), 춘천(오후 2시5분, 215㎍/㎥), 광주(정오, 229㎍/㎥), 군산(오전 10시55분, 254㎍/㎥), 안동(오전 11시50분, 146㎍/㎥) 고산(오전 8시40분,133㎍/㎥) 등 수도권을 비롯해 강원, 호남, 영남, 제주 등 전국에서 약한 황사가 관측됐다. 이번 황사는 우리나라에서 올해 들어 처음 관측된 것으로, 1월에 황사가 관측되기는 4년에 1번꼴로 드물게 있는 일이다. 지난해 우리나라 첫 황사는 2월20일 발생했었다. 기상청 관계자는 "강한 대륙 고기압이 확장하면서 눈이 녹아 지면이 건조한 상태였던 네이멍구 일부와 만주에서 황사가 발생해 우리나라로 유입됐다"며 "짙은 황사가 아니었던 데다가 바람이 강하게 불어 우리나라 대부분 지역에서 오후 들어 황사가 소멸했다"고 설명했다.

  • 날씨
  • 연합
  • 2010.01.25 23:02

작년 황사 60% 가을 겨울에 발생

'봄의 불청객'으로 불리는 황사가 작년에는 제 이름값을 하지 못했다.기상청이 21일 발간한 '2009년 황사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평균 황사 관측일은 7.7일로 평년(1973~2000년)의 3.8일보다 많았으나 최근 10년(1999~2008년)평균인 9.2일보다는 적었다.작년에 발생한 10회의 황사를 계절별로 보면 봄(3~5월)에 4회, 가을(9~11월)과 겨울(12~2월)에 3회씩 나타났다.특히 봄철의 황사 관측일수는 2.5일로 평년의 3.6일보다 적었고 최근 10년 평균인 7.5일에 비해서는 3분의 1 수준에 그쳤다.발원지는 몽골과 내몽골이 7회로 전체의 70%를 차지했으며, 만주 지역이 3회로 나타났다.만주에서 발원한 3차례 황사는 모두 북한을 거쳐 유입됐으며 몽골과 내몽골에서비롯된 황사는 중국 황토고원과 산둥반도를 거쳐 서쪽에서 들어온 경우가 3회, 발해만과 요동반도를 지나 북서쪽에서 유입된 사례가 4회로 집계됐다.황사 강도는 겨울철에 발생한 2회의 황사는 '매우 짙음'(1시간 평균 미세먼지농도 800㎍/㎥ 이상), 봄철에 나타난 1회의 황사는 '짙음'(400~800㎍/㎥)으로 측정됐으며 나머지는 '옅음'(400㎍/㎥ 미만)이었다.작년에는 황사에 관한 각종 기록도 세워졌다.2002년 황사특보제가 시행된 이후 처음으로 2월에 황사특보가 발표된 것을 비롯해 1965년 이후 44년만에 9월 황사가 나타났다.1904년 기상관측 이래 성탄절에 처음으로 황사가 관측되기도 했다.

  • 날씨
  • 연합
  • 2010.01.22 23:02

주말 포근 관광지 붐벼

지난 주말 동안 도내 대부분 지역의 한낮기온이 평년 기온을 웃돌며 포근한 날씨를 보였다.맑은 날씨 속에 한낮기온도 영상 3-4도 안팎까지 큰 폭으로 올라 유명 관광지 곳곳은 많은 인파가 몰렸다.유례없던 한파에 꼼짝없이 갇혀 있던 시민들도 모처럼 기지개를 켜며 거리로 나섰다.전주 동물원에는 17일 하룻 동안만 2000명이 찾아 올해 들어 가장 많은 방문객 수를 기록했고, 전주 덕진공원과 군산 월명공원 등에도 가족단위 나들이객들이 몰리면서 붐볐다.대설주의보로 입산과 탐방로가 통제됐던 도내 유명산들도 오랜만에 북적였다.정읍 내장산은 17일 하룻 동안 1250명이 찾았고, 남원 지리산(북부)에도 521명이 산행에 나섰다. 완주 모악산과 무주 덕유산 등에도 많은 등산객들이 다녀갔다.부모들은 방학을 맞은 아이들 손을 잡고 전주 야외스케이트장과 익산아이스링크장으로 향했다.전주기상대는 "당분간 수은주의 오름세는 지속되겠지만 기압골의 영향을 받는 이번주 후반부터는 점차 흐려지겠고, 21일에는 비나 눈도 예상된다"고 17일 밝혔다.기상대는 또 "22일에는 찬 대륙고기압의 영향으로 서해안을 중심으로 눈이 내리겠다"고 예보했다.18일 아침 최저기온은 영하 11도에서 영하 5도, 낮 최고기온은 6도에서 8도가 되겠다.

  • 날씨
  • 백세리
  • 2010.01.18 23:02

전북 최고 15.5㎝ 폭설..출근길 혼잡

13일 전북 대부분 지역에 대설특보가 발효된 가운데 많은 눈이 내리고 수은주도 뚝 떨어지면서 출근길에 혼잡이 빚어졌다. 또 여객선 운항 중단과 국립공원 입산 통제 등의 피해가 잇따랐다. 전주기상대에 따르면 정읍, 부안, 고창 등 서해안 3개 시.군에 대설경보와 남원, 순창, 임실 등 6개 시.군에 대설주의보가 각각 내려진 가운데 이날 오전 9시 현재고창에 15.5㎝의 폭설이 내렸다. 나머지 지역에도 많은 눈이 내려 부안 13.4㎝, 정읍 12.7㎝, 순창 5.7㎝, 군산4.1㎝, 남원 3.9㎝, 전주 0.8㎝ 등의 적설량을 기록하고 있다. 여기에 장수의 아침 최저기온이 영하 14도를 기록하는 등 도내 전역이 영하 9~14도 안팎으로 떨어지면서 쌓인 눈이 얼어붙어 도로 곳곳이 빙판길을 이루고 있다. 이 때문에 정읍과 부안 등 도심의 주요 도로가 빙판길을 이루면서 차량이 거북이걸음을 하고 있으며 크고 작은 교통사고도 잇따르고 있다. 그러나 전북지역에서는 현재까지 별다른 눈 피해가 접수되지 않고 있다. 전북도 재해대책본부는 인력 774명과 장비 568대, 염화칼슘 285t 등을 동원해오전 일찍부터 제설작업을 하고 있으나 눈이 많이 내린 데다 날씨가 추워 어려움을겪고 있다. 서해 바다에는 풍랑특보가 내려지면서 군산-선유도와 군산-위도 등 5개 항로 여객선의 운항이 중단됐으며 각종 선박 4천여 척도 안전한 항포구로 대피해 있다. 기상이 악화해 군산에서 제주로 향하는 여객기의 운항 여부도 불투명한 상태다. 정읍 내장산과 남원 지리산의 입산은 전면 통제됐고, 무주 덕유산은 12일부터입산이 통제됐다 이날 오전 허용됐다. 기상대 관계자는 "내일까지 서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310㎝의 눈이 더 내리고강추위도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결빙구간이 늘고 있어 안전운전에 유의하고 시설재배와 축산농가는 피해가 없도록 만전을 기해 달라"고 당부했다.

  • 날씨
  • 연합
  • 2010.01.13 23:02

군산 올해 63.7cm…왜 이렇게 많이 오나

올 겨울 눈 내리는 것이 심상치 않다.최근 3년간 전주, 군산, 정읍, 남원의 적설량을 비교해도 매년 전반적인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군산을 예로 들면 2009년 1월부터 올해 11일 현재까지 모두 12차례 눈이 내려 63.7㎝의 적설량을 기록했다. 이는 2008~2009년 같은 기간 7차례 33cm, 2007~2008년 4차례 25.9cm에 비해 적설량과 눈 내린 날이 2~3배 늘어난 것이다.전주 역시 올해 같은 기간 8차례 27.9cm 적설량으로 지난 겨울 6차례 10.3cm, 그 이전 겨울 4차례 13.2cm보다 2배 이상 증가했다. 남원과 정읍 역시 전반적인 증가세에 있다.특히 올해 들어 도내 지역에 눈내리는 날과 적설량이 늘어난 것은 동태평양의 엘니뇨와 북극의 이상저온 등 전지구적 차원의 기상이변이 원인이라는 설명이다. 최근 북극지역의 기온이 영하 20도로 평년보다 10도나 높은 이상고온 현상을 보이면서 북극의 한기가 동아시아, 유럽, 북미지역으로 남하하고 있다. 특히 시베리아 고기압과 함께 동아시아로 남하한 한기는 비교적 따뜻한 수온의 서해상을 지나면서 수증기를 흡수해 많은 양의 눈구름을 만들어 호남지역에 폭설이 잦다는 것이다. 또 이 한기가 장기간 동아시아지역에 머무르면서 한파가 이어지고 있다.엘니뇨도 전형적인 경우 동아시아의 한 기축이 일본 동쪽으로 동진하는 반면, 올해는 동아시아지역에 머무르면서 시베리아 고기압의 활성화를 이끌고 있다.광주지방기상청 박승민 예보관은 "기온과 강수에 영향을 미치는 대기는 한 지역에 국한되지 않고 전지구적인 것으로 엘니뇨와 북극이 이번 호남지역 폭설과 한파의 원인이 되고 있다"며 "앞으로도 추운 날씨가 이어지고 많은 눈이 내릴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고 설명했다.

  • 날씨
  • 임상훈
  • 2010.01.13 23:02
사회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