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11-07 15:09 (Fri)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사회 chevron_right 날씨

'철없는 날씨' 농작물 피해 우려

'봄 날씨는 어디 가고 .'겨울을 연상시키는 쌀쌀한 날씨가 4월말까지 이어지면서 일조량 부족과 이상저온 현상에 따른 농작물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28일 전주기상대에 따르면 이날 도내 각 지역의 낮 최고 기온은 전주 11.3도, 군산부안 11.1도, 임실 9.1도. 장수 8.8도로 평년보다 10도 가량 낮았다. 이같은 낮 기온은 기상관측 이래 4월 하순 최저 기온인 것으로 나타났다.더욱이 28일 오후 도내 대부분의 지역에 강풍주의보가 발효된 가운데 이같은 날씨는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어서 위축된 농심을 얼어붙게 하고 있다.전주기상대는 28일 밤부터 29일 새벽사이 시베리아 상공에서 머물던 찬공기가 한반도를 통과하면서 돌풍이 강하게 불고 무주장수 등 도내 북동부 산간내륙 지역에서는 눈이 내려 쌓이는 곳도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전주기상대 송기옥 예보관은 "군산과 김제부안고창 등지에 강풍주의보가 발효된 만큼, 비닐하우스 등 시설물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대비해야 한다"며 "올 봄(3월1일~4월20일) 일조시간도 247.1시간으로 평년(338.1)보다 크게 적어 농작물 피해가 우려된다"고 말했다.실제 이상저온 현상과 일조량 부족, 평년보다 많은 강수일수에 따른 농작물 피해가 속속 현실화되고 있다.농림수산식품부는 최근 농어업재해대책심의위원회에서 봄철 일조량 부족으로 인한 시설작물 피해를 농업재해로 인정해 전국 3만여 시설작물 재배농가에 총 3467억원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이 중 지원이 결정된 도내 피해 면적 및 농가수는 496ha 1191농가다.그러나 봄철 이상저온 현상이 계속되면서 과수와 시설원예작물 등 농작물 피해는 급격히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또 시설 원예에 이어 노지 작물까지 피해가 확산, 농산물 가격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그러나 전북도는 아직 농가의 신고가 없다는 이유로 정확한 농작물 피해실태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전북도 관계자는 28일 "과수와 복분자 등의 냉해 피해신고 이후 식량작물인 보리나 노지품목인 양파마늘 등의 피해는 현재까지는 접수되지 않고 있다"면서 "피해농가가 발생했을 때는 직접 현장을 찾아 원인을 규명하고 조사 할 것"이라고 말했다.도 관계자는 또 "저장물량이 있어 아직까지는 농산물 가격 상승 조짐은 보이지 않고 있다"면서 "수확량 감소와 피해면적 등 정확한 피해현황은 다음달에나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날씨
  • 윤나네
  • 2010.04.29 23:02

5월 상순까지 햇빛 부족…농작물 비상

올해 2월부터 계속된 일조(日照)량 부족 현상이최근 심해져 농작물 피해가 더욱 커질 것으로 우려된다.27일 기상청에 따르면 올해 4월2126일 일조시간(햇빛이 구름이나 안개 등으로가려지지 않고 지면에 도달한 시간)은 서울 24.4시간, 대전 22.8시간, 대구 23.8시간, 광주 32.8시간, 부산 26.1시간으로 하루 평균 3.85.5시간에 그쳤다.4월 중순(1120일)의 일조 시간은 서울 46.6시간, 대전 58.3시간, 대구 47.1시간, 광주 56.9시간, 부산 43.1시간으로 평년치(각각 70.3, 74.5, 73.2, 72.2, 68.4시간)의 70% 안팎에 불과했다.일조량 부족은 전국 평균 일조시간이 평년보다 약 10% 모자랐던 지난 겨울(2009년 12월2010년 2월)부터 이어진 현상으로, 2월부터 특히 심해졌다.2월 초순부터 4월 중순까지 전국 평균 일조시간은 382.2시간으로 평년의 75% 수준에 머물렀다.비나 눈이 많이 와 강수량이 늘어난 점도 농산물 생육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2월 초순부터 4월 중순까지 전국 평균 강수량은 223.4㎜로, 평년치보다 37% 많았고 강수일(日)도 29.7일로 평년보다 46%나 늘었다.작물 생육에 영향을 주는 낮 최고기온이 잦은 비와 흐린 날씨로 평년보다 낮아진 점도 작황에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2월 초순부터 4월 중순까지 전국의 평균기온은 5.5도, 평균 하루 최저기온은 0.8도로 평년보다 각각 0.3도, 0.9도 높았으나, 일조 시간대에 기록하는 평균 하루 최고기온은 10.4도로 평년보다 0.6도 낮았다.

  • 날씨
  • 연합
  • 2010.04.28 23:02

1일 늦은 오후 비 그쳐…황사 가능성

4월 1일은 남해상을 지나는 저기압의 영향으로전국에 걸쳐 흐리고 비(강수확률 6090%)가 오다가 늦은 오후 서해안 지방부터 개겠다. 남부 지방에는 늦은 밤까지 비가 이어지겠다. 비가 그친 후에는 전날 몽골 등지에서 발원한 황사가 우리나라에 영향을 줄 가능성도 있다. 아침 최저기온은 5도에서 13도, 낮 최고기온은 9도에서 16도가 되겠다. 바다의 물결은 오전에 서해중부 앞바다와 서해남부 전해상, 동해중부 앞바다에서 1.02.5m로 일다가 오후에 24m로 높아지겠고 그 밖의 해상에서는 오전부터 24m로 매우 높게 일겠다. 낮에는 울산 앞바다, 동해남부 먼바다, 남해 전해상에 풍랑주의보가, 전남(고흥, 여수, 해남, 완도, 진도), 경남(양산, 창원, 마산, 진해, 김해, 하동, 통영, 사천, 거제, 고성, 남해), 부산, 울산에 강풍주의보가 발령될 가능성이 있다. 다음은 4월 1일 지역별 날씨 전망. [오전,오후] (최저최고기온) <오전ㆍ오후강수 확률>▲ 서울 :[흐리고 가끔 비, 구름많고 한때 비](89) < 70,70 >▲ 인천 :[흐리고 가끔 비, 구름많고 한때 비](910) < 70,70 >▲ 수원 :[흐리고 가끔 비, 구름많고 한때 비](911) < 70,60 >▲ 춘천 :[흐리고 한때 비, 구름많고 가끔 비](710) < 80,80 >▲ 강릉 :[흐리고 가끔 비, 흐리고 비](812) < 80,80 >▲ 청주 :[흐리고 가끔 비, 흐리고 비](912) < 80,80 >▲ 대전 :[흐리고 가끔 비, 흐리고 가끔 비](1012) < 90,90 >▲ 전주 :[흐리고 가끔 비, 흐리고 비](1113) < 90,90 >▲ 광주 :[흐리고 비, 흐리고 비](1114) < 90,90 >▲ 대구 :[흐리고 비, 흐리고 비](1113) < 70,90 >▲ 부산 :[흐리고 가끔 비, 흐리고 비](1216) < 70,90 >▲ 울산 :[흐리고 가끔 비, 흐리고 비](1216) < 80,90 >▲ 창원 :[흐리고 가끔 비, 흐리고 비] (1216) < 70,80 >▲ 제주 :[흐리고 비, 흐리고 비](1322) < 80,80 >

  • 날씨
  • 연합
  • 2010.03.31 23:02

31일 전국 비…남해안·제주 모레까지

3월의 마지막 날인 31일은 서쪽에서 접근하는기압골 영향으로 전국이 흐리고 비가 오겠다. 이른 새벽에 제주, 전남, 충남 서해안에 내리기 시작해 아침부터는 전국으로(강수확률 6090%) 확대되겠다. 강원 산간에는 비 대신 눈이 내릴 가능성도 있다. 비는 서해5도는 오전에 그치겠고, 늦은 오후에는 경기서해안부터 점차 그쳐 밤이 되면 대부분 지방에서 잦아들겠다. 다만 남해안과 제주도는 4월 1일까지 비가 이어지겠고 천둥, 번개, 돌풍과 함께 상당히 많은 양이 내릴 것으로 보인다. 4월 1일까지 예상 강수량은 남해안과 제주 4080mm, 제주 산간 120mm 내외, 남해안을 제외한 남부지방 3060mm, 충청권, 울릉도독도 2040mm, 수도권, 강원,서해5도, 북한 530mm다. 강원 산지에는 13cm, 북한 지역에는 27cm의 눈이 내릴 것으로 예보됐다. 아침 최저기온은 5도에서 10도, 낮 최고기온은 10도에서 15도로 예상된다. 바다의 물결은 남해동부 먼바다에서 오후에 23m로 조금 높게 일고, 그 밖의 해상은 0.52.5m로 일겠다. 다음은 31일 지역별 날씨 전망. [오전,오후] (최저최고기온) <오전ㆍ오후 강수 확률>▲ 서울 :[흐리고 가끔 비, 흐리고 한때 비](611) < 60,60 >▲ 인천 :[흐리고 비, 흐리고 한때 비](711) < 70,60 >▲ 수원 :[흐리고 비, 흐리고 한때 비](611) < 70,60 >▲ 춘천 :[흐리고 가끔 비, 흐리고 가끔 비](511) < 70,70 >▲ 강릉 :[흐리고 한때 비, 흐리고 가끔 비] (612) < 60,80 >▲ 청주 :[흐리고 비, 흐리고 비](813) < 70,80 >▲ 대전 :[흐리고 비, 흐리고 가끔 비](913) < 70,70 >▲ 전주 :[흐리고 비, 흐리고 비](1015) < 90,90 >▲ 광주 :[흐리고 비, 흐리고 비](1015) < 80,80 >▲ 대구 :[흐리고 비, 흐리고 비](815) < 80,80 >▲ 부산 :[흐리고 가끔 비, 흐리고 비](1015) < 80,80 >▲ 울산 :[흐리고 가끔 비, 흐리고 비](814) < 80,80 >▲ 창원 :[흐리고 비, 흐리고 비] (915) < 80,80 >▲ 제주 :[흐리고 비, 흐리고 가끔 비](1218) < 80,80 >

  • 날씨
  • 연합
  • 2010.03.30 23:02

23일 제60주년 세계 기상의 날 정확하고 신속한 예보 다짐

"정확한 기상 예측만큼, 시민들에게 신속히 알리는 것 역시 중요하다."23일 제 60주년 세계 기상의 날을 맞아 전주기상대 등 도내 5곳 기상대 예보관들이 갖고 있는 마음가짐이다. 동과 리 등 세부적인 기상예보서비스를 하는 동네예보시스템, 131기상콜센터, 기상특보 문자메시지 통보 서비스 등의 변화는 이같은 맥락에서 시작됐다.특히 문자메시지 서비스에 대한 시민들의 호응이 좋아 광주지방기상청은 이번 달부터 내륙지역에 국한된 서비스를 해상으로 확대해 섬에 사는 이장 등에게 풍랑주의보 등을 문자메시지로 통보하는 해양정보 원콜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등산객을 위한 서비스도 있다. 전주기상대는 덕유산, 지리산, 내장산 정상의 기온과 날씨를 해당 산악관리사무소와 지역산악협회에 매주 화, 금요일 통보하고 있다.이처럼 시민대상 기상서비스는 증가하고 있지만, 기상인력은 여전히 부족해 예보관들은 격무에 시달리고 있다. 또 도내에는 기상청이 없는 탓에 이를 안타까워하는 시민들의 애정 어린 항의전화도 전주기상대에 걸려온다. 전주기상대 이전 문제도 예산 등의 이유로 발목을 잡혔지만 여전히 시민들의 관심사항이다.전주기상대 마재준 예보관은 "지난해 기준으로 기상예보 정확도는 87%에 달하지만 시민들에게 신속하게 전달되지 못해 불만이 생기는 것 같다"며 "시민 곁으로 다가서는 기상서비스를 위한 모든 예보관들이 항상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도내에는 전주, 군산, 남원, 정읍, 고창 등 5곳의 기상대가 있고 군산 오성산에 레이더기상관측소가 있다. 또 인력은 순창군이 제공하고 장비와 교육은 기상청이 맡는 기상청-순창군 공동협력기상관측소도 있다.

  • 날씨
  • 임상훈
  • 2010.03.24 23:02

폭설·황사·돌풍…3월 날씨 왜 이러나

3월 들어 따뜻한 날씨와 꽃샘추위가 연속으로 교차하다가 폭설 속에 강풍과 돌풍이 불고 황사마저 잇따랐다. 원래 우리나라의 3월은 겨울철 기압 배치가 무너지고 봄철 배치로 넘어가는 과도기여서 대기 불안정성이 심한 시기이지만 올해는 더욱 유별나다. 3월 날씨가 변덕을 부리는 것은 북쪽의 차가운 시베리아 대륙성 고기압과 남쪽의 고온다습한 해양성 고기압 사이에 우리나라가 끼어 불안정한 기압 배치가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극심했던 북극진동으로 인한 올겨울 혹한의 여파와 엘니뇨 모도키(열대 중태평양의 이상고온 현상)의 합작품이라는 것이 기상청의 분석이다. 북극진동(北極振動.artic oscillation)이란 북반구에 존재하는 추운공기의 소용돌이인 한랭와(寒冷渦)가 수십일 또는 수십년을 주기로 강약을 되풀이 하는 현상을 말한다. ◇ 때아닌 폭설에 황사까지 잇따라 = 봄이 왔다고 선뜻 믿기 어려울 정도로 3월들어 많은 눈이 자주 내리고 있다. 초순에는 강원 지역을 중심으로 연일 눈이 내려 수십cm 쌓이고 대관령의 적설량은 1m를 훌쩍 넘겼다. 9일 저녁10일 아침에는 서울에 13.5cm의 눈이 쌓이는 등 한겨울에나 볼 수 있는 큰눈이 전국적으로 내리기도 했다. 17일 밤18일 새벽에는 천안에 15.0cm 내리는 등 충청권과 경기 남부를 중심으로 전국에 많은 눈이 내린 데 이어 22일 오후에도 수도권, 강원 등을 중심으로 최대5.5cm의 눈이 쌓였다. 황사도 무척 잦은 편이다. 1213일(전국), 13일(중부, 호남), 1516일(전국),20일(전국) 등 이달 들어 며칠 간격으로 황사가 4차례나 관측됐다. 이 중 비와 돌풍을 동반한 저기압이 우리나라를 통과하면서 몰고온 20일의 황사는 2003년 이후 관측사상 최악의 것으로 기록됐다. 당시 흑산도의 미세먼지 농도가 사상 최고치(2천847㎍/㎥)에 이르는 등 남부지방 주민이 특히 큰 피해를 겪었다. 저기압이 우리나라를 빨리 지나가서 돌풍과 황사에 따른 피해가 중국이나 일본에 비해 적었던 점이 그나마 다행이었다. 22일 중국 네이멍구 등에서 발원한 황사가 우리나라에 또 영향을 줄 가능성이있다. ◇ 해양-대륙 고기압에 낀 한반도 '샌드위치' = 올해는 두 가지 요소가 이례적으로 결합해 기상 분석과 예측이 더욱 어렵다는 것이 기상청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첫번째 요소는 지난 겨울 유럽과 동아시아 등 세계 곳곳을 덮친 혹한의 여파로 차가운 시베리아 대륙성 고기압이 평년보다 세력을 오래 유지하고 있다는 점이다. 두번째 요소로는 올겨울 나타난 엘니뇨 모도키로 인해 남쪽의 고온다습한 해양성 고기압도 우리나라에 예년보다 강한 영향을 주고 있는 점이 꼽힌다. 보통 엘니뇨가 발생하면 남아메리카에 가까운 동태평양의 수온이 올라가지만, 엘니뇨 모도키는 우리나라에 가까운 중태평양의 수온을 상승시킨다. 이것이 결국 우리나라 남쪽인 필리핀 동쪽에 위치한 해양성 고기압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원동력이 된다. 박정규 기상청 기후과학국장은 23일 "지난 겨울이 워낙 추워서 한랭한 대륙 고기압이 세력을 잃지 않고 있는데 엘니뇨 모도키가 지속되면서 남쪽의 해양 고기압도 강해져 그 사이에 샌드위치처럼 낀 우리나라의 경우 봄날씨가 극심한 변동성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물론 태양 고도가 갈수록 높아지니 결국 한기는 꺾이겠지만, 대륙 고기압세력이 예년보다 보름 정도 더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 고기압간 다툼에 악천후4월초까지 변덕 가능성 = 강력한 두 고기압이 세력다툼을 벌이면서 그 경계에 끼어 있는 우리나라에 저기압이나 기압골이 통과하기 쉬운 여건이 만들어져 악천후가 잦아지고 있다는 것이 기상청의 분석이다. 남서쪽에서 저기압이 우리나라에 접근하면 남부를 중심으로 봄비가 내렸고, 북서쪽에서 강한 바람이 불어 오면 황사가 우리나라를 뒤덮었다. 시베리아 고기압이 일시적으로 세력을 넓혀 한기가 한반도에 몰아닥치면 수은주가 뚝 떨어졌고, 반대로 해양 고기압의 영향이 커지면 따뜻한 날씨가 찾아왔다. 또 해양성 고기압이 공급한 습기와 대륙성 고기압이 몰고 온 한기가 격렬하게 부딪힐 때는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폭설이 내렸다는 게 기상청 설명이다. 이런 변덕스러운 날씨는 다음달 초까지 지속될 가능성이 있다고 기상청은 예측했다. 정준석 기상청 기후예측과장은 "시베리아 고기압이 우리나라에 4월 상순까지 영향을 미치면서 변덕스러운 날씨가 그 때까지 지속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진기범 기상청 예보국장은 "이번주까지는 비가 자주 내리다가 주말(2728일)을 고비로 강수 빈도가 점차 줄어 서서히 건기로 들어서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 날씨
  • 연합
  • 2010.03.23 23:02

불청객 '황사' 올해 잦아진다

3월 중순께까지 주춤했던 황사가 잦아질 조짐을보이고 있다.21일 기상청에 따르면 전날 오후 중국 북쪽에서 동진해 온 발달한 저기압이 한반도를 통과하면서 후면의 강풍대가 몰고 온 매우 강한 황사가 우리나라 전역을 덮었다.20일 오후 7시20분과 25분 흑산도의 지름 10㎛ 이하 미세먼지 농도(PM10)는 기상청이 2003년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기 시작한 이래 사상 최고인 2천847㎍/㎥에 달했고 오후 8시 기준 1시간 평균 PM10 역시 2천712㎍/㎥로 최고치였다.이번 황사는 남부지방에서 특히 심해 진도는 2천408㎍/㎥, 대구는 2천684㎍/㎥로 종전 기록인 2006년 4월8일 백령도의 2천371㎍/㎥를 넘어섰고 진주 2천265㎍/㎥,울릉도 2천227㎍/㎥, 안동 1천788㎍/㎥, 광주 1천591㎍/㎥ 등도 매우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이와 비교하면 서울지역은 순간 최고 농도가 548㎍/㎥(20일 오후 7시10분), 1시간 평균 농도가 466㎍/㎥(20일 오후 8시)로 그리 높지 않았고 수원 564㎍/㎥, 강화 377㎍/㎥ 등도 상대적으로 낮았다.지리적 위치상 서울 등 수도권 서부가 대개 황사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을 것으로 여겨지는 점을 고려하면 상당히 이례적이다.이는 몽골과 네이멍구에서 발원한 흙먼지가 저기압 뒤를 따라 남동쪽으로 이동해왔기 때문이다.몽골과 네이멍구 등은 비나 눈이 거의 내리지 않아 흙먼지가 일어나기 매우 쉬운 지역인데, 이 흙먼지가 바람을 타고 우리나라로 건너와서 지표면 근처에 떠다니는 것이 바로 황사다.이 때문에 건조한 초봄에 몽골과 네이멍구에서 우리나라 쪽으로 불어오는 바람의 방향과 세기에 따라 황사의 농도와 주요 피해지역이 달라진다.

  • 날씨
  • 연합
  • 2010.03.22 23:02
사회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