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건조지대는 육지의 약 34%에 이른다. 이 가운데 사막은 육지 전체의 19%를 차지하고 있다. 주로 북반구에 분포하고 있고 아프리카, 아라비아, 중앙아시아 일대가 최대 건조지역이다.
먼지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지역은 아프리카 사막과 중국 북부∼몽고 사막지역이다. 아프리카 사하라의 먼지는 대서양을 건너 카리브해, 심지어는 북유럽까지 이동하고 중앙아시아의 먼지는 우리나라를 넘어 태평양 상공, 멀게는 하와이나 알래스카 북안까지 장거리 이동을 한다.
지난 1일 올들어 최악의 황사가 전국을 강타했다. 우리는 '노란 모래'란 뜻의 황사라는 용어를 쓰지만 세계적으로는 '아시아 먼지'로 알려져 있다. 사하라 사막에서 발원하는 흙먼지를 '사하라 먼지'로 부르는 것 처럼.
황사가 발생하면 실리콘· 카드뮴· 납· 알루미늄· 구리 등이 포함된 흙먼지가대기를 황갈색으로 오염시켜 대기의 먼지량이 평균 4배나 증가한다. 이 흙먼지는 천식· 기관지염을 일으키거나 눈에 붙어 결막염· 안구건조증 등 안질환을 유발한다. 이만저만한 고통이 아니다. 심할 경우 항공기· 전자장비 등 정밀기계에 장애를 일으키고 농작물이나 활엽수가 숨쉬는 기공을 막아 성장을 방해하기도 한다.
중국은 도시화· 공업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는 나라다. 흙먼지가 공업지대 상공을 지나면서 황산염· 질산염 같은 중금속과 엉켜붙기 때문에 인체에 미치는 피해도 갈수록 커질 수 밖에 없다. 황사는 이제 봄철의 불청객 수준이 아니라 공포의 대상이 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도 황사대책은 미온적이다. 지난 2001년 유엔지속가능발전위원회(UNCSD)가 처음으로 “국제사회가 황사문제에 대해 공동 대처한다”는 데에 합의한 적이 있다. 황사가 지구 차원의 문제인 만큼 지구환경금융(GEF) 등을 통한 재원지원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지만 뚜렷한 성과가 없다.
황사 대책에 앞장서야 할 나라는 원인 제공자인 중국이다. 사막화 방지와 실태조사, 방사림· 방풍림 조성 등 할일이 많다. 재정투자를 하지 않고 만만디로 버티고 있으니 매년 그 고통을 우리가 겪고 있다.
올 봄철 황사가 지독할 것이라고 한다. 봄은 막 시작됐는데 마스크를 준비하고 외출을 삼가는 일 밖에 달리 방도가 없으니 공포의 대상인 건 분명하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