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휘정 기자(문화부)
단오제로서 풍남제의 역사성을 살리겠다던 ‘2007 전주단오예술제’가 19일 폐막했다.
그러나 흥겨워야 할 축제 끝머리에는 씁쓸함만이 남았다. 개막 전부터 문제가 됐던 부스 추가설치 문제와 안전상 이유로 개통이 취소됐던 ‘단오다리’를 두고 경찰의 수사 착수까지 이야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풍남제가 분산개최를 처음 시도한 올해, 봄행사인 단오예술제는 전주풍남제전위원회와 전주예총, KBS전주방송총국이 공동주최하고 전주예총이 주관했다.
행사를 주관한 전주예총은 전주시의 불허방침에도 불구하고 임의대로 부스를 추가설치하고, ‘단오다리’를 입장료를 받고 몰래 개통하기도 했다. 부스 추가설치를 둘러싸고 각종 의혹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에서 전주예총에 쏟아지는 비난은 당연하다. 안전성을 확보하지 못한 채 ‘단오다리’ 개통만을 요구했던 주관단체의 행동 역시 상식 밖이다.
올해는 안팎으로 변화를 요구받아온 풍남제가 새로운 시도를 하는 해였다. 그만큼 행사 운영 주체 선정에 있어 신중한 판단이 필요했다.
전주예총이 예술제 컨셉을 ‘단오’로 잡아 행사 주관을 맡게됐다는 설명은 충분치 않다. 문화예술계에서는 행사 전부터 실행 주체의 역량 부족을 우려했고, 예산만 집행한 채 사실상 아무런 역할을 하지 않은 풍남제전위에 대한 문제제기도 꾸준히 있어왔기 때문이다.
주관단체의 미숙한 행사 운영으로 결국 시민들의 곱지않은 시선은 단오예술제에 꽂혔다. 실제로 예산 삭감까지 논의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물론 ‘단오다리’ 설치를 두고 예산 낭비라는 지적을 피할 수는 없지만, 문제의 발단은 운영 주체 선정에서 부터 비롯됐다는 걸 깨달아야 한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