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병기 기자(교육부)
일선 교단에서 풍부한 학생 지도 경험이 있는 교육계 인사들은 만나면 귀가 아프도록 듣는 공통된 얘기가 하나 있다.
“책을 즐겨 읽는 학생중에서 공부를 잘하지 못하는 경우는 있지만, 공부 잘하는 학생치고 책을 좋아하지 않는 학생은 단 한번도 본 일이 없다”는 것이다.
인터넷만 뒤지면 어떤 고급 정보라도 쉽게 습득할 수 있기 때문에 지금은 노하우(Know-How)의 시대가 아니고, 노훼어(Know-Where)의 시대가 아닌가 반문해도 교육 전문가들은 자신의 주장을 결코 굽히지 않는다.
젊은 교사들조차 인성 교육은 물론, 단기적으로 입시에서 좋은 성적을 내기 위해서도 어릴때부터 책을 가까이 하는 습관을 들여주는게 가장 중요하다고 단언하는 것을 보면서 “책이 중요하다지만 교육에 있어 그렇게까지 결정적인가”하고 놀란적이 한두번이 아니다.
교육계의 주장을 뒷받침하듯 학교도서관 설치 비율은 일본이 99%, 열국이 98%, 미국이 96%, 한국이 94.1%에 이르고 있다.
하지만 한국은 학생 1인당 장서수가 5.5권으로 일본의 20권에 비해 크게 부족하고, 도서관 1개당 직원 수는 0.3명으로 일본(2.2명)과는 비교도 안된다.
도내 초중고중 669개 학교에 도서관이 설치돼 있으나 전문사서 배치학교는 42개에 불과하다.
현실이 이렇다보니 학생들이 가장 즐겨 찾아야 할 방학기간중 무려 202개 학교도서관은 문이 잠기는 기가막힌 현상이 나타났다.
전문사서가 배치된 학교는 방학중 단 한곳도 예외없이 100% 학생들에게 개방됐지만 나머지는 달랐다.
“점심을 굶거나 수업료도 내지 못하는 학생이 있는 마당에 어떻게 전문사서를 배치하느냐”는 주장이 있을 수 있지만, 학력이 짧았던 마오쩌뚱이 그 험난한 옌안장정중에도 대역사서인 자치통감을 들고 다니며 무려 17번이나 독파했던 그 유명한 일화를 생각할 때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