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대식 기자(정치부)
“의원님께서는 전북발전의 초석이 될 새만금특별법과 태권도특별법률 제정에 진력하여 전 도민의 꿈을 이룩하였기에 감사의 마음을 이 패에 담아 드립니다.”
새만금특별법추진위와 전라북도 태권도협회는 28일, 도내 지역구의원 11명과 한나라당 전북도당위원장에게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감사패를 전달했다. 대상자는 전북도와의 협의아래 준비됐다.
새만금특별법과 태권도공원특별법은 제정여부조차 불투명했다. 십수년째 환경논란에 시달려온 새만금사업의 촉진장치나 다름없으니 회의적인 시각이 많았다.
이를 감안할 때 여야를 막론하고 특별법 제정활동을 벌인 도내 의원들에 대한 감사표시는 이해된다. 새만금특별법은 특별법사상 최대인 137명의 발의자까지 만들어내지 않았던가.
그러나 공적에도 경중이 있는 법. 특별법제정에 온몸으로 나선 의원들과 그렇지 않은 의원들을 똑같이 대우한다는 것은 이번 공로패의미를 격하시킨다는 게 도민들의 지적.
실제로 특별법을 진두지위한 김원기의원, 특별법서명을 각각 82장과 44장 받은 김춘진의원과 최규성의원, 중앙부처를 헤집고 다닌 강봉균의원의 활약상은 지금도 회자된다.
특히 정치권에 한정된 감사패증정은 새만금특별법이나 태권도공원특별법 제정까지 범도민적인 지원활동이 뒤따랐다는 것을 잊은 것이어서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새만금특별법추진위 등 시민사회단체를 비롯, 특별법제정에 101만3000여명이 서명할정도로 적극적이었던 전북도민들이 무대 한편으로 밀려나있기 때문이다.
어쩜 도내 의원들의 특별법활동은 할일을 했을 뿐이다. 지역발전을 위해 뛰어드는 것은 주민들의 대변자로써 당연하다는 게 도민들의 중론이다.
그렇다면 공로패를 받아야할 주인공은 스스로 꿈을 이뤄낸 전북 도민이라고 할 수 있다. 전북도와 도내 정치권은 이들 진짜주인공을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