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용묵 기자(고창주재)
지금 농촌에는 인적이 드물다. 각 마을마다 빈집들이 듬성듬성 눈에 들어올 정도다. 떠난 사람들의 체취를 맡을 수 없는 황량한 집들이 널부러져 있는 셈이다.
농촌인구의 감소는 우리 농촌이 당면한 여러 현안 중에서도 가장 첨예한 문제다. 하지만 하루가 다르게 줄고 있는 농촌 인구 문제를 해결하는 ‘모범 답안’을 찾는 것도 쉽지 않다.
고창군도 지속적인 감소추세를 보이면서 2007년말 현재 6만962명에 불과, 10년 전인 1997년 7만9823명에 비해 23.6%인 1만8861명이나 줄어들었다.
해마다 2000명 가까운 인구가 감소한 추세를 감안하면 향후 5년 이내 5만명 선도 유지하기 힘들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인군 5만선 이하인 군은 1개 실과와 공무원 20여명이 감소돼는 기구축소도 감당해야 한다.
군에서도 단기적인 출산정책부터 장기적인 기업유치까지 다양한 대책을 내놓고 있다. 공무원들은 “골프클러스터 등 굵직한 기업유치를 이끌어낸 만큼 더이상의 인구감소는 없을 것”이라며 희망가를 부른다.
인구 감소 추이를 살펴보면 이 전망도 무색하다. 면 지역 인구가 두드러지게 감소한 반면, 읍지역 인구는 되레 증가했기 때문이다. '면→읍→주변도시→대도시'로의 이동이 이뤄진 까닭이다. 전국 3만6009개 농어촌마을(읍면의 행정리)중 7%인 2506개 마을에서 인구가 증가했다는 것은 바로 이같은 추세를 반영한 결과다.
하지만 그 7% 마을의 인구증가 사유에서 농촌의 희망을 엿볼 수 있다. 주택단지 조성, 산업단지 입주, 자연증가, 전원생활 등이 그 이유다. 고창군을 비롯한 농촌지역 지자체들은 인구증가 요인을 찾아야 한다. 고용 창출과 교육환경 개선, 그리고 탈농이 아닌 도시민의 귀농을 유도하는 전원마을 조성만이 살 길이라는 것을.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