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원 주생비행장 폐쇄 협상 부진
남원 주생비행장 폐쇄 협상이 지지부진한 모습을 면치 못하고 있다.남원시와 국방부가 지난해 2월15일 국민권익위원회의 집단민원 중재에 따라 대체시설을 마련하는 조건으로 주생비행장 폐쇄를 결정했으나, 양 기관은 현재까지 합의각서 조차 체결하지 못한 상태다.그동안 남원시, 35사단, 제2작전사령부, 전라시설단은 실무협의회를 통해 기부 대 양여 방식으로 35사단 103연대의 주둔지를 확장하는 차원에서 대체시설을 조성하는 것으로 의견을 조율해왔다. 남원시 대산면에 마련될 이 대체부지에는 헬기 1개중대가 이착륙 할 수 있는 시설이 조성될 예정이다. 그 규모는 4만9000㎡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남원시 관계자는 지난 8월25일 합의각서 체결을 위한 공문서를 국방부에 발송했으나, 아직까지 답변서를 받지 못했다면서 국방부 실무진에서 검토는 끝난 것으로 알고 있다. 상부에서 검토가 마무리되면 합의각서가 체결될 수 있을 것이라고 해명했다.문제는 폐쇄 결정 후 1년6개월이 넘도록 합의각서가 체결되지 못하면서, 폐쇄될 주생비행장에 대한 부지 활용은 물론 대체부지 토지보상 이행절차도 터덕거릴 수 밖에 없다는 점이다.실제 남원시는 합의각서를 체결하지 못해 대산면 수덕리 일원 3만9185㎡(19개 필지)의 토지보상 이행을 진행할 수 없는 실정이다. 시는 토지보상을 위해 이미 8억원의 예산을 확보했다고 설명했다.이와 함께 폐쇄될 주생비행장을 화물공영차고지로 활용하려는 남원시의 계획에도 일정부분 차질이 불가피해졌다.한편 남원 주생비행장은 국방부 소유로 평상시에는 사용하지 않고 훈련에 필요한 비주둔비행장으로 활용돼왔다. 한국전쟁 때 지리산 공비토벌을 지원하기 위해 만들어진 이 비행장은 공비토벌 이후 제대로 활용되지 않은 채 방치돼왔다.이에 비행장 주변 주민들(293명)은 지난 2012년 10월 군 비행장이 잡초가 무성한 채 방치돼 도심 발전을 가로막고 있다며 주생비행장 폐쇄를 요구하는 탄원서를 청와대, 국방부, 국민권익위원회 등에 제기했다. 이후 이성보 국민권익위원회 위원장, 군 비행장 폐쇄를 요구하는 탄원서를 제출한 293명 주민들의 대표, 이환주 남원시장, 정한기 육군 제35보병사단장, 김운용 육군 제2작전사령부 준장, 오두원 국방시설본부 전라시설단장(공군) 등은 2013년 2월15일 오후 남원시 주생면사무소서 주생비행장 폐쇄에 합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