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기 새만금위원회 민간위원장 "새만금 부정적 이미지 탈피…속도감 있는 개발 최선"
박영기 전북대학교 토목공학과 교수 제가 새만금위원회 민간위원장으로 있는 동안 새만금의 부정적인 이미지를 탈피하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기존에 수립했던 새만금 기본계획을 흔들리지 않고 속도감 있게 추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북도민들이 새만금 개발을 피부로 느낄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박영기(61) 전 전북대 교수가 새만금위원회 민간위원장으로 위촉됐다. 임기는 올해 1월 23일부터 2년간이다.
새만금위원회는 새만금 사업과 관련한 중요 사항을 심의하는 국무총리 소속 위원회다. 국무총리와 민간위원장 등 위원장 2명을 포함해 30인 이내의 정부민간위원으로 구성된다. 민간위원장은 대통령이 위촉한다.
박 위원장은 전북대 토목공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한국수자원학회 운영부회장, 통합물관리 비전포럼 위원, 금강수계관리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한 수자원 분야 전문가다. 새만금개발청 기술자문위원회 위원, 전북녹색환경지원센터 센터장으로 활동하는 등 새만금과 지역 현안에 대한 이해가 밝은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실제로 그동안 새만금 수질 개선과 전북 물관리 문제에 관해 끊임없이 목소리를 내왔다.
박 위원장은 이제는 새만금 수질과 관련된 논란에 종지부를 찍을 때라고 했다. 그는 새만금 유역 제3단계 수질개선대책에 따라 단기 대책이 20212023년, 중장기 대책이 20242030년까지 추진된다. 특히 내년에는 수질대책 중간평가가 있다. 그때 새만금 수질 문제에 종지부를 찍어야 한다고 말했다. 지난해 새만금위원회는 2023년까지 새만금 수질 개선 상황 등을 지켜보고 해수유통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박 위원장은 새만금 해수유통 외에도 새만금호로 들어오는 상류 오염원에 대한 수질 관리, 새만금호 내부 부하량을 감소하는 호내 수질 관리 대책이 함께 논의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즉 상류와 호내, 해양으로 유역을 나눠 수질 관리를 극대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환경단체에서 주장하는 대로 해수유통을 하면, 처음 상태로 돌아가자는 논리밖에 안 된다. 해수유통으로 수위가 상승하면 내부 방수제를 쌓아야 하고, 그러면 매물 토사가 들어가야 한다. 결국 기본계획을 다시 세워야 한다며 해수유통만 하면 수질 문제가 다 해결되는 것처럼 말하지만, 해수유통량에 비례해 수질이 좋아지는 건 아니다. 분명 한계가 있다. 이 때문에 관리수위 -1.5m를 준수하는 한도 내에서 해수유통을 하고, 부족한 부분은 다른 대안과 병행해 수질을 개선하자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 위원장은 올해 예정된 대통령선거와 지방선거와 관련, 새만금 문제가 또다시 정치 이슈화되지 않길 바란다고도 했다. 그는 그동안 새만금 문제가 정치 이슈화되며 너무 많은 시간을 허비했다. 이 과정에서 갈등, 충돌과 같은 부정적 이미지가 생겨났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새만금 기본계획은 2030년까지 새만금의 80%를 개발하겠다고 밝히고 있다. 이에 따라 공항, 항만, 철도 등 기본 인프라 구축도 속도를 낼 전망이다. 지금이 새만금의 기초를 닦는 가장 중요한 시기라고 강조했다.
끝으로 그는 "이처럼 중요한 시기에 중책을 맡아 책임감이 막중하다"면서 앞으로 다른 위원들의 의견을 경청하며, 새만금의 비전을 실현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