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end news
미국프로농구(NBA) 스타선수 출신 데니스로드먼(52) 일행이 3일 평양에 도착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워싱턴 외교가는 다소황당해하는 표정이다. 민간 차원의 '농구외교'를 통해 북미관계를 개선하다는 구상은 좋지만 시점이나모양새가 어딘지 어색하다는 반응들이 나오는 것이다. 무엇보다도 북한이 지난 30일(현지시간) 미국 국무부 고위당국자인 로버트 킹북한 인권특사의 방북 철회로 북미관계가 다시 삐걱대는 시점에서 로드먼의 방북이이뤄진 점이 거론된다. 외견상 당국간의 공식 대화는 필요없고 '마음에 맞는' 민간인들을 상대하겠다는메시지로 '오해'될 여지가 있기 때문이다. 물론 로드먼의 방북이 오래전부터 예정돼있어 킹 특사 방북과는 관계없다는게정설이지만 모양새가 좋지 못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주목할 점은 북한에 10개월째 억류 중인 케네스 배의 신병문제다. 로드먼은 중국 베이징에서 USA 투데이 기자와 만나 "나는 외교관이 아니다"라며"친구인 김정은, 그리고 그의 가족과 만나 좋은 시간을 보내려고 한다"고 말했지만완전히 무관하다고 보기는 어렵다는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워싱턴 외교소식통들은 일단 로드먼의 방북이 배씨의 석방으로 이어질 지는 불투명하다고 보고 있다. 만일 북한이 로드먼 방북을 통해 배씨를 석방할 경우 이는 국제사회에서 '외교적 코미디'로 비쳐질 가능성이 농후하고 향후의 외교적 부담도 커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북한이 당국자의 방북을 거절한 채 아무런 특사신분도 아닌 민간인을 통해 배씨를 석방할 경우 이는 양국의 외교적 신뢰관계에 큰 손상을 입힐 여지가 크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북한으로서도 미국으로부터 아무 것도 얻는게 없이 외교적 카드를 포기하기란쉽지 않을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워싱턴의 한 외교소식통은 "만일 북한이 로드먼을통해 배씨를 풀어준다면 외교적으로 희화화될 수밖에 없다"며 "지금까지 배씨 문제를 공화국 반역행위로 규정하며 국가안보 문제와 연결시켜온 북한의 입장과도 맞지않는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로드먼의 재방북 성사가 북한 최고지도자인 김정은과의 '친밀도'에 기반을 둔 것이어서 석방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시각도 나온다. 로드먼은 지난 5월초 트위터에 글을 올려 "내가 '김'이라고 부르는 북한의 최고지도자에게 나를 봐서 배씨를 석방해달라고 촉구할 예정"이라고 말한 바 있다. 이런맥락에서 방북기간 김정은과 대화하는 기회가 마련될 경우 석방을 요청할 개연성이높아 보인다. 미국 뉴멕시코 주지사를 지낸 빌 리처드슨도 지난 7월 미국 뉴욕에서 열린 한행사에서 '틀에서 벗어난 외교'(out of the box diplomacy)가 중요하다며 "로드먼이야말로 배씨를 꺼내올 수 있는 유일한 사람"이라고 주장한 바 있다. 워싱턴 내에서는 로드먼이 방북문제를 자신의 개인적 이미지를 높이려는 '흥행'에 활용하고 있다는 비판론이 나오고 있다. 로드먼은 지난 7월초 스포츠 전문지 `스포츠 일러스트레이티드'(SI)와의 인터뷰에서 "내가 다음번 노벨평화상 후보 가운데3위 내에 못 든다면 뭔가 심각하게 잘못된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어찌됐건 '농구외교'를 내건 로드먼의 방북행보가 북미관계에 미묘한 기류를 드리우고 있다.
시리아에서 화학무기가 사용된 사건은 영국을포함해 전세계의 공분을 사고 있다. 하지만 영국도 과거 화학무기를 즐겨 사용했고, 특히 윈스턴 처칠 전 영국 총리는 화학무기의 강력한 옹호자였다고 영국 일간 가디언 인터넷판이 2일 전했다. 이에 따르면 윈스턴 처칠의 영국은 1919년 여름 러시아 집권 공산당 볼셰비키군을 상대로 무차별적으로 신경가스를 사용했다는 것이다. 앞서 1917년 현재 팔레스타인 자치구인 가자지구에서도 질식성 가스를 무기로사용하는 등 영국은 당시 화학무기 사용에 거리낌이 없었다는 것.영국은 제1차 세계대전 막바지에는 윌트셔 카운티의 포턴에 있는 정부 운영 실험실에서 'M 디바이스'라는 1급 비밀의 강력한 화학무기를 개발했다. 이 화학무기는 신경독가스의 일종인 다이페닐아민클로로아신(DM)으로 구토와 함께 피를 토하고, 곧바로 무기력증에 빠지게 하는 효과를 냈다. 화학무기 생산을 충괄했던 키스 프라이스 경은 이 독가스가 러시아 볼셰비키 정권의 신속한 붕괴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했다. 프라이스 경은 이 무기를 당시 식민지였던 북부 인도 반군에도 사용하려고 했다.그는 비밀 메모에서 "독가스를 미개한 종족에 사용하는 것에 강력하게 찬성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당시 내각은 이같은 화학무기 사용에 강력하게 반대했으며, 처칠 전 총리의 화학무기 지지에 특히 적대적이었다. 프라이스경은 이에 대해 "인도관할청(India Office)이 독가스 사용에 반대하는것을 이해할 수 없다"면서 "독가스는 고폭탄에 비해 훨씬 자비로운 무기이며, 다른어떤 무기보다 적은 희생으로 적들을 항복하게 만든다"고 주장했다. 그는 황당한 블랙유머를 이 메모의 마지막에 채웠다. "영국 포병이 적들에게 재채기를 하게 만드는 포탄을 쏘는 게 공정하지 않다고주장하는 이유가 뭔지 모르겠다"고까지 한 것.실제로 'M 디바이스' 5만개가 러시아로 공급돼 1919년 8월27일부터 러시아 북부아찬겔 인근지역에 대한 공습에 이용됐다. 러시아군은 피를 토하고 의식을 잃게 하는 이 녹색 가스로 인해 공황 상태에 빠졌다. 하지만 9월로 넘어간 후 습한 가을 날씨로 인해 기대한 만큼 효과를 보지 못하자 영국군은 미처 쓰지 못하고 남은 나머지 화학무기를 러시아 서북부 백해(白海)에모두 버렸다.
새 학년 개시를 앞두고 미국에서 학교 수업중 '동해'(East Sea)와 '일본해'(Sea of Japan)를 함께 가르치도록 하는 교사지침서를 채택하는 지역이 늘고 있다. 재미 한인들로 구성된 '미주 한인의 목소리'(VoKA회장 피터 김)는 26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인근 버지니아주 애넌데일의 한 한식당에서 기자회견을 열어미국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한 동해 표기 확산 운동을 소개했다. 김 회장은 이 자리에서 메릴랜드주 앤 어런델 카운티 교육청이 지난 광복절에즈음해 동해 병기에 관한 교사지침서를 제작해 관할 공립학교의 교장과 교사들에게전달한 데 이어 같은 주 하워드 카운티 교육청도 최근 일선 학교에 동일한 내용의지침서를 내려 보냈다고 설명했다. 지역 공립학교 교과과정을 실무적으로 책임지는 린다 와이즈 하워드 카운티 부교육감은 공문에서 모든 교사는 교실 내에서 동아시아 지리를 교육할 때 동해를 함께 가르치라고 당부했다. 특히 모든 학교 관리자도 새 교과서와 지도 채택 과정에서 동해 병기 여부를 확인하고 구매하라고 지시했다. 김 회장은 이번 조처는 교과서 채택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이어서 앞서 앤 어런델 교육청의 지침에서 한발짝 더 나아간 것이라고 부연했다. 그는 "이로써 메릴랜드주 24개 카운티 및 볼티모어시 가운데 가장 영향력이 큰두 카운티 관내 학교에서는 새 학기부터 교사들이 학생들에게 동해를 가르치게 됐다"고 말했다. 두 카운티의 동해 병기 교사지침서 승인은 미국 수도권 한인사회가 지난 4월 말메릴랜드주 교육위원회에서 동해 병기 이슈를 공식적으로 발표하는 등 꾸준한 설득홍보 작업을 벌인 데 따른 것이다. '미주 한인의 목소리'는 또 메릴랜드주 몽고메리 카운티와 프린스 조지스 카운티로부터도 긍정적인 답변을 받아놓은 상태이며 볼티모어 카운티, 볼티모어 시교육청 등도 집중적으로 공략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김 회장은 "메릴랜드주 전체 인구 가운데 우리가 공을 들이는 6개 지역 거주자가 70% 이상이어서 나머지 카운티의 교육청은 쉽게 설득할 수 있다"며 "각 교육청이채택하는 교과서나 지도에 동해 병기가 꼭 포함되도록 하는 게 다음 목표"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버지니아주 의회 상하원도 지역 공립학교 교과서에 동해와 일본해 병기를 의무화하는 법안을 동시에 추진하고 있어 미국에서 수도권을 중심으로 동해 병기 운동이 확산하고 있다고 김 회장은 덧붙였다. 한인사회는 지난해 3월에는 '동해 표기' 백악관 청원 운동도 벌여 한 달간 10만명 이상의 서명을 받기도 했다.
일본 후쿠시마(福島) 제1원전의 오염수 유출파문이 악화일로를 걷고 있다. 지난 19일 방사능 오염수 300t이 유출된 것으로 확인된 후쿠시마 제1원전내 오염수 저장탱크 1개 외에 오염수 유출이 의심되는 저장탱크 2개가 새롭게 확인됐다고23일 일본 매체들이 보도했다. 후쿠시마 제1원전 운영사인 도쿄전력은 한 저장탱크에서 오염수 300t 유출이 확인된 이후 같은 종류의 탱크 300개를 22일 일제 점검한 결과 다른 탱크 2개 옆에서시간당 70100밀리시버트(mSv)의 높은 방사선량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도쿄전력은 오염수 유출이 의심되는 탱크 2기의 수위가 낮아지거나 외형상의 누수 흔적은 발견되지 않았지만 방사선량으로 미뤄 "미량의 오염수가 새어나갔을 가능성을 부정할 수 없다"고 밝혔다. 도쿄전력은 문제의 탱크 주변에서 오염제거 작업을실시하는 한편 누수의 원인을 규명할 예정이다. 최근 문제가 된 오염수 저장탱크에는 도쿄전력이 '다핵종 제거 설비'를 활용해방사성 세슘을 제거한 오염수가 개당 1천t씩 저장돼 있다. 방사능 세슘은 제거했더라도 다른 방사성 물질은 남아 있다. 한편 후쿠시마 앞바다에서 지난 6월부터 시험 조업을 해온 후쿠시마현 소마(相馬)시의 소마후타바(相馬雙葉) 어업협동조합은 오염수 유출 사태로 해양 오염이 우려됨에 따라 내달 1일부터 조업을 중단키로 22일 결정했다. 이에 앞서 후쿠시마현 이와키(いわき)시 어업협동조합은 전날 회의를 열어 내달초 시작하기로 했던 시험조업 일정을 연기하기로 한 바 있다. 이에 따라 후쿠시마현앞바다에서의 조업은 당분간 이뤄지지 않게 됐다.
미국 국가안보국(NSA) 뿐만 아니라 미군도 범죄관련 동향을 파악하려고 소셜네트워크의 개인 정보에 접근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22일 보도했다. 미국과학자연맹(FAS)의 스티브 애프터굿이 획득한 실험 자료 요약본에 따르면미국 특수전사령부는 지난해 여름 8일간 '약진'(Quantum Leap)이라는 이름의 실험을벌였다. 특수전사령부는 오사마 빈라덴 체포 작전으로 널리 알려진 부대다. 이 실험은 트위터의 개인 정보를 법원, 은행, 지리 정보 서비스 관련 웹사이트와 연동해 파악함으로써 정부기업 관계자 50명의 돈세탁 관련 정보를 파악하려는것이었다. 특수전사령부는 트위터의 정보를 찾아내고 분석하기 위해 크리에이티브래디컬스라는 회사가 만든 '소셜 버블'이라는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했다. 특수전사령부는 소셜 버블을 이용해서 트위터 사용자의 이름과 '팔로어'로 불리는 트윗 수신자의 신원, 대화 시간과 대화 내용 등을 파악했다. 특수전사령부는 이밖에도 여러 근원 자료로부터 정보를 탐사해서 보여주는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 랩터X라는 회사에도 의뢰했다. 크리에이티브 래디컬스와 랩터X는 약진 실험과 관련된 질문에 응답하지 않았다. 특수전사령부측은 실험의 중요성을 평가절하했고, 이같은 프로그램이 더는 존재하지도 않으며 그 실험에 관계된 이들은 부대에 남아있지도 않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진보성향 싱크탱크인 뉴아메리카재단의 기술 전문가 사샤 마인레이스는'약진' 실험이 빙산의 일각일 뿐이라고 지적했다. 몇몇 방위산업체는 이 실험에서 사용된 소셜 버블과 비슷한 제품을 미국 국방부등 여러 나라의 정부 부처에 팔고 있다고 파이낸셜타임스는 지적했다. 트위터는 그동안 사용자들의 정보를 잘 보호했고, 중앙정보국(CIA) 전 직원 에드워드 스노든이 국가안보국의 개인 정보 감시 프로그램에 대해 폭로했을 때에도 관련 회사 명단에서 제외됐지만 이번에는 자신을 상대로 어떤 시도가 이뤄졌는지조차알지 못했다. 트위터측은 '약진' 실험에 대해 "그 정도 정보는 누구나 파악할 수 있다"는 반응을 보였다.
미국 군사법원은 21일(현지시간) 폭로 전문 웹사이트 '위키리크스'에 군사외교 기밀 자료를넘긴 혐의로 유죄 평결을 받은 미군 일병 브래들리 매닝(25)에게 징역 35년형을 선고했다. 미국 메릴랜드주의 포트미드 군사법원 데니스 린드 판사(대령)는 이날 군사법정에서 열린 선고 공판에서 매닝의 형량을 이같이 결정하고 불명예제대, 일병에서 이병으로의 계급 강등, 봉급 일부 몰수 등도 함께 판결했다. 2010년 6월 체포돼 감금된 매닝은 앞으로 32년간 교도소 생활을 해야 하며 형량을 최소 3분의 1 이상을 복역하기 전에는 가석방이 허용되지 않는다. 린드 판사는 2분가량의 짧은 시간에 판결문을 낭독했으며 구체적인 형량 산정사유는 밝히지 않았다. 매닝은 이날 법정에 출석해 재판부의 판결을 주의 깊게 들었으나 별다른 반응은보이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매닝은 2010년 이라크에서 정보 분석관으로 복무하면서 70만건의 이라크 및 아프가니스탄 전쟁 관련 정보 보고서와 국무부 외교 기밀문서를 빼내 위키리크스를 통해 폭로한 혐의로 기소됐다. 그는 앞서 가석방 없는 종신형이 선고될 수 있는 이적 혐의에 대해서는 무죄 평결을 받았으나 간첩법 위반과 절도, 군 규정 위반 등 20개 혐의는 유죄가 인정됐다. 군검찰은 지난주 열린 최후변론에서 매닝에게 징역 60년형을 구형했고 변호인단은 25년형 이하를 주장했다. 매닝이 미국 최대 기밀 폭로 사건을 일으키자 국제적으로도 큰 파문이 일었으며그를 놓고 '내부 고발자'라는 견해와 '반역자'라는 의견이 팽팽하게 맞섰다. 이번 사건의 재판 진행 과정은 특히 중앙정보국(CIA) 전 직원 에드워드 스노든이 최근 미국 국가안보국(NSA)의 개인 정보 감시 프로그램 운용 사실을 폭로하고 러시아로 임시 망명한 사례와 맞물려 더욱 관심을 일으켰다. 매닝이 이날 선고 공판이 끝나고 나서 법정 밖으로 나오자 일부 지지자는 "당신은 우리의 영웅이다" "앞으로도 당신을 위해 계속 싸우겠다"고 외치기도 했다. 위키리크스는 트위터를 통해 "의미 있는 전략적 승리다. 매닝은 9년만 지나면석방될 수 있다"고 밝혔다. 위키리크스의 창립자인 줄리언 어산지는 "미국 정부는 매닝에 대한 판결을 통해(내부고발자에 대해) 본보기를 보이려고 했다"며 "그러나 매닝은 최소한의 형량을선고 받았고, 이는 변호인단, 지지자들의 승리"라고 강조했다. 그는 매닝의 형량을 왜 최소한이라고 계산했는지는 언급하지 않았다. 그러나 어산지는 "이번 판결은 '정의'라는 개념에 깊은 상처를 줬다"며 "매닝을무조건 석방하고, 그동안 매닝이 겪은 불법적인 처우에 대해 보상을 하며, 매닝이폭로한 (미국 정부의) 불법 행위를 철저히 조사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오바마 행정부 하에서 양심적이고 원칙을 지키는 사람이 살 수 있는공간이 없다는 사실이 입증됐다"며 "그렇지만 이 같은 사실은 앞으로 수천명의 제2의 브래들리 매닝을 만들어낼 것"이라고 덧붙였다. 러시아 외무부 인권민주주의법치 담당 특사인 콘스탄틴 돌고프는 성명을 통해 "매닝에 대한 판결은 이치에 맞지 않게 가혹하다"고 비난했다. 그는 "미국의 사법체계는 자국의 이익이 위기에 처하자 인권을 고려하지 않고가혹한 결정을 내렸다"며 "이 같은 이중 잣대는 미국이 인권이란 영역에서 리더십을행사하고 있다는 주장이 근거가 없다는 사실을 증명한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매닝에게 선고된 형량은 지난 몇십년간 미국에서 간첩법 위반 혐의가 적용된 사건 가운데 가장 높은 것이다. 1991년 앨버트 솜벌리는 요르단 정보 요원에게 이라크전 증파 계획과 관련한 정보를 넘긴 혐의로 34년형을 선고받았다. 또 간첩법 위반 혐의로 해병으로는 유일하게 기소된 클레이튼 론트리는 1980년대 초 러시아 주재 대사관에서 복무하면서 당시 소련 첩보 요원을 기밀실에 출입시킨 혐의로 25년형을 선고받았다가 나중에 15년형으로 감형된 바 있다.
미국에서 학교 수업 중 동해(East Sea)와일본해(Sea of Japan)를 함께 가르치도록 하는 교사지침서가 처음 승인된 것으로 20일(현지시간) 알려졌다. 재미한인들로 구성된 사단법인 '미주한인의 목소리'(VoKA회장 피터 김)에 따르면 메릴랜드주(州) 앤 어런델 카운티 교육청은 최근 동해병기에 관한 교사지침서를 작성해 관할 공립학교의 교장과 교사들에게 전달했다. 지역 공립학교 교과과정을 실무적으로 책임지는 안드레아 M. 케인 부교육감은지침서에서 "동아시아 지리를 가르칠 때 교과서에 '일본해'라는 명칭만 있다면 명칭에 대한 논란을 학생들에게 설명해 달라"고 지시했다. 또 "(수업 중에) 그 지역의 지도를 만들 때는 학생들에게 일본해와 동해를 함께쓰도록 해 달라"고 당부했다. 앤 어런델 카운티에는 메릴랜드주의 주도인 아나폴리스도 포함돼 있으며, 80개의 초등학교와 19개의 중학교, 12개의 고등학교 등이 있다. 피터 김 회장은 이날 연합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미국 내에서 동해병기에 관한교육지침서가 승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면서 "이로써 이 지역 학교에서는 교사들이 학생들에게 동해를 가르치게 됐다"고 말했다. 그는 "공립학교 교과서의 내용을 바꾸는 것은 절차상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앞으로도 꾸준한 노력이 필요하다"면서 "이에 앞서 학생들이 교실에서 실질적으로 배우는 내용이 담긴 교사지침서에 동해가 들어간다는 것은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앤 어런델 카운티의 동해병기 교사지침서 승인은 미국 수도권 한인사회가 지난4월말 메릴랜드주 교육위원회에서 동해병기 이슈를 공식적으로 발표하는 등 꾸준한설득홍보 작업을 벌인 데 따른 것이다. 특히 수도권의 다른 일부 카운티도 동해병기와 관련한 교사지침서를 곧 승인한다는 방침인 것으로 알려져 주목된다. 아울러 버지니아주 의회 상하원도 지역 공립학교 교과서에 동해와 일본해 병기를 의무화하는 법안을 동시에 추진한다는 방침이어서 미국에서 동해병기 운동이확산할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건설 중인 전 세계 10대 마천루 중 9개를 아라비아 반도, 중국, 한국 등 아시아가 차지하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글로벌 빌딩정보 업체인 엠포리스(Emporis)가 20일(현지시간) 발표한 조사결과를 보면 현재 공사가 진행 중인 전 세계 상위 10위 마천루 중 가장 높은 빌딩은 사우디 아리비아가 홍해의 항구도시 제다에 건설 중인 킹덤 타워(1천m, 167층)이며,초고층 빌딩 수로는 중국이 7개로 가장 많았다. 올해 3월 착공해 오는 2018년 완공 예정인 사우디 아라비아의 킹덤 타워는 건축사상 최초로 1천m 높이를 기록하게 된다. 현재 건설된 건물 중 최고 높은 건물은삼성물산 건설부문이 아랍에미리트 두바이에 시공한 `부르즈 할리파'로 높이 828m,162층이다. 중국의 고층 빌딩 중에서는 선전의 평안국제금융센터(660m116층2015년 완공예정)가 2위를 차지했고 우한의 그린랜드 센터(636m118층2017년3위), 상하이(上海)의 국제금융센터(632m121층2014년4위), 톈진(天津)의 차이나117 타워(597m117층2015년5위) 등이 세계 10대 마천루에 이름을 올렸다. 한국은 오는 2014년에 완공될 예정인 서울의 롯데월드 타워(556m, 123층)가 전세계 6위를 차지했고, 미국이 뉴욕에 재건 중인 세계무역센터(541m, 104층, 2014년)가 7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엠포리스는 오는 2018년이 되면 세계에서 가장 높은 빌딩은 사우디 아라비아의킹덤 타워(1천m)이며 그 뒤를 이어 부르즈 할리파(828m), 중국 평안국제금융센터(660m), 중국 우한 그린랜드 센터(636m), 상하이 타워(632m), 메카 로열 클락 타워(601m) 순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고 트리뷴 드 쥬네브는 전했다.
중국에서 통신에 이용하기 위해 훈련된 비둘기인 전서구(傳書鳩)를 경주시키는 '비둘기 레이스'의 인기가 폭발하면서 우수 혈통의전서구 가격이 천정부지로 오르고 있다고 영국 BBC 방송이 19일 보도했다. 영국 일간지 데일리 메일을 인용한 보도에 따르면 중국 신흥 중산층 사이에서최근 들어 비둘기 레이스가 새로운 취미로 각광을 받고 있다. 중국은 도박을 법으로 금지하고 있지만 거액의 우승 상금이 걸린 비둘기 레이스는 '도박 회색지대'여서 투자자들과 애호가들을 대거 끌어 들이고 있다. 우승 상금이 무려 1천만위안(18억원)에 이르기도 한다. 비둘기 레이스의 인기가 폭발하자 혈통이 우수한 '레이스 비둘기' 가격이 급등하고 있다. 우수 혈통 레이스 비둘기는 보통 한 마리에 수 백만원대에 이르지만 영국산 최우수 혈통 한 마리가 작년 26만 파운드(4억5천만원)에 거래되기도 했다고 BBC는 전했다. 비둘기 레이스의 역사는 명(明)나라 초기인 14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문화혁명 기간 금지됐다가 최근 부활돼 새로운 '오락'으로 자리잡는 양상이다. 중국에서 비둘기 레이스 붐이 일자 사양길에 있던 영국 비둘기 사육업계는 반색하며 중국 시장 공략에 적극 나섰다. 영국 로얄 레이스 비둘기 사육협회(RPRA)는 회원사들의 중국 사업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전반적인 시장 조사에 착수했다. 스튜워트 워드롭 RPRA 회장은 "(중국) 레이스 비둘기 시장의 거대한 잠재력을알게 됐다"면서 "다른 분야에서와 마찬가지로 중국인은 레이스 비둘기 구입에서도최고급을 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RPRA는 중국 시장 개척을 위해 중국어 회화가 가능한 직원을 채용하고 중국 인터넷 사이트와 소셜네트워크(SNS) 등을 통해 중국 판매망 구축에 나섰다. 영국에도 비둘기 레이스 애호가가 4만2천여명 있으나 1960년대에 비해 절반 수준으로 줄어 든 수준이다. 매년 5% 가량 감소하는 추세이다. RPRA는 레이스 비둘기 사육이 영국 경제에 기여하는 규모는 연간 1억3천만 파운드(1천750억원) 수준이라며 중국 사업 기회 확대로 경제 기여도가 크게 증가하기를희망하고 있다고 말했다.
'디지털 시대'를 맞아 한자 쓰기에 어려움을느끼는 중국인들이 늘어나고 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가 20일 지적했다. 최근 중국 관영 중국중앙(CC)TV에서 방송을 시작한 '한자 받아쓰기 대회' 프로그램에서는 이같은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한자 위기를 해결하자는 취지에서 지난달 시작된 이 프로그램에서는 방청객 중성인들을 무작위로 선택해 한자를 쓰게 한다. 한 번은 지목된 방청객 중 70%가 '두꺼비'를 뜻하는 한자를 제대로 쓰지 못했고'두꺼운'이라는 의미의 쉬운 한자를 쓰지 못한 사람들도 절반 이상이었다. 앞서 지난 5월 컨설팅업체인 링뎬(零点)리서치컨설팅사는 12개 중국 도시 거주자 94%가 자신들이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글자를 정확히 쓰지 못했다는 조사 결과를소개하기도 했다. 중국인들이 한자 쓰기에 어려움을 겪는 가장 큰 이유는 모바일 기기 확산으로직접 손으로 한자를 쓸 기회가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1950년대 중국은 문맹률을 낮추기 위해 기존 한자의 획수를 줄인 간체자를 도입하고 동시에 로마자 알파벳을 이용한 발음부호인 병음을 도입했다. 이 병음은 컴퓨터와 모바일 기기 도입과 맞물려 가장 인기있는 한자 입력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병음을 입력하면 같은 발음의 여러 한자가 목록에 나오고 여기서 해당 한자를 선택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무척 편리하지만 대신 복잡하거나 잘 쓰이지 않는 한자에 대한 사람들의 기억이 희미해지는 결과를 가져왔다. 항저우(杭州) 외국어 학교의 중국어 교사인 마룽(馬龍)은 "사람들이 해당 한자가 어떤 뜻이고 어떻게 읽는 줄은 알지만 손으로 쓸 줄은 모른다"면서 학교에서도이런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한자 관련 중국 월간지인 교문작자(咬文嚼字)의 하우밍젠 편집장도 "학교에서도한자를 가르치는데 별 노력을 하지 않고 있고 또 한자를 쓸 기회도 줄어들고 있다"라면서 중국어 쓰기 능력 퇴화 문제가 심각해졌다고 지적했다.
이집트 군경이 무함마드 무르시 전 대통령을 지지하는 시위대를 강제 해산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사망자 수가 눈덩이처럼 불고 있다.이집트 보건부는 15일 오전 11시께(이하 현지시간) 전날 군경과 시위대의 유혈 충돌 과정에서 전국적으로 민간인 421명과 군경 43명 등 모두 464명이 숨지고 3572명이 다쳤다고 발표했다.보건부의 무함마드 파탈라 대변인은 민간인 사망자 가운데 무르시 지지자들의 최대 집결지인 카이로 라바 광장에서 137명이, 나흐다 광장에서는 57명이 각각 숨졌다고 설명했다.사망 원인은 대부분 총상이나 최루 가스에 의한 질식이라고 AFP 통신은 전했다.보건부는 애초 전날 오후 3시께 이번 유혈 사태에 따른 이집트 전역의 사망자 수를 56명으로 집계했다.비슷한 시간대 무르시의 지지기반인 무슬림형제단이 "군부의 강제 진압으로 250명 이상이 숨지고 5000명 이상이 부상했다"고 주장한 것과는 큰 차이가 있었다.그러나 정부의 사망자 집계 수치는 시나브로 계속 늘어 전날 오후 8시께 149명(군경 사망자 제외), 오후 10시께 278명(군경 사망자 포함), 이날 오전 10시께 370명으로 각각 증가했다.급기야 이날 오전 11시께 보건부가 발표한 사망자 수치는 군경을 제외하고도 400명을 훌쩍 넘어 만 하루도 채 안 돼 애초 집계 규모보다 8배 가까이 불었다.무슬림형제단이 주장하는 사상자 규모 역시 전날보다 훨씬 증가했다.무슬림형제단은 전날부터 이집트 전역에서 이날 현재까지 2200명이 숨지고 1만명 넘게 다쳤다고 주장하고 있다.그러나 3000명이 넘는 부상자 가운데 총상자가 많아 사망자는 더 늘 수도 있어 정부 집계 사망자 규모만으로도 이번 유혈 사태는 2011년 1월 호스니 무바라크 전 대통령을 축출한 '아랍의 봄' 혁명 이후 최악의 참사로 기록될 전망이다.실제 보건부의 또 다른 대변인 칼리드 엘카티브는집계가 아직 진행 중이어서 전체 사상자 규모는 더 증가할 수 있다고 AP 통신에 말했다.연합뉴스
대만 외교부는 15일 일본 각료 2명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에 대해 논평을 내고 "주변국 국민의 감정에 상처를 주는 행동을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대만 외교부는 논평에서 "일본 정부와 정치인들이 역사적 사실을 직시하고 역사교훈을 기억하기 바란다"면서 "일본이 미래지향적인 사고로 역사적 잘못에 대해 책임지는 태도를 보이고, 주변 국가들과 발전적인 좋은 관계를 유지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중국 정부가 일본 각료의 야스쿠니(靖國)신사 참배를 강력히 규탄했다. 훙레이(洪磊)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15일 "일본 내각 성원이 2차 세계대전 A급전범이 있는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한 것은 역사적 정의와 인류의 양심에 대한 공공연한 도전으로서 중국 등 아시아 피해국 국민의 감정을 심각히 상하게 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훙 대변인은 외교부 홈페이지에 올린 글에서 "일본 지도자가 어떤 형식, 어떤신분으로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하더라도 그 실질은 군국주의 침략 역사를 미화하는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훙 대변인은 일본 정치인들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가 필연적으로 중국 등 아시아이웃 나라와 국제사회의 규탄을 초래하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야스쿠니 신사 문제는 일본이 군국주의 침략 역사를 정면으로 인식할 수있는지, 피해국 국민의 감정을 존중할 수 있는지와 관련된다"며 "일본이 침략 역사반성 약속을 철저히 지킴으로써 국제사회의 신뢰를 얻지 못한다면 일본과 아시아 이웃 나라와의 관계에는 미래가 없다"고 경고했다. 중국 외교부 류전민(劉振民) 부부장은 이날 오전 기테라 마사토(木寺昌人) 주중일본대사를 외교부 청사로 불러 항의했다. 훙 대변인은 "류 부부장이 일본대사를 긴급히 불러 강렬한 항의와 심각한 규탄의 뜻을 전했다"고 밝혔다.
중국의 한 시립공원 내 동물원이 사자 우리에개를 전시하는 등 엉터리 운영으로 물의를 빚고 있다고 현지 언론이 15일 전했다. 중국 동방금보(東方今報)에 따르면 허난(河南)성 뤄허(누<물수변 붙은 累>河)시에는 최근 시 인민공원 안의 동물원에 가짜 사자와 이리 등이 전시되고 있다는 불만신고가 잇따라 접수됐다. 제보를 받은 기자가 현장에 가보니 '아프리카 사자'라는 푯말이 붙은 우리에는중국에서 경비견으로 많이 기르는 짱아오(藏獒티베트산 매스티프)가 있었다. 기자가 동물원 관리인에게 이유를 묻자 "원래 있던 사자가 교배를 위해 잠시 다른 동물원에 갔다"는 답변이 돌아왔다. 옆에 있는 이리 전시관에서도 개가 짖어대자 관리인은 "이리와 개를 함께 기르고 있으며 이리가 안쪽으로 들어가 보이지 않을 뿐"이라고 해명했다. 그러나 중국의 국가 1급 보호동물인 표범 전시관 역시 여우로 보이는 동물 몇마리를 기르고 있었고 뱀 전시관에는 엉뚱하게도 커다란 해삼이 있었다. 이에 대해 시 공원 담당자는 "몇 년 전부터 개인과 계약을 맺고 동물원 운영권을 넘겼다"면서 "공원에서도 사육사들을 파견해 동물들을 나름대로 관리하고 있다"고 말했다. 현지 언론의 확인 결과 해당 동물원은 당국의 요금 징수 허가도 받지 않고 멋대로 1인당 15위안(2천700원)의 입장료를 받아온 것으로 드러났다. 중국에서는 최근 소득 수준 향상으로 관광산업이 급성장하면서 우후죽순처럼 생겨나는 중소 동물원 관리 문제가 불거지고 있다. 지난 5월에는 지린(吉林)성 창춘(長春)시에 있는 한 동물원이 멸종위기동물인백두산 호랑이를 탁자에 줄로 묶고 관람객이 올라타 사진을 찍게 하는 등 학대한 사실이 드러나 비난을 샀다.
일본의 역대 총리 가운데 패전일인 8월15일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한 이는 1978년 태평양전쟁 A급 전범 14명이 비밀리에 합사되기 전인 1975년 미키 다케오(三木武夫) 총리가 처음이었다. 하지만 미키 총리는 자신의 참배가 '사적 참배'라며 공용차를 쓰지 않고 신사참배할 때 등에 봉납하는 공물료(다마구시<玉串>료)도 사비로 냈다. 총리가 신사를 참배하는 것은 헌법의 정교분리 원칙에 위배된다는 위헌 논쟁과개인으로는 신교의 자유가 허용된다는 점을 절묘하게 감안해서다. 그후 오히라 마사요시(大平正芳)총리 등이 이같은 참배 형식을 빌려 8.15 참배를 단행했다. 일본 총리가 8월15일 야스쿠니 '공식 참배'를 단행한 것은 나카소네 야스히로(中曾根康弘) 총리가 처음이다. 그는 패전 40주년인 1985년 8월15일 두 명을 제외한각료 전원을 대동하고 야스쿠니 신사를 총리 자격으로 당당히 참배했다. 나카소네 총리는 당시 관방 장관의 사적 기관인 '각료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 문제에 관한 간담회'를 설치, 신도 형식을 취하지 않는 공식 참배라는 '묘수'를 찾아내 참배 반대론을 물리쳤다. 신도 참배 형식인 '2배(排) 2박수 1배'를 피하고 1례(禮)만 하는 대신에 그전의역대 총리가 사비로 충당해 왔던 공물료는 공비로 내는 방법을 썼다. 하지만 당시 나카소네 정권의 공식 참배는 한 번으로 끝났다. 야스쿠니 신사에도조 히데키(東條英機) 등 A급 전범들이 합사된 사실이 알려진 이후 처음으로 강행된 일본 총리의 공식 참배에 항의해 한국, 중국이 격렬하게 반발했기 때문이다. 그 후 1992년 11월 미야자와 기이치(宮澤喜一) 총리 등이 야스쿠니를 참배했다. 그러나 미야자와 총리는 당시 참의원 선거 과정에서 자민당이 내건 '참배 공약'을둘러싼 '일본유족회'의 압력에 밀려 일정 등도 사전에 알리지 않은 채 '조용히' 참배를 마쳤다. '나카소네 참배 파문'이후 잠잠했던 야스쿠니 참배 문제가 다시 외교 문제로 부상했던 것은 1996년 7월 하시모토 류타로(橋本龍太郞) 총리때다. 하지만 하시모토총리는 자신의 생일을 기해 야스쿠니를 참배한 후 "(야스쿠니에 합사돼 있는) 사촌때문에 왔다"고 개인적인 참배임을 강조했다. 일본유족회 회장과 '다함께 야스쿠니신사를 참배하는 국회의원 모임' 회장을 역임했던 하시모토 총리는 당시 신도 참배 형식을 취했으나 공물료는 내지 않았다. 하시모토 총리 역시 한국과 중국이 강하게 반발하자 그 후로는 참배를 단념했다.아시아 피해국의 반발로 수면하로 들어갔던 야스쿠니 참배는 2001년 고이즈미준이치로(小泉純一郞) 정권이 출범하면서 다시 부활됐다. '반드시 야스쿠니를 참배한다'고 약속, 일본유족회의 지지를 받아 집권한 고이즈미 총리는 5년5개월의 재임기간 매년 야스쿠니를 참배하다가 집권 마지막 해인 2006년 한차례 8.15 참배를 단행했다. 2006년 9월 1차 집권한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는 2007년 4월 야스쿠니 춘계예대제때 신사 제단에 바치는 화분 형태의 제구인 '마사카키'(眞신<木+神>)공물을 봉납하는 것으로 참배를 대신했다. 작년말 다시 집권한 아베 총리는 1차 집권때 야스쿠니를 참배하지 못한 데 대해스스로 통한의 심정을 토로해 왔다.
'제1회 세계 일본군 위안부 기림일'인 14일 전세계 주요 도시에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한'을 풀어 주라는 양심세력의 목소리가 울려 퍼졌다.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등이 주도하는 '기림일 기념 세계연대행동'은 이날을 전후해 일본 등 세계 9개국 16개 도시에서 집회시위 등 각종 행사를 벌였다.이날 저녁 도쿄 신주쿠(新宿)구 가시와기(柏木)공원 일대에서는 '일본군 위안부 메모리얼 데이' 행사가 열렸다.일본의 위안부문제 관련 네트워크인 '일본군 위안부 문제해결 전국행동'(이하 전국행동) 회원들을 중심으로 한 일본 시민 150여명은 신주쿠 거리를 행진하며 8월14일을 위안부 피해자들을 기억하는 유엔 기념일로 지정할 것을 촉구했다.8월14일은 1991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로는 처음으로 한국의 김학순(1997년 작고)씨가 피해사실을 증언하는 공개 회견을 가진 날이다. 위안부 문제에 대한 국제적인 관심이 일고, 그로 인해 일본 정부가 위안부 강제동원에 대해 인정하고 사죄한 고노(河野)담화를 발표하게 된 출발점이었다.시민들은 위안부 피해자들의 이름을 적은 등과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일본 정부의 성의있는 태도를 촉구하는 메시지가 적힌 플래카드를 펴든 채 행진했다.아베 정권에 '피해여성들이 받아들일 수 있도록 문제를 해결하라', '피해자들에게 사죄하고 보상하라'고 요구하고 유엔에 8월14일을 기념일로 정하라고 촉구했다.집단적자위권 행사와 평화헌법 개정을 추진하는 등 우경화 행보를 걷는 아베 정권에는 "전쟁으로 향하고 있다"며 "개헌에 절대 반대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이날 집회에 맞서 일본 우익단체 회원으로 보이는 남녀 수십명이 확성기를 이용해 방해에 나섰으나 경찰이 대거 출동해 경비에 나서 물리적 충돌은 없었다.독일 베를린 브란덴부르크문 앞에서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진상 규명과 일본 정부의 사죄를 촉구하는 침묵시위가 열렸다.이날 집회에는 위안부 문제에 관심을 보여온 재독 한국계일본계 교포로 구성된 '일본 여성 이니셔티브'와 일반 독일 시민, 종교 단체 관계자 등 70여 명이 참석했다.이들은 일본 정부에 진상 규명을 위한 법 제정과 위안부 할머니들에 대한 사죄를 촉구하는 플래카드, 위안부 할머니들의 사진 등을 들고 시위를 벌였다.침묵시위에 앞서 '일본 여성 이니셔티브'와 독일 기독교단체 관계자들은 독일 주재 일본대사관을 찾아가 우편함에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에게 보내는 항의 서한을 넣었다.독일동아시아선교회(DOAM)의 파울 슈나이스 목사는 "위안부 기념일이 제정되고 세계 곳곳에서 연대집회가 열린 것은 매우 뜻깊은 일"이라면서 "큰 죄를 짓고도 무엇을 잘못했는지조차 모르는 일본 정부에 각성을 촉구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미국 로스앤젤레스의 일본 영사관 앞에서는 이날 낮 한인 교포와 시민단체 회원 등 약 30여명이 일본 제국주의의 침략과 인권 유린을 규탄하는 소규모 행진을 벌인 후 집회를 열었다.이들은 일본 정부가 위안부 문제에 대해 사실을 인정하는 등 책임있는 태도를 취하고 배상과 사죄에 나서라고 촉구하는 구호를 외쳤다.이외에도 우리나라 서울대구와 일본 홋카이도나고야간사이후쿠야마북규슈, 미국 시카고, 대만 타이베이,캐나다필리핀네덜란드인도네시아 등에서도 연대집회가 이어졌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예정된 행사가 진행되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이 올해 광복절을 맞아 특별히 동영상을 통해 한국 국민에게 축하 메시지를 보내 화제다.14일(현지시간) 워싱턴DC 외교소식통에 따르면 국무부는 전날 주한 미국대사관을 통해 케리 장관이 최근 국무부 청사에서 녹화한 광복절(Republic of Korea's Independence Day) 축하 동영상을 공개했다.케리 장관은 동영상에서 "버락 오바마 대통령과 미국 국민을 대신해 광복절을 맞는 한국 국민을 축하하게 돼 매우 기쁘다"고 말했다.그는 특히 "양국의 동맹은 공유된 역사에만 뿌리를 두고 있는 게 아니다"면서 양국 국민과 학생, 기업가, 군인들이 각 분야에서 함께 함으로써 동맹이 더 강력해지고 있다고 강조했다.미국 국무장관은 외국의 주요 경축일에 축하 성명을 발표하는 게 관례이나 동영상을 통해 축하하는 것은 아주 이례적이다.버락 오바마 행정부 출범 이후 힐러리 클린턴 전 장관이 2009년을 제외하고 매년 광복절 축하 성명을 발표했고, 오바마 대통령도 2010년 별도의 성명을 냈으나 모두 서면 메시지였다.특히 이날 국무부가 케리 장관 이름으로 발표한 인도와 파키스탄의 독립기념일 축하 성명도 서면이었다.이처럼 케리 장관이 자신의 취임후 첫 광복절 축하메시지를 동영상을 통해 전한 것은 올해 한미 동맹 60주년을 특별히 기념하기 위한 취지라고 한 외교 당국자는 전했다.실제로 케리 장관은 동영상에서 "지난 60년간 한국은 활기찬 민주국가이자 세계적인 경제강국으로 성장했다"면서 "지난 60년간 양국은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동맹관계를 만들어냈다"고 거듭 강조했다.한 소식통은 "케리 장관이 올해 한미 동맹 60주년을 맞아 특별하게 축하메시지를 보내는 방법을 검토하도록 했고, 그 결과 동영상을 만들어 차별화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도쿄=연합뉴스) 김용수 특파원 = 일본 아베내각 각료인 신도 요시타카(新藤義孝) 총무상과 후루야 게이지(古屋圭司) 납치문제 담당상이 15일 오전 야스쿠니(靖國) 신사를 참배했다.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는 이날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하지 않는 대신 대리인을 통해 '자민당 총재 아베 신조' 명의로 다마구시(玉串물푸레나무 가지에 흰 종이를 단 것) 공물료를 사비로 봉납했다.아베 총리의 자민당 총재 명의 공물료 봉납은 중국, 한국과의 관계를 배려하는 동시에 전몰자에 대한 존숭(尊崇)의 뜻을 표하는 자세에 변함이 없다는 점을 국내 보수 지지층에게 보여준 것으로 풀이된다.아베 총리는 지난 4월 야스쿠니 춘계 예대제(例大祭) 때는 '내각 총리 대신' 명의로 신사제단 제구인 `마사카키'(眞신<木+神>)공물을 봉납하는 것으로 참배를 대신했다.신도 총무상은 이날 참배 후 기자들에게 "개인적인 참배로 외교에 영향은 미치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후루야 납치 담당상은 야스쿠니 참배는 "국내문제로 이웃국가로부터 비판이나 간섭을 받을 일이 아니다"고 말했다.두 사람은 아베 내각의 대표적인 우익 성향 정치인으로 올 4월 야스쿠니 춘계 예대제 때도 야스쿠니를 참배했다.후루야 위원장은 지난해 5월6일 미국을 방문, 뉴저지주에 설치된 위안부 기림비 철거를 요구했다.또 신도 총무상은 2011년 8월 한국의 독도 지배 강화 실태를 살펴보겠다며 울릉도 방문길에 나섰다가 김포공항에서 입국이 거부된 바 있다.아베 내각 각료 중에서는 두 각료 외에 이나다 도모미(稻田朋美) 행정개혁 담당상도 야스쿠니를 참배할 것으로 예상된다.아소 다로(麻生太郞) 부총리,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외무상 등은 야스쿠니 참배를 하지 않겠다는 의향이다.한편 일본의 `다함께 야스쿠니신사를 참배하는 국회의원 모임' 소속 의원 50여명이 이날 야스쿠니신사를 참배할 전망이라고 교도통신이 보도했다.집권 자민당의 다카이치 사나에(高市早苗) 정조회장도 참배할 예정이다.초당파 의원연맹인 이 모임은 매년 야스쿠니 춘계, 추계 예대제 때와 8월15일에 야스쿠니를 집단 참배해 왔다.이 모임은 올 4월 춘계 예대제 때는 집계 기록이 있는 1989년 이후 가장 많은 168명이 야스쿠니를 참배했다.도쿄 중심지 지요다(千代田)구에 있는 야스쿠니 신사는 근대 일본이 일으킨 크고 작은 전쟁에서 숨진 사람들의 영령을 합사해 떠받드는 시설이다.현재 태평양전쟁 A급 전범 14명을 포함해 246만6천여명이 합사돼 있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한국의 광복절이자 일본의 패전일인 15일 야스쿠니(靖國) 신사에 본인 명의로 공물료를 봉납하기로 했다고 NHK 등이 14일 보도했다. 아베 총리는 야스쿠니에 참배하지 않는 대신 대리인을 통해 '자민당 총재 아베신조' 명의로 다마구시(玉串물푸레나무 가지에 흰 종이를 단 것)료를 사비로 14,15일 중으로 낼 방침이다. 신사 신전에 바치는 공물인 다마구시료는 통상 타인을 통해 참배를 의뢰할 때신사에 낸다. 결국 아베 총리는 '대리참배' 형식을 취하기로 한 셈이다. 또 '내각 총리 대신'이 아닌 자민당 총재 명의로 공물료를 납부키로 한 것은 한국, 중국의 입장을 배려한데 따른 것이지만 한국, 중국의 반발은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고 교도통신은 보도했다. NHK도 "중국, 한국과의 관계를 배려하는 동시에 전몰자에 대한 존숭(尊崇)의 뜻을 표하는 자세에 변함이 없다는 점을 보여주기 위해" 이같이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20062007년 제1차 총리임기때 야스쿠니 참배를 하지 않은 것이 통한이라고 밝혀온 아베 총리는 지난 4월 야스쿠니 춘계 제사때는 '내각 총리 대신' 명의로 신사제단 제구인 '마사카키'(眞신<木+神>)공물을 봉납하는 것으로 참배를 대신했다.아베 내각의 각료 중 현재까지 다무라 노리히사(田村憲久) 후생노동상, 후루야게이지(古屋圭司) 공안위원장 겸 납치문제 담당상, 이나다 도모미(稻田朋美) 행정개혁상, 신도 요시타카(新藤義孝) 총무상 등 4명이 참배 가능성을 시사한 바 있다. 아베 총리는 본인의 참배 여부에 대해 사전사후에 밝히지 않을 것이며, 각료들의 참배는 개인 판단에 맡기겠다고 밝혀왔다. 한편 산케이신문은 아베 총리가 제2차 아베 각 출범 다음날인 작년 12월27일 오전 비서관들을 대동하고 야스쿠니 신사를 전격 참배하는 것으로 결정했다가 막판 '정치적인 판단'에 따라 취소했다고 14일 보도했다. 신문은 당시 참배안이 부상한 것은 야스쿠니 영령들에게 총재 취임 인사를 한다는 명분이 서고, 한국과 중국이 반발하겠지만 당분간 급속한 관계 개선을 기대할 수없을 때 빨리 참배하는 편이 낫다는 등의 판단에 따른 것이라고 덧붙였다. 도쿄 중심가 지요다(千代田)구에 있는 야스쿠니 신사는 근대 일본이 일으킨 크고 작은 전쟁에서 숨진 사람들의 영령을 떠받드는 시설이다. 현재 태평양전쟁 A급전범 14명을 포함해 246만6천여명이 합사돼 있다.
1945년 당시 연합군 최고사령관이던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이 일본군의 위안부 강제 동원 사실을 기록한 기밀문서를 작성했던것으로 밝혀졌다. 이 문서는 1992년 3월 기밀 등급이 해제됐으며 2006년부터 미국 의회가 위안부결의안을 추진할 때 일본 정부가 위안부 동원에 직접 개입하고 위안소를 조직적으로운영했다는 증거 자료로 당시 조지 W 부시 행정부에 의해 의회에 제출됨으로써 결의안 통과에 큰 역할을 했다. 그때 하원 외교위원회 동아시아 담당 전문위원을 지낸 데니스 헬핀 존스홉킨스대 국제관계대학원(SAIS) 방문교수가 13일(현지시간) 해당 문서의 주요 내용과 표지사진 등을 연합뉴스에 공개했다. 맥아더 최고사령관 이름으로 1945년 11월 15일 연합군 총사령부가 작성한 이 문서는 '성적 노예'인 위안부 제도의 대강을 담고 있으며 한국과 미얀마(버마) 등지로부터의 위안부 동원 및 위안소 운영에 일본군이 어떻게 개입했는지 등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제공한다. 2006년 헨리 하이드 당시 하원 국제관계위원회(현 외교위원회) 위원장에게 제출된 이 문서의 제목은 '일본군 위문 시설'(Amenities in the Japanese Armed Forces)이다. 헬핀 교수는 "이 보고서는 위안부 시스템은 일본군이 공식적으로 개입하지 않은온전히 사적인 사업이라는 일본 우익 단체의 주장이 거짓임을 실증하는 것"이라고설명했다. 이 보고서의 결론이 "엄격한 규율하에서의 위안소 설치는 일본 주둔군이 일정규모를 넘는 모든 지역에서 군 당국의 승인을 받았다"고 돼 있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전쟁 포로 등의 진술을 인용해 한국 내에 있던 일본인 '사업가'들이일본군 사령부의 제의를 받아 한국 여성들을 끌어들여 미얀마 등지로 데려갔으며 이과정에서 일본군의 허락을 받았다고 기술하고 있다. 또 한 전쟁 포로가 22명의 1931세 한국 여성을 300엔에서 1천엔을 주고 사들여 일본군 사령부로부터 무료 탑승권을 받아 부산에서 승선시킨 뒤 일본군 주둔지로데려갔다는 부분도 있다. 이 전쟁 포로가 소유한 위안부 그룹은 미얀마에 도착해 114보병연대에 배속됐으며 중국 광저우에서 팔려온 21명의 중국 여성, 그리고 일본 여성들과 합류했다는 것이다. 통행권과 의료 처방은 일본군이 제공했고 음식은 일본군 보급창의 지원으로 위안소 소유자들이 구입했다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보고서는 또 독일의 비밀경찰(SS)과 같은 일본 군경찰인 헌병대(켐페이타이)가위안소 주변에 존재한 사실도 적시하고 병사들이 군 기밀 등을 얘기하지 못하도록막았다고 부연했다. 헬핀 교수는 일본 군당국이 위안부의 수송을 맡았다는 점은 인신매매에 직접적으로 개입했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으로 유죄를 뒷받침하는 방증이라고 강조했다. 동맹인 일본을 겨냥한 위안부 결의안에 애초 비협조적이었던 하이드 전 위원장도 이 문건을 보고 나서야 일본군이 위안부를 강제로 동원했다는 것을 인식하고 이를 '명백한 증거'(smoking gun)라고 표현하면서 통과를 적극 지원했다는 것이다. 헬핀 교수는 "주목할 점은 부시 행정부가 이 비밀 해제된 기밀 문건을 의회에일본 정부의 직접 개입 증거물로 제출한 점"이라고 소개했다. 그는 아울러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이 1995년 당시 미국의 대통령 부인으로서 중국 베이징에서 한 인권과 여권 주제의 유엔 연설에서 위안부를 '강제 동원된성 노예'라고 했고 지난해 여름 국무부에서도 같은 표현을 썼다는 점을 상기시켰다. 헬핀 교수는 최근 일본 보수지인 요미우리 신문이 사설을 통해 일본군 위안부강제 동원을 사실상 부정한 데 대해서도 일침을 놨다. 그는 "요미우리는 일본의 '가이진 쇼군'(외국인 통치자)인 맥아더 장군의 직접통제하에 작성된 문건이 있음에도, 하이드 전 위원장이 이 문서를 'smoking gun'이라고 밝혔음에도, 클린턴 전 장관이 '성 노예'라고 했음에도 여전히 같은 주장을 펴겠느냐"고 반문했다.
새만금 신항만, 국내 8대 크루즈 기항지로
전북 유일 익산 축산물도매시장 5년 만에 재개장
李대통령, 외교 ‘강행군’ 여파 속 일정 불참
전북출신 황기연 수출입은행장 임명
국립진안고원산림치유원 전북 동부권 활성화 마중물 될까
전북 2026년 국가예산 ‘AI시대 에너지 실험도시’ 목표
국회서 발로 뛰는 김관영 지사...“새만금·AI·문화 인프라, 국가가 함께 책임져야”
2035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 '50∼60%' 또는 '53∼60%'로
전북도청은 국·과장부터 AI로 일한다…‘생성형 행정혁신’ 첫 발
“제2중앙경찰학교는 남원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