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구역 통합 반대세력 포옹 / 로컬푸드 시스템 정착화 관건
특유의 추진력과 기획력을 통해 재선 후에도 임정엽 군수는 완주군을 새롭게 변모시키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수십조원을 쏟아부어도 여전히 희망을 걸기 힘든 농촌에 각종 농촌활력정책을 추진하면서 스스로 자립하는 농촌모델을 만들어냄으로써 정부는 물론, 전국 지자체의 비상한 관심과 벤치마킹을 이끌어내고 있다.
또한 테크노밸리 조성과 KIST 전북분원 조성 등을 통해 첨단산업 전초기지로서의 발전을 꾀하는 한편, 와일드푸드 축제는 주인자리를 주민에게 되돌려줬다. 임 군수는 충분한 발전가능성이 있는 지자체로 위상을 높였으면서도, 미래 후손에게 부끄럽지 않은 지역을 물려주겠다는 일념 하에 쉽지 않은 '전주-완주 통합 공동 건의'라는 용단을 내렸다.
△전주-완주 통합=지난 2009년 정부와 전주시 등의 일방적 통합추진에 크게 반발했던 완주군민의 분위기는 지금도 여전하다. 농촌지역인 고산면 등 6개면의 통합 관련 온도는 냉랭하다. 또한 완주사랑지킴이 등 관내 사회단체들도 상생발전사업의 실현 가능성을 문제삼으며 통합 반대입장을 취하고 있다.
통합 결정의 한 수단인 군의회 의결의 경우 군의회의 공식 반대 입장 표명에 따라 기대하기 힘든 상황이다. 결론은 주민투표가 유력한데, 아직도 과반수가 넘는 반대여론이 넘어야 할 산이다.
다만 지난 2009년에 비해 최근 전북일보가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찬성여론이 10%p 정도 늘어났다는 점은 향후 완주군과 전주시가 진정성을 가지고 상생발전사업을 차근차근 추진해 나간다면 반대여론을 많이 누그러뜨릴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고는 있다.
△지속적인 농촌활력정책= 로컬푸드, 마을회사 육성 등을 통해 농촌도 하나의 희망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완주군은 증명하고 있다. 다만 이를 농촌 활성화의 최적안으로 착근시키기 위해서는 중간유통업자, 대형마트 등과의 경쟁에서 이겨야 하고, 공공성 제고를 통한 시스템 정착화, 생산자와 소비자간 직거래 공간 확대 등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이를 위해 완주군은 소비자 밥상에 필요한 200여가지 농산물을 연중 생산·공급케 만들고, 거점별 농민가공센터를 만들어 전통식품 발굴과 농가 부가가치를 제고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1일 유통직매장, 로컬푸드 스테이션 등으로 직거래 공간도 넓혀나가기로 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