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 인구 64만명선 붕괴 코앞…인구위기대응 ‘발등에 불’
전주지역 인구가 1년새 1만명 가까이 줄면서 인구위기 대응을 위한 행정의 움직임이 분주하다. 29일 시에 따르면 지난해 2월말 기준 전주시 인구는 64만 9362명으로, 65만명 선이 붕괴됐고 1년 여가 지난 올해 4월말 기준 64만120명까지 줄었다. 시의 인구문제는 지난 3월 열린 전주시의회 제408회 임시회에서도 인구정책전담 조직 운영과 관련한 시정질문을 통해 조명됐다. 당시 장재희 시의원(비례대표)은 "전주시 인구 정책의 컨트롤타워 역할과 적극적인 정책 개발 기능을 수행해야 할 인구 정책 전담팀의 인력이 구색 맞추기에 불과, 시책 발굴 등 과감한 추진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팀 확대 등 개편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에 우범기 시장은 "시는 2020년 7월 전주형 인구 정책 종합 계획 마련을 위해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인구 정책 전문가 TF팀을 구성했고, 2021년 전주시 인구정책 기본 조례 제정에 따라 인구 정책 전문가 TF팀을 전주시 인구정책위원회로 개편해 운영하고 있다"며 "실질적인 전주시 인구 정책의 컨트롤타워가 될 수 있도록 각 부서간 협업을 강화하고 인구정책 신규사업도 활발히 발굴해나갈 계획"이라고 답변했다. 이와 관련 시는 이날 오후 시청 4층 회의실에서 김종택 시 기획조정국장을 단장으로 20개 부서 27명의 팀장이 참여한 가운데 인구 위기 대응 TF 회의를 개최했다. TF팀은 지난 2017년 10월 최초로 구성됐다. 이후 인구위기 현실화에 대응한 인구정책이 필요해지면서 시는 경각심을 높이기 위해 기존 인구정책 TF팀을 인구위기대응 TF팀으로 개편했다. 현재 총괄부서인 자치행정과 인구정책팀을 비롯해 임신·출산·보육환경, 청년·일자리, 고령화, 정주여건 등 업무를 맡고 있는 16개 부서 27개 팀이 참여하고 있다. 이같은 TF팀 운영을 통해 시는 아이키우기 좋은 환경 조성, 청년 자립 지원, 건강한 노후생활 지원, 따뜻하고 안전한 공동체 조성을 골자로 생애주기별 시책을 발굴하고 실행함으로써 지역과 국가가 당면한 인구감소 위기를 타개해나가겠다는 복안이다. 더불어 전주사랑 주소 갖기운동, 전주시 청춘남녀 인연 만들기, 영아 가정 대상 돌잔치 용품 대여, 예비 신혼부부 엽산제 지원, 산후조리비용 지급 등 신규사업을 발굴해 적극 추진해나가기로 해 실효성이 주목된다. 김종택 시 기획조정국장은 “인구문제는 지자체만의 문제가 아니고 우리 모두 함께 힘을 모아야 할 국가적인 과제”라며 “이번 실무회의를 통해 제안된 의견들은 소관부서 및 인구정책위원회 검토를 거쳐 최적의 정책안을 도출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