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님 말씀 전하는 목회자 역할, 나의 마지막 사명”
유종근 전 전북도지사 교회의 궂은 일도 하고, 하나님의 말씀도 전하는 목회자 역할이 저의 마지막 사명이라 생각합니다.
다문화 전문방송채널다문화TV 회장인 유종근(77정읍) 전 전북도지사를 서울 여의도 사무실에서 만났다. 얼굴은 예전에 비해 많이 여위었지만, 여전히 건강했다. 지금도 팔굽혀펴기를 매일 1분에 60회씩 한다고 했다.
그는 5년 동안 맡아왔던 다문화TV 회장직을 연말께 그만두고, 부인 김윤아 목사가 창립한 교회에서 목회 활동을 할 것이라며 향후 계획을 밝혔다.
미국 대학교수(럿거스대)와 전북도지사(19952002), 대통령 경제고문, 대권 도전에 이은 수감 생활, 그리고 기업인(대주그룹 회장)과 대학총장(경기 평택대) 등으로 이어진 인생 역정의 종착지로 최종 선택한 길이었다.
교회는 부인 김 목사가 자폐증세가 있는 큰 딸이 다니던 서울 강남 밀알학교에서 2011년부터 6년간 이끌었던 예배 모임의 학부모들이 강력 제안하면서 창립된 교회다. 올 7월 교인 총회를 거쳐 교회 등록 절차를 모두 마쳤다.
앞서 김 목사는 2007년 3월 미국으로 건너가 목사안수를 받았으며, 목사안수 6개월 만에 뉴욕에서 교회를 개척하고 1년간 목사로 활동했다. 2008년 여름, 귀국한 후 5년간 신학 박사과정도 밟았다.
유 전 지사는 2017년, 교회 창립 이야기를 듣고 많은 고민을 했다.
하나님이 장애인을 섬기는 삶을 살아라라는 임무를 주신 것 같다는 생각에 내가 해주마라고 약속했는데, 막막했죠. 교회를 세우기 위해선 적잖은 돈이 필요한데, 미국에서 들어올 때 빈 손으로 왔고, 도지사 7년을 했지만 재판으로 돈을 다 써버려 교회를 세울만한 돈이 없었죠.
그는 몇 년 동안 기도만했다고 했다.
다행히 올 초 경기도 양평에 주택과 조그마한 부지를 구입했다. 조만간 거주지도 파주에서 양평으로 옮길 예정이다. 그러나 문제는 교회 건립비용이었다.
다니던 교회(여의도 순복음교회 장로)의 지원 약속과 지인의 도움, 교인들의 헌금 등으로 2/3정도는 모았지만, 나머지(1억5000만 원)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
그는 하나님이 허락하신 일인 만큼 채워주시겠지라는 믿음으로 기도를 하고 있다며 제가 하는 일이 (장애 자녀를 둔) 부모들을 돕는 일입니다. 그리고 그게 내 마지막 일이라고 했다.
그는 무작정 늦출 수만은 없어 일단 건축허가가 나오는 이달부터 공사는 시작할 예정이라며 겨울이 오기 전에 서둘러 골조라도 마무리해 올 크리스마스 예배는 그 곳에서 하고픈 생각이라고 말했다.
이어 전북도민들에게 미안한 마음도 전했다.
도지사 재직 시절, 대통령 선거에 나서는 바람에 현안을 마무리 짓지 못한 것에 대한 미안함이었다.
특히 그는 지역발전과 관련해 김제공항을 못하게 된 게 최고의 패착이라고 꼽았다.
도지사 시절 소리문화의 전당과 도립 미술관, 정읍 방사선연구센터 등을 했죠. 여기에 공항만 들어서면 모두가 연결되는 것이었는데 마지막 화룡점정을 찍지 못했죠.
그는 정치인들의 잘못된 판단으로 주민들의 강력한 반대에 부딪혀 사업이 지연됐던 것을 아쉬워하면서 지금이라도 할 수 있으면 김제공항을 살렸으면 싶다고 덧붙였다.
이어 1999년, 새만금 사업을 중단하고 환경영향 민관공동조사단을 구성한 것과 관련해선 순진했던 것 같다고 술회했다.
그는 당시 조사단을 구성한 이유는 충분히 있을 수도 있는 환경문제를 철저히 검토해서 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것으로, 더 큰 문제를 막기 위해 거쳐야할 과정이라 생각했다며 전문가들이 공동으로 조사하면 합리적 결론이 도출될 것으로 생각했는데, 그게 순진했던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환경단체는 처음부터 자기들이 원하는 결론이 나오지 않으면 절대 수용하지 않으려 했다며 (진영별) 참여자 수를 놓고 조사단 구성 단계부터 난항이었는데, 동수(同數)로 합의한 후 위원장이 공사 계속 진행으로 결론을 내니까 위원장을 성토하고, 나중엔 소송까지 제기했다고 했다.
2002년 대통령 선거 후보 경선 출마에 대해선 정치를 너무 쉽게 봤다고 했다. 그래서 더 이상 정치는 하지 않는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