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쿨버스 3대 중 1대 20만㎞ 이상 달렸다
66만㎞, 65만㎞, 60만㎞, 57만㎞, 52만㎞, 50만㎞.김제지역 사립학교인 D고의 스쿨버스 주행기록이다. 이 학교에서 운행 중인 스쿨버스 중 주행거리가 20만km를 넘는 것이 9대나 된다.이 학교 뿐만 아니다. 전주지역 H중과 K여고, 군산지역 J중, 익산지역 K고, 정읍지역 B고와 W고, 김제지역M여고 등에도 20만km를 넘긴 차량이 5대~10대씩이나 된다.전북도교육청이 도의회 이해숙 의원에게 제출한 스쿨버스 운행현황 자료에 따르면 전북지역에서 운행중인 800대의 스쿨버스중 주행거리 20만km가 넘는 차량이 33.7%인 269대나 되는 것으로 집계됐다. 40만㎞를 초과한 차량은 52대, 50만㎞를 초과한 차량은 19대이며, 60만㎞를 초과한 차량도 9대나 된다.중고교 뿐만 아니다. 완주B유치원 등 나이어린 유치원생이 타는 스쿨버스도 20만㎞를 초과한 것이 11대나 되며, 장애인을 위한 특수학에서도 20만㎞를 초과한 스쿨버스가 5대가 운행되고 있다.이처럼 주행거리가 긴 노후차량들이 학생들의 통학수단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은 현행 운수사업법에 내구연한(최대 11년)에 관한 규정만 있을 뿐 주행거리 제한은 없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지입차량들이 주말 관광업을 병행하고 있어 주행거리가 길다. 게다가 일부 지입차량은 사용연한도 넘긴 것으로 조사됐다.이해숙 의원은 운행거리가 많은 차량일수록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하지만 스쿨버스가 과연 제대로 정비되고 있는지 의문을 가진 학부모들이 많다며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교육당국이 적극적으로 노력해달라고 말했다.도교육청 관계자는 관련 업계의 상황을 파악하고 다양한 의견을 수렴해서 좋은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