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칼럼]이젠 전주가 도와야 한다
20년 전이야기이다. 한 심포지엄에서 발제자 한 분이 '전북경제는 수매경제이고 대리점경제'라는 말을 했다. 다들 이 말이 무슨 뜻 인지 몰랐지만 의외로 그 분 설명은 간단했다. 상공업 발달이 뒤진 전북경제는 쌀 수매가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므로 전북경제는 농촌경제의 사정에 따라 달라지고 농촌경제는 정부수매에 따라 움직인다. 그러니 수매경제이고 대리점 경제라는 것이다. 이를테면 쌀 수매대금이 농촌에 풀리면 전주로 돈이 들어와 은행, 시장, 술집에 생기가 돌며, 반대로 농촌지역에 돈이 떨어지면 전주의 구멍가게가 한가해지며 다시 쪼들리고 생기를 잃는다는 이야기이다. 전주는 농촌의 최대 수혜자전주 인구가 40만 조금 넘었을 무렵 나왔던 이야기이다. 이제 전주는 경제규모 커져 농촌의 돈에 흔들 흔들거릴 정도는 아니다. 인구도 그 때에 비해 20만 넘는 62만이 되었다. 현재 전주는 자기를 성장케 한 이웃 농촌에 도무지 관심이 없는 것처럼 보인다. 쌀 수매제가 없어질 판국이니 어디 농촌에 눈길한번 줄 수 있겠는 가.요사이 전주는 선두그룹에 끼지 못해 더욱 조바심이 나 있는 것 같다. 그도 그럴 것이 정말 전주는 가면 갈수록 전국 10위권 밖에서 자꾸 뒤쳐져 가고 있으니 말이다. 그래도 전주는 서울에서는 몰라도 전북 내에서는 떵떵거리는 향토세도가이다. 3%의 면적도 채 안된 전주에 전북전체의 30%가 산다. 예금 비중은 60%가 넘고, 국세 비중은 반절 조금 넘는다. 이러니 누가 뭐래도 전주는 전북에서는 당당한 맏형이며, 어느 누구도 전주가 선두대열에서 낙오되기를 원하지 않는 것이다. 다른 도시가 감히 넘보지 못할 정도로 전주가 전통문화도시로 우뚝 서길 원하는 것이다.도시란 원래 자연과의 조화 속에서 자급자족을 영위했던 농촌으로부터 상업 및 공업을 분리하고 인구를 흡수하면서 생겨나는 것이다.전주는 이런 면에서 이웃 농촌에게 너무나 많은 빚을 졌다. 전주가 '맛과 멋의 예향'이라고 불릴 만큼 농촌의 도움을 많이 받았기 때문이다. 전주는 농업·농촌의 희생위에 성장한 도시이다. 1980년대 후반 효자동을 시작으로 한 외연적 도시개발은 그 많은 논, 밭, 과수원을 주택용지, 상업용지, 도로 등으로 바꾸어 놓았다. 평화동의 미나리꽝은 거의 자취를 감추고 완산동 용머리 고개 너머 그 많던 복숭아밭이 사라졌다. 재배면적의 반 이상이 없어졌고 아파트와 아스팔트 도로로 기온이 올라 무엇 하나 제대로 자랄 수 없다. 현재 전주가 안고 있는 모든 도시문제는 농촌문제와 결부되지 않는 것이 아무것도 없다.이제 전주는 도시와 농촌, 생산자와 소비자, 소외된 인간관계를 재통합하고 농업을 복권시키는 데에 나서야 한다. 힘을 모으는 동력을 만들어 어느 지역이나 서울 의식을 가진 사람들을 견제할 수 권력을 나누어 가지고 균형 있게 발전할 수 있는 길을 열어 나가야 한다.전주가 보답해야할 때이다올해는 쌀 재협상의 해이다.벌써부터 전북의 논 가격은 전국에서 가장 많이 떨어졌다. 협상결과가 관세화이던 관세화유예이던 전북농촌이 전국에서 가장 많은 피해 본다. 앞으로 수년간 전북농촌에 얼마나 작고 큰 일이 벌어질지는 누구도 쉽사리 예견할 수 없다. 전주는 이제 농촌에게 보답해할 때이다. 빚을 진 농촌에 대해 러브콜을 해서 서로 마음을 터놓아야 한다. 서로 이야기를 나누며 같이 살아가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그래야만 전북에서 맏형 노릇을 할 수 있다. 어려울 때 도와주는 것이 진정한 맏형 아닌가. /소순열(전북대 농업경제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