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총장 선거와 숙제 ‘갈등 봉합 치유로 상생해야’
제18대 전북대학교 총장임용 후보자로 김동원 교수가 선출됐다. 전북대의 총장임용후보자 선출은 70년 만에 처음으로 학생들이 참여하고, 8년 만에 직선제가 부활하면서 민주주의적 형태로 구성원들이 참여하는 총장 선거 형태로 치러지면서 대학 내외의 큰 관심을 끌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복잡한 투표 방법과 학생과 일반 직원들의 참여가 적었던 투표 반영 비율, 총장선거 시마다 불거진 마타도어 등이 개선점으로 꼽히고 있다. △왜 전북대는 공대 김동원 교수를 선택했나. 1차와 2차, 3차 투표를 거치면서 반 현 총장 여론과 현 총장을 제외한 나머지 6명 후보들의 지지세 결집이 이뤄지면서 김 교수에게 표가 집중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1대 1로 산정되는 교원(교수)투표에서 230여 명의 달하는 공대 교수들이 표를 몰아주는 공대 프리미엄도 상당부분 작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다 다른 후보에 비해 김 교수는 투표 차수를 거치면서 다른 후보들보다 월등히 높은 학생들의 지지를 받았고, 최종 투표에서는 2배 이상 높은 지지를 받으면서 1차와 2차에서 1위를 달리던 이남호 현 총장을 제치는 이변을 연출했다. 그는 알찬대학, 따뜻한 동행 선거기간 내내 우리대학에는 교수채용, 한스타일 캠퍼스 조성 등의 문제들이 있다며 이런 문제들을 없애는 것이 바로 적폐 청산이며, 청산을 위해서는 민주주의가 필요하다. 분권형 대학운영을 이뤄내겠다고 공언하기도 했다. 아울러 다른 후보들보다 차별화된 17개 공약을 항목별로 내놓고, 1, 2차 토론회에서 차분하고 논리있는 토론을 하면서 타 후보들에 비해 높은 점수를 받은 것이 이번 선거 결과로 이어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70년 만의 처음 학생 참여 총장후보 선출, 8년 만의 직선제 이번 총장 선거는 전북대 개교 70여년 이래 사상 처음으로 학생들의 투표권이 보장돼 관심을 끌었다. 학생들은 총장은 교수들만의 상징적 대표가 아니라 학사와 인사, 대외 업무를 책임지는 자리로 학내 구성원들의 의견을 골고루 반영해야 한다고 주장, 처음으로 학생들의 투표권이 인정됐다. 또 전북대 총장 선거는 1990년 첫 직선제 시행 이후 2014년 간선제로 바뀌었다. 당시 이명박박근혜 정부는 간선제를 택한 국공립대에 재정지원사업 가산점을 줘 간선제를 유도했다. 총장 직선제가 부활한 것은 2010년 이후 8년 만이다. △학생 참여 적게 된 반영비율, 복잡한 투표, 선출 방식 투표 반영 비율을 놓고 교원 신분인 교수들과 비(非)교원인 학생직원조교 등이 내홍에 휩싸인 선거였다. 지난 7월 31일 전북대 교수회가 전체 교수 투표를 통해 비교원의 투표 반영 비율을 17.83%로 정한 게 발단이 됐는데, 이는 직원과 학생들이 요구한 25.6%에 크게 못 미쳤다. 2만 여 명의 학교 구성원 중 교수는 1인 1투표권을 가진 반면, 학생과 직원들은 1명 당 0.009도 안 되는 표의 권리를 행사하는 꼴이었다. 또 교수회가 투표율을 높이기 위해 4가지로 나뉜 복잡한 투표 방법도 논란의 소지가 됐다. 투표방식을 단일화하라는 수탁기관인 덕진구 선거관리위원회의 권고에도 불구하고 현장 기표 투표와 스마트폰, 외부 PC, 현장 PC투표 등 4가지로 진행됐다. 총장선거에 모바일 투표를 도입한 학교는 전북대가 유일했다. △투표 절차 개선점 교원이 아닌 대학구성원들은 대학 총장은 대학의 대표자인 만큼 보다 많은 대학구성원들이 선거에 참여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전북대의 비교원과 학생 투표 반영비율 17.83%는 총장 선거를 진행한 전국 국립대 평균인 19.35%, 거점 국립대 평균인 18.69%보다 낮다. 교수회는 차기 선거부터는 교수가 아닌 다른 구성원들의 선거 참여 비율을 높일 방침이라고 밝히고 있다. 4가지의 투표방식과 투표 반영률이 구성원별로 각기 다르면서 투표 집계 산출이 복잡해지는 등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투표 방식 단일화도 요구되고 있다. 아울러 선거운동 과정에서 불거진 행정소송과 후보 간 고소전 등의 갈등도 봉합해야 할 숙제로 남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