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 전주역세권 개발’ 허울 안되려면] (하) 관광도시 관문답게 - 균형잡힌 복합개발 과제
전주시가 LH의 전주역세권 개발을 반대하는 주요 이유 중 하나가 과도한 택지개발이 불러오는 폐해다.
전주시의 인구수가 제자리걸음인 상황에서 도시 외곽에 대규모 아파트 단지를 짓는 것은 구도심과 인접 시군의 인구를 흡수하는 인구증가 없는 도시팽창이 된다는 우려다. 시가 개발 반대 논리로 구도심 공동화 현상을 함께 언급하는 이유다.
하지만 전주역 일대 마을 역시 환경개선이 다급한 것은 마찬가지다.
그간 장재마을, 원산정마을 등 일대 구역은 도로, 하수도 등 SOC와 문화, 생활, 여가 기반시설들이 부족해 민원이 컸다. 전주 서남북부지역이 혁신도시효천지구만성지구에코시티 등 생활권이 개발된 것처럼 전주 동부권도 균형개발해야 한다는 시각도 존재한다.
이런 가운데 현재 진행 중인 대전, 울산 등 5개 지자체 역세권 개발 현황을 살펴보면, 모두 과도한 택지개발보다 주거문화상업디지털산업 등 복합권역으로 개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전, 울산, 홍성, 진주, 광주, 전주 등 5개지역 역세권 개발사업 사례 중 전주시가 토지이용계획에서 주거 비율이 제일 높았다. 전주는 주거단지 조성 비율이 43.8%(6645세대)인 반면 울산 4.9%(2100세대), 대전 23.4%(4654세대), 홍성 27.1(190세대), 진주 30.9%(7181세대), 경기도 광주 38.5%(2314세대)의 수치를 보였다.
울산광역시 도시공사가 사업을 시행하는 울산의 경우 주거단지, 공원녹지와 함께 복합환승센터, 지식산업센터, 문화복지교육집회시설, 복합쇼핑몰, 판매시설 등이 들어선다. 주거계획에 임대주택이 포함된 대전의 경우 4654세대 중 공공임대(1400세대30%)가 민간임대(923세대19.8%)보다 많다. 전주의 경우 6645세대 중 8년 후 분양전환하는 민간임대가 3434세대(51.6%), 공공임대가 1329세대(20%)다. 관광거점도시인 전주는 도시의 첫 관문인 전주역 일대를 도시 정체성에 맞게 개발재생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첫마중길을 시작으로 새 전주역사, 복합환승센터, 여행자 쉼터 등이다. 역세권에 공공임대주택 및 SOC생활기반 조성과 함께 관광도시와 어우러지는 자연경관, 문화, 교통 등이 복합적으로 들어선다면, 시너지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