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마당] 유비쿼터스시대 전북이 열어갈때 - 정창덕
현대 산업사회는 정보기술의 발달과 융합, 인터넷 이용의 보편화 등으로 정보 혁명에 이은 유비쿼터스 시대로 급속히 전환되고 있다. 선진 각국의 정부와 대기업들은 유비쿼터스 세계시장을 주도 하기 위한 경쟁을 치열하게 전개하고 있는 실정이다.유비쿼터스(Ubiquitous)란 사용자가 네트워크나 컴퓨터를 의식하지 않고 장소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정보통신 환경을 의미하며 물이나 공기처럼 시공을 초월해 ‘언제 어디에나 존재한다’는 뜻의 라틴어다. 이런 환경이 되면 지금까지 우리가 정보를 찾아갔지만 앞으로는 찾아오는시대, 컴퓨터안에서 뭔가를 하려고 했는데 컴퓨터가 바코드처럼 사물안에 들어가는시대, 즉 지금까지 우리가 기술따라갔지만 기술이 사람을 따라오게 하자는 것이다. 이런 유비쿼터스환경이 되면 지금까지 사람과 사람이 대화하고 사람과 컴퓨터가 대화하는시대에서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이 대화할수 있는 환경이 됨을 의미하기도한다. 이것은 유비쿼터스도시,헬스,교육,국방,물류,유통...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미국은 지난 90년대 초반부터 국가표준기술원(NIST)등 정부기관과 제폭스, HP, 마이크로소프트MS, IBM등 주요기업, MIT, 버클리 등 대학이 유비쿼터스 환경구축을 위한 기술개발에 나서고 있다. 일본은 2002년 총무성 주관으로 NIT, 소니, 샤프, 도시바, 마쓰시다 등 대표적 기업 30곳과 도쿄대 등이 참여하는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포럼을 출발시켜 산·학·관의 합동연구를 진행하며, u-Japan전략을 발표했다. 유럽연합(EU) 또한 2001년 시작된 미래기술계획(FET)의 자금지원아래 스위스 연방기술 연구소, 독일 테크오(Teco)등 주요 연구소와 기업들이 관련 기술을 연구 중이다.어느 도시이든 유비쿼터스 도시의 제일의 목표는 지역 도시와 거주민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며 유비쿼터스의 핵심인 지식거래가 도시내에서 이루어 지면 비지니스가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즉 지금까지 누려보지도 보지도 못한 삶의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지역도시의 경제적, 문화적, 환경적 열악한 조건들을 순식간에 바꾸어 경제적으로도 풍요롭게 하며 문화적으로 삶을 즐기며 여유로운 삶을 살도록 하며 좋은 환경으로 인해 이것이 바로 유비쿼터스 도시가 원래 꿈꾸던 것이 아닐까 한다. 지금 이 시점에서 유비쿼터스 도시의 기대효과를 논하는 것이 어려운 일이라 생각되나 현재의 거울에 과거를 비추어 현재를 알고 현재의 거울에 미래를 비추어 내일을 알 수 있다고 본다. 지금의 주어진 상황과 환경을 상고하여 볼 때 유비쿼터스 도시가 시작되어 이루어지는 과정이나 완성이 될 때는 먼저 지금으로서는 상상할 수 없는 기술 개발의 진전과 일자리의 수요로 인한 고용 창출의 효과, 유비쿼터스는 네트워킹이라는 특수한 기술로 인한 관련 산업의 육성 및 발전, 토지 및 건축물의 활용으로 인한 도시의 균형발전의 이슈로 나가야한다. u-city의 구성요소인 인간(anyone), 시간(anytime), 공간(anywhere), 그리고 사물(anydevices)을 통합과 융합을 통해 편안한 도시, 기쁨을 주는 도시, 쾌적한 도시, 그리고 미래 지향적인 도시를 이루어 가는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므로 u-city의 특성은 친환경적 도시, 생태학적 복지 네트워크 도시, 지능적이며 스마트한 도시, u-행정 도시 그리고 u-홈네트워킹을 통한 통합 복합적 기능 도시로 나갈 것이다. 특히 유비쿼터스기술을 접목해 재래시장이 활성화되는 도시 그리고 u-City간의 통신, 교통, 정보 교류 기존도시와 보조를 맞추어 시민에 삶의 질을 높이는 쪽으로 추진해야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가능한 계획단계부터 유비쿼터스화를 고려해 도로, 공공 건물, 공원, 주택 등 도시 구성물을 설계하고 유비쿼터스 기술적용 방안을 반영하되 도시미관, 교통, 환경, 치안 측면 등에서 소외된이웃과 시민 삶에 중심을 둔 유비쿼터스도시가 되어야한다 /정창덕(한국유비쿼터스학회회장·고려대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