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으로 보는 오늘의 뉴스] 1월 취업자 23만 5000명 증가
새해 들어서도 취업자 수 증가폭이 현 정부는 물론, 새 정부의 목표치에도 크게 못 미치고 있어 지난해에 이어 어려운 고용환경이 계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18일 발표한 1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1월 취업자 수는 2천296만4천명으로 전년 같은 달에 비해 23만5천명(1.0%) 증가했다. 이는 2005년 12월(20만5천명) 이후 가장 적은 것이다. 전년동월비 취업자 수 증가폭은 지난해 6월(31만5천명)과 7월(30만3천명) 2개월 연속 30만명을 넘어섰으나 8월 29만3천명으로 줄어든 이후 ▲9월 29만2천명 ▲10월 28만7천명 ▲11월 28만1천명 ▲12월26만8천명에 이어 올해 1월까지 6개월째 30만명을 밑돌고 있다. 1월 취업자 수 증가폭은 재경부의 올해 목표치인 30만명에 크게 못미치는 것으로, 새 정부의 목표치인 연평균 60만개(5년간 300만개)에 비해서는 턱없이 모자라는 수치다. 산업별로는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34만8천명), 전기.운수.통신.금융업(2만2천명) 등에서는 일자리가 늘어난 반면, 농림어업(-6만4천명), 도소매.음식숙박업(-3만7천명), 제조업(-3만명), 건설업(-5천명) 등은 오히려 감소했다. 연령대별로는 15∼19세(-2만7천명, -9.9%), 20대(-8만4천명, -2.1%), 30대(-1만4천명, -0.2%)에서는 전년 같은 달과 비교해 취업자가 줄었다. 반면 40대와 50대에서는 각각 7만7천명(1.2%)과 26만8천명(7.1%) 증가했고, 60세 이상에서도 1만5천명(0.6%) 늘었다. 종사상 지위별로는 임금근로자가 1천603만2천명으로 37만6천명(2.4%) 증가한 반면 비임금근로자의 경우 693만2천명으로 14만1천명(2.0%) 감소했다. 또 임근근로자 가운데 상용근로자(43만3천명, 5.2%)와 일용근로자(3천명, 0.2%)는 늘고 임시근로자(-6만명, -1.2%)는 줄었다. 취업시간대별로는 '36시간 미만' 일하는 취업자가 전년 같은달에 비해 12만1천명(44.1%) 감소했고, '36시간 이상' 취업자는 40만8천명(2.1%) 증가했다. 1월 고용률은 58.3%로 전년 동월에 비해 0.1%포인트 하락했다. 남자의 고용률은 69.9%로 변화가 없었지만 여자는 0.1%포인트 하락한 47.3%로 집계됐다. 1월 실업자는 77만5천명으로 전년 같은 달에 비해 7만7천명(9.0%) 줄었고, 이에 힘입어 실업률도 0.3%포인트 낮아진 3.3%로 나타났다. 계절조정 실업률도 3.0%로 작년 12월에 비해 0.1%포인트 하락했다. 연령계층별 실업률 변화를 살펴보면 15∼19세 실업률이 11.1%로 전년 동월 대비 1.8%포인트 높아진 것을 제외하고는 모든 연령층에서 하락했다. 경제활동인구는 2천373만8천명으로 전년 같은 달에 비해 15만8천명(0.7%) 증가했고, 경제활동참가율은 60.3%로 1년 전에 비해 0.2%포인트 하락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1천565만명으로 전년 동월에 비해 28만명(1.8%) 늘었고, 구직단념자는 12만3천명으로 지난해 1월에 비해 1만6천명 줄었다. 통계청 관계자는 1월 취업자수 증가폭이 20만명대 초반에 그친 것과 관련해 "보통 겨울철인 1월은 계절적 영향으로 다른 달에 비해 일자리 창출 폭이 크지 않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