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 '관광거점도시 육성' 용두사미 우려
 문화체육관광부 관광거점도시 육성사업이 올해로 종료되는 가운데 전주시가 시비를 확보하지 못해 대규모 국·도비를 반납해야 하는 처지에 놓였다. 야심 차게 추진한 관광도시 육성사업이 '용두사미'로 끝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문체부는 2020년 관광거점도시 육성사업 대상지로 국제관광도시에 부산, 지역관광거점도시에 전주·강릉·목포·안동을 선정했다. 외국인 관광객이 방문하고 싶은 지역 관광도시를 새롭게 육성해 방한 관광시장의 지속 성장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서였다. 이를 위해 문체부는 2020년부터 2025년까지 전주시에 국비 500억 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도비 200억 원, 시비 600억 원까지 더하면 총사업비는 1300억 원 규모다. 이와 관련 전주시는 '가장 한국적인 한(韓)문화 관광거점도시'를 비전으로 자본사업(하드웨어) 14개, 경상사업(소프트웨어) 27개를 추진해왔다. 일정 성과도 있었다. 관광객 확대, 관광시설 확충 등이 대표적이다. 2017년 1109만 명을 기록했던 전주한옥마을 관광객은 코로나19를 겪으며 2020년 680만 명, 2021년 776만 명까지 감소했으나 2022년 1129만 명, 2023년 1536만 명까지 다시 증가했다. 관광시설 확충과 관련해 전주역 통합관광센터, 완산벙커, 덕진공원 열린광장 등을 조성하는 데도 관광거점도시 사업 예산이 투입됐다. 광역 투어 패키지 프로그램 개발, 한옥마을 미디어 파사드 공연, 씨네투어 관광 상품 개발, 비짓전주 콘텐츠 고도화 등도 관광거점도시 사업 일환으로 추진된 것들이다. 그러나 후반부 들어 시비 확보가 원활히 이뤄지지 않으면서 사업 추진에 차질이 빚어지기 시작했다. 실제로 지난해 시비 미매칭으로 반납한 예산은 국비 25억 원, 시비 13억 원이다. 올해 반납해야 하는 예산은 국비 130억 원, 도비 36억 원에 달한다. 관광거점도시 육성사업과 관련해 올해 필요한 시비는 214억 원이었다. 그러나 본예산에는 10분의 1 수준인 23억 원이 편성됐다. 재정 한계 탓이다. 그나마 추경을 통해 20억 원을 확보했지만 필요 예산에 턱없이 못 미친다. 예산이 부족해지자 가장 먼저 경상사업이 중단됐다. 관광객, 예술가들로부터 호응을 얻었던 사업들이 중단된 데 대한 실망의 목소리도 나왔다. 이성국 전주시의원은 전주예술난장, 싱스트리트 사업 중단을 예로 들며 "전주시는 국가 공모사업 등에 의존해 문화예술 사업을 추진하는 경우가 많았다. 예술난장과 싱스트리트 사업은 이러한 구조적 한계를 드러낸 대표적 사례"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장기적인 비전 아래 관광거점도시 사업의 성과를 검토함으로써 이를 더욱 발전시킬 수 있는 정책적 방안을 강구하고, 후속사업을 기획해야 한다"며 "문화예술사업의 지속성을 담보할 수 있는 재정적 대안도 마련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특히 대규모 국비 반납으로 정부 공모사업에서의 불이익까지 우려되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 전주시 관계자는 "전북도, 문체부로부터 많은 지적을 받고 있다. 하반기 시 추경에서 최대한 예산을 확보하려고 노력할 것"이라며 "타 지자체와 연계해 일부 사업의 국비 지원을 연장하는 방안도 건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