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11-09 16:05 (Sun)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지역 chevron_right 무주

무주 보건의료원 장례식장 운영 왜 적자인가

무주군 보건의료원에서 운영하는 장례식장이 매년 적자가 누적되면서 군 재정만 축내 경영합리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지난 22일 무주의료원 장례식장 운영 전반에 대한 개선점과 효율적인 관리운영의 대안을 모색하고자 마련한 공청회에서 대전대 양무석교수와 서라벌대 김영태교수가 초빙돼 장례식장 운영 개선방안에 대한 제안이 이어졌다.현재 무주의료원 장례식장은 일부는 의료원 직영체제로, 장례용품판매는 적상농협에 위탁체제로 운영하되면서 혼합운영체제로 이원화돼 있다.따라서 장례용품판매만 무주적상농협과 협약을 체결해 농협의 장례용품 판매장 설치에 따른 대가로 1명의 장례지도사를 지원받고 있는 것.하지만 매년 장례식장 운영 적자폭이 4000여 만원을 넘어 장례식장 운영에 따른 적자는 고스란히 군에서 떠안고 있고 장례용품 판매에 따른 이익은 적상농협에서 얻는 실정이다.특히 이러한 계약 실태가 투명한 공개입찰이 아닌 특정업체 밀어주기 형태의 수의계약으로 협약을 체결한 것이 알려지면서 일각에서 적자운영 개선이 필요하다는 여론이다.더욱이 장례용품 판매사업분야를 공개입찰로 추진할 경우 소비자들이 부담하는 가격은 현 시점보다 떨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오해를 사면서 농협에 수의계약으로 위탁할 이유가 없다는 것.이날 서라벌대 김영태 교수는 "농협이 5%의 마진정책을 두고 있지만 내부적으로 50%의 수익이 넘는다"며 "농협에서 판매 이익의 일정 부분을 군 수입으로 징수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김 교수는 이어 "과거 60% 이상이 임대 및 위탁관리 방식이었지만 지금은 90%가 직영방식이다"면서 "직영 방식의 경영을 하면 현실적인 사용료와 합리적인 가격정책으로 두 문제를 다 해결 할 수 있고 질 높은 서비스 제공으로 군에 대한 신뢰도가 상승 될 것이다"고 말했다.한편 이날 공청회의 결론을 두고 군에서 어떤 방식의 운영형태를 취할 것이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 무주
  • 권오신
  • 2008.08.26 23:02

"어느 정도 이익 창출돼야 고품질 서비스"

무주군은 보건의료원 장례식장의 효율적 운영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지난 22일 예체문화관 소강당에서 공청회를 실시했다.이날 공청회에는 군의회 이대석의장과 대전보건대학교 장례지도과 양무석 교수와 서라벌대 장례서비스경영과 김영태 교수, 군민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례식장 운영현황 설명과 함께 타 장례식장과의 운영사례비교, 개선방안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이날 보건대 양무석 교수는 "심도있는 진행으로 책임직영 경영체제와 완전 위탁운영에 대한 주재로 연설 하고, 집행부와 군민들에게 의료원 장례식장 사용료와 염습비는 빨리 현실화 되어야 한다"며 "어느 정도의 이익이 창출돼야만 고품질 서비스와 질좋은 물품으로 군민들에게 돌아올 것"이라고 역설했다.무풍면에 사는 이광한씨는 "의료원 장례식장이 년 4000여 만원 적자 운영이라니 믿기 어렵다"며 "빠른 개선을 요구하며, 공청회를 하는 저의가 무엇이냐"고 반문했다.이어 무주읍 신용범씨는 "오늘 공청회는 무주군민인 상인들이 참가하지 못한 공청회라 아쉬움이 남는다"고 말했다.2005년 7월 개장한 무주보건의료원 장례식장은 접객실 2실과 주방, 의전실, 현대차 계조차량 1대 등으로 운영하고 있다.

  • 무주
  • 권오신
  • 2008.08.25 23:02

"낙화놀이·사랑의 빛거리등 돋보여"

무주 제12회 반딧불축제 평가보고와 자문회의가 지난 22일 전통문화의 집 대강당에서 실시됐다.홍낙표 군수와 경기대 김창수 교수, 우송대 이용철 교수, 반딧불축제 제전위원들과 기획단 단원 등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또한 김창수 교수와 전주대 류인평 교수, 문화관광정책연구원 류정아 연구원과 우송대 이희성 교수 등은 자문회의를 통해 △무주반딧불축제의 지향점 △제13회 무주반딧불축제가 나가야할 방향 △차별화된 프로그램의 개발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 △축제의 민간이양 등에 대한 내용으로 논의가 됐다.제12회 반딧불축제의 효과분석을 총괄했던 우송대 이용철 교수는 "낙화놀이를 비롯해 사랑의 빛 거리와 반딧불이 신비탐사 등 다양한 프로그램과 업그레이드 된 축제서비스가 돋보인 축제였다"며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도시민들과 반딧불축제의 새로운 명물로 떠오른 빛 거리, 낙화놀이 등 기회요인을 잘 활용해 나간다면 더 나은 발전도 충분히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한편 무주군 관광개발 최병현 담당은 "제12회 무주반딧불축제에 대한 평가, 분석 결과는 군이 경기대 관광종합연구소 측에 의뢰, 설문과 관찰, 면접조사, 다각측량방법 등을 통해 객관적으로 조사, 집계된 것"이라고 밝혔다.또한 교수진들은 "청정이미지 등 반딧불축제의 장점은 최대화하고 프로그램의 과다 등 단점은 최소화 해야 한다"고 말했다.

  • 무주
  • 권오신
  • 2008.08.25 23:02
지역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