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문학관 지상강좌 - 한국문학의 메카, 전북] (54)선명한 이미지와 체험으로 풍속화를 그려낸 시인, 최영
최영 시인 최영(崔瑛)은 1945년 해방둥이로 전북 순창군 적성면 내월리 용수막이라는 마을에서 태어났다. 적성초등학교와 순창중학교를 거쳐, 1964년 순창제일고등학교(옛 이름 순창농림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 초등학교 3학년 여름방학 때 친구들과 멱을 감다가 한 친구가 익사하게 되었는데, 이는 시인에게 큰 충격이었다. 그는 친구를 앗아간 섬하도록 푸른 섬진강을 잊을 수 없었고, 그때마다 채계산 넘어가는 구름을 바라보면서 깊은 상념에 빠졌다고 했다. 이 경험은 성인이 된 뒤에도 오래도록 그의 가슴에 남아 있었던 것 같다. 감밭과
선돌에서 내려와
원다리 밑으로 풀려나간
먼 날의 긴 이야기
해는
책의산(채계산)을 넘어와서
매봉재로 사라지려 할 때
허공엔 기러기 떼
하늘은 타는데
노을 속에 물든 강뚝으로
그대
어찌하여 떠나갔는가
그대
그렇게 떠남으로 하여
강은 내게서 떠나지
아니하네
눈물겹도록 떠나지 아니하네. 「적성강은 언제나」의 전문 최영은 중학교 1학년 때 장만영 시인의 <달 포도 잎사귀>와 박남수 시인의 <오수>을 외우면서 시인이 되겠다고 다짐했다. 고등학교 재학 시절 권진희 선생의 영향으로 문학에 심취했으며, 김형오(재미작가)와 양병두(초등교장) 등 친구들과 함께 옥천이라는 문학 동아리를 이끌면서 각종 백일장에서 많은 상을 받기도 했다.
5.16 군사쿠데타 이듬해인 1962년, 고등학교 2학년 때 남원춘향제 학생백일장 대회에 참가하였는데, 필화사건으로 전고에서 김제고 옮긴 신석정 선생을 이곳에서 뵙게 된 것을 평생 잊지 못했다. 졸업 후 문학에 매진하기 위하여 고향 마을의 앞산 채계산 암자에서 명작을 탐독하며 창작에 전념하였다. 그러다가 군대에 자원입대하여 맹호부대 소속으로 베트남에 1년간 파병되었으며 5년 만에 제대하였다. 그 후 대림산업주식회사에 입사하여 브루나이 건설 현장에서 추락하여 상처를 입어 사직하였다. 그의 문학은 군 복무 기간과 외국 근무 동안에도 계속되었으며, 여러 차례 신춘문예와 각종 문학상에 응모하기도 했다. 최영 시집 '개구리' 1984년 『시문학』으로 등단하였고, 1987년에는 첫 시집 『개구리』를 상재하였다. 문덕수 시인은 이 시집의 서문에서 문명의 메커니즘 속에서 인간과 생태의 양식, 그리고 그 의미가 어떻게 변하고 있는가를 상징적 이미지를 통해 제시하여 극명하게 보여 주고 있다. 그런 속에서도 문명과 자연이 자리를 같이하여 그 나름의 미학을 추구하고 있는데 현대 시의 바른 방향을 보여 주고 있다라고 평가한 바 있다. 경장동(京場洞)
주택가는
개구리들의 텃밭을
나누어 가졌다. 무논에서만
삼아야 할 그들이
도자에 깔려 죽고
농토마저 모두 빼앗겼다 살아 있는
목숨들은 흩어져
건폐율(建蔽率)의 그늘에 숨어
정원수 이파리 이슬로 연명했다. 정원수는 묻어나는
달빛의 그늘에 숨어 살다가 최영은 1992년에 자신의 방황과 생과 사를 넘나드는 충격을 담아내어 제2 시집 『미룡동의 참새』를 발간하였고, 역사 인식과 그의 고집스러운 의지를 오롯이 담아낸(진동규 시인 평) 제3 시집 『내항』을 출간하였다. 그의 시 「개구리」와 「참새」는 기계문명과 도시 개발로 생명의 존엄성이 위축되고, 삶의 터전을 잃어버린 도시 근교의 농촌 현실과 소시민의 삶에 대한 고발이고 상징이었다. 그는
땅이 없어지자
하늘로 산다.
하늘이
빌딩으로
안테나로
갈라지자
나머지로 산다.
잃어버린 숲이
그리워서
남의 집 정원수에
전세를 들어
둥지를 틀고
눈치로 연명한다. - 참새 일부, 1984 최영의 문학은 군산이라는 풍부한 문학적 토양 위에서 꽃을 피웠지만, 한순간도 고향 순창을 잊지 않은 것 같다. 고향 용수막의 건너편에 있는 채계산은 내가 시인이 되는 날이면/ 제일 먼저/ 찾아가리라 다짐해 왔던/ 그곳이었고 세상 사람들이/ 모르고 돌아서는, 그래서/ 나 홀로 회귀할 수 있는 품 속(최영 「책의산(채계산)」중에서)이었다. 또한, 고향 집에 서 있던 은행나무는 빈 고샅/ 어머님의/ 사라진 발자국 위로 / 경운기가 기침을 토하며 / 빠져나간 뒤/ 은행나무/ 이파리들이 흔들리고/ 빈 마음이 /그늘로 깔린다.(최영 「용수막3」의 일부)에서 보듯 피폐해가는 고향의 그늘로 다가왔다. 최영 시집 '은파에서 째보선창까지' 최영은 스물여덟 살의 총각 때 군산으로 와서 아내를 만났고, 시인이 되었고, 두 아들과 며느리 손자까지 보면서 군산 사람보다 더 많이 군산을 사랑하였다. 그는 1995년부터 2007년까지 『호남 매일』, 『군산신문』, 『서해 신문』 등에 군산 사람들의 이야기를 13년 4개월 동안 414회에 걸쳐 연재하였는데, 이것을 모아 6권의 책으로 묶어 『은파에서 째보 선창까지』를 출간하였다. 이 책은 근대 역사의 회오리 속에서 함께 흐를 수밖에 없는 시대와 세월의 이야기를 재조명할 수 있는 군산의 대서사시이며 또 하나의 만인보라는 평가를 받았다. 이 외에도 『군산 문학의 원류를 찾아서』(2009)라는 책을 펴냈고, 2010년에는 군산의 풍물을 담아 역사가 되고 야사가 될 『최영 시인의 군산 풍물기』를 발간한 바 있다. 시인은 군산의 문인들은 물론이고, 다른 지역의 문인들과 활발하게 교류하면서 자신의 문학 역량을 키웠고, 전북 문학발전에도 이바지했다. 군산문학상, 채만식 문학상 비롯하여 제5회 한국 시학 신인문학상, 제10회 전북문학상, 제3회 전북시인상, 제17회 표현 문학상을 받았으며 한국문인협회 군산지부장을 역임하였다. 2011년 7월, 그는 갑자기 세상을 떠남으로써 문단에 많은 아쉬움을 남겼다.
참고 : 『순창문학』제16집(2011), /송일섭(전북문학관 학예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