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 ‘공동 농장’ 뜬다…고령화 사회 대안 될까
[앵커멘트]요즘 우리 농촌에선환갑 진갑 정도 지난 분들은막내 취급을 받습니다.나이에 관계 없이 노인분들이함께 일하며 수익도 같이 나누는농장이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고령화 사회의 새로운 대안이 될 수 있들 지,채널 에에 제휴사인전북일보 은수정 기자가 알아봤습니다.[리포트]마을 주민들이 모여 고추모를 심고 있습니다.대부분 70대 이상의 노인들입니다.혼자 농사짓기 어려운 노인들이 두레농장을 만들어일도 같이 하고, 수익도 공평하게 나눕니다.[이덕남/오복 두레농장 농민]돈 벌어서 좋고, 나 건강하게 일 다녀서 좋고,여럿이 하니까 재밌지. 스트레스도 풀려,재밌게 이야기도 하니까.한창 딸기를 수확하는 이곳도마을 주민들의 공동 농장입니다.[이옥선/구암 두레농장 농민]"손주 과자도 사주고 장난감도 사달라면 사주고,맛있는 것 많이 사먹고, 시내 가서 애들하고 밥도 먹고 얼마나 재미져요."두레농장에서 생산된 농산물은모두 로컬푸드 직매장에 내놓는데,수익도 안정적입니다.[정마진/구암 두레농장 대표]"안정된 가격을 받을 수 있고 무엇보다도저희가 가격을 매기기 때문에 꾸준한 소득을 올릴 수가 있죠."5년 전 전국 최초로 두레농장을 만든 완주군에는농장이 10곳으로 늘었고,130여 명의 노인들이 일하고 있습니다.함께 일하고 소득도 같이 나누는 두레농장이고령화된 농촌공동체의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전북일보 은수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