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end news
200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을 2개월 앞두고 실시된 수능 모의평가 성적이 작년 수능보다 소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특히 재수생과 재학생간 성적 격차가 여전히 큰 것으로 나타나 올 대입에서도 상위권 인기학과를 중심으로 재수생 강세가 계속될 전망이다.수능 1등급(변환표준점수 기준 상위 4%)은 인문계가 348점, 자연계 361점, 예체능계 297점으로 인문계는 작년 수능과 비슷하고 자연계는 2점 정도 떨어졌으며 예체능계는 8점 가량 올랐다.한국교육과정평가원(원장 이종승)은 지난 2일 실시한 `200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모의평가' 결과를 28일 공개하고 29일 응시자 53만9천412명(재학생 44만5780명, 재수생 9만3632명)에게 개별통지한다고 밝혔다.이번 모의평가는 작년 수능과 비교해 언어와 수리, 외국어는 성적이 비슷했으나 사회탐구는 상위 50% 집단 평균이 인문계와 자연계 각각 4.8점, 2.7점이 올랐고 과학탐구는 인문계 5.4점, 자연계 4.4점이 떨어졌다.4년제 대학 진학 가능선인 상위 50% 수험생의 5개 영역 총점은 인문계가 265.7점으로 작년 수능보다 0.2점 올랐고 자연계는 296.2점으로 1.6점, 예체능계는 205.7점으로 1.9점 각각 떨어졌다.전체 수험생 총점 평균은 인문계 208.6점, 자연계 237.9점으로 각각 1.7점, 3.6점 상승했고 예체능계는 160.6점으로 0.7점 하락했다.상위 50% 집단의 영역별 평균은 인문계의 경우 수리와 과탐이 1.0점, 5.4점 떨어지고 언어,사탐,외국어는 1.0점, 4.8점, 0.8점이 올랐다.자연계는 수리와 과탐이 0.2점, 4.3점 하락하고 언어,사탐은 0.2점, 2.7점 상승했으며 외국어는 변화가 없었다.재학생과 재수생 격차는 전체 집단의 재수생 총점 평균이 재학생보다 인문계 64.4점, 자연계 72.3점, 예체능계 54.5점 높았으며 상위 50% 집단도 재수생이 인문계 23.2점, 자연계 25.7점, 예체능계 20.2점 높았다.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모의평가는 수험생에게 자신의 위치와 강약점에 대한 정보와 함께 본 시험에 대한 적응기회를 주는데 목적이 있다"며 "모의평가 결과는 올수능을 적정 수준으로 출제하기 위한 주요 참고자료로 활용될 것"이라고 밝혔다.
26일 오전 일본 북부 홋카이도(北海道) 남부 연안에서 리히터 규모 8.0(진도 6) 전후의 강력한 지진이 두차례 발생했다. 이날 잇단 강진으로 인한 주택 붕괴 등으로 적어도 420명이 부상하고 지진과 관련한 사고로 1명이 사망하는 한편, 4만1천여명이 해일을 피해 피난했다. 일본 기상청에 따르면 첫 지진은 오전 4시50분께 구시로(釧路) 동남동 80㎞ 해 저 42㎞ 지점을 진원으로 발생했으며, 이어 6시 8분께 도카치(十勝) 앞바다 밑 60㎞ 를 진원으로 하는 2차 지진이 발생했다. 첫번째 지진은 리히터 규모 8.0, 두번째 지진은 7.0으로 각각 추정됐다. 이날 정오까지 사람이 느낄 수 있는 `유감(有感) 지진'은 24차례 이어졌다. 일본에서 리히터 규모 8.0 이상의 지진이 발생하기는 지난 1994년 홋카이도 동 쪽 앞바다에서 발생한 지진 이래 9년만이며, 제2차 세계대전 이래 6번째이다. 이날 지진으로 홋카이도 태평양 연안 동부와 중부,아오모리(靑森), 이와테(岩手) , 미야기(宮城), 후쿠시마(福島)현 등지에 해일경보와 주의보가 내려졌으며 일부 지 방에 최고 1.3m 높이의 해일이 엄습했다. 해일경보와 주의보가 내려지자 홋카이도 각지의 주민 4만1천명이 해일을 피해 고지대로 대피했다. 홋카이도 전력에 따르면 첫번째 지진 발생 1시간 후인 오전 5시48분께 아쓰마( 厚眞)화력발전소에 있는 4기의 발전기중 4호기(70만㎾)가 지진의 영향으로 가동이 중단돼 히로오(廣尾) 등지의 주택 2만4천300가구가 정전됐으며, 5량으로 편성된 JR 네무로(根室)선 하행열차중 2번째 차량이 탈선해 승객 39명중 1명이 가벼운 상처를 입었다. 또 도마고마시에 있는 정유업체 이데미쓰(出光) 홋카이도정유소 저유탱크 부근 에서 화재가 발생했으나 부상자는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밖에 사마니(樣似) 어항에서 소형 어선 3척이 전복되고 에리모항구에서는 해 안에 세워둔 자동차 3대가 해일에 휩쓸려 바다로 떠내려 갔으나 사람은 타고 있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기상청은 이번 지진의 여진이 10여일간 계속될 수 있다고 밝혔다. 지진 전문가들은 이날 지진이 올해 전세계에서 발생한 지진중 가장 강력한 것이었지만 다행이 심해에서 발생한 것은 물론, 내진 설계가 잘된 지역을 강타해 비교적 인명피해가 적었다고 분석했다. 리히트 규모 8.0의 강력한 지진으로 홋카이도에서 420여명이 다쳤지만 이들 부상자들은 대부분 깨진 유리조각이나 떨어진 물체에 의한 가벼운 찰과상을 입은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일본 정부는 지진 발생 후 25분만에 총리 관저에 대책실을 설치하고 관계 부처 대책회의를 소집하는 한편 국토교통성 관계자 3명을 현지에 급파했다.
정통한 워싱턴의 고위 군사소식통은 26일 "한미 양국은 현재 한국군에 대한 미국의 이라크 추가 파병문제를 실무차원에서 심도있게 조율중"이라면서 "미측은 이 과정에서 한국측에 (해병부대 등) 특정부대의 파병을 요청하지 않고 이 문제를 한국측에 일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고위 군사소식통은 "한국군 파병협상 성격상 미국이 특정부대의 파병을 한국에 요청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면서 다만 파병이 결정된다면 한국군의 국제적 위상과 명예가 걸린 만큼 우수한 전투력을 가진 정예부대의 파병은 당연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주한 미 제2사단 재배치문제에 언급, 한국측의 입장은 미 2사단의 후방이전 등 주한미군 재배치가 상당기간 늦춰지기를 희망하고 있으며 그같은 입장을 일관되게 미측에 전달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 군사소식통은 그러나 한미 양국간 파병협상에서 한국군 파병문제가 주한 미 2사단 재배치 연기문제와 연계돼서 이뤄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한미 양국은 25-26일 워싱턴에서 한국측에서 차영구 국방부 정책실장, 위성락 외교통상부 북미국장, 서주석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전략기획실장 등이, 미측에서 제임스 켈리 미 국무부 동아태담당 차관보, 리처드 롤리스 미 국방부 부차관보, 백악관 산하 국가안보회의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한국군 파병문제에 대한 실무차원의 협상을 진행중이다.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의 직무 수행 지지율이 사상 최저치를 기록한 것으로 24일 공개된 여론조사 결과 나타났다. NBC뉴스와 월스트리트 저널이 지난 20-22일 성인 1천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오차범위 ±3.1%포인트)에 따르면 응답자의 과반에 밑도는 49%만이 부시 대통령의 직무 수행에 지지의사를 표명했다. 이 같은 수치는 지난 2000년 1월 취임 이후 최저치이다. 응답자의 52%는 부시 대통령의 경제 정책을 지지하지 않는다고 밝혀 취임 이후 처음으로 경제 분야의 지지율이 50%를 밑돌았다. 부시 대통령의 대(對)테러 전쟁에 대한 지지율은 60%로 비교적 높은 편이었으나 이 수치도 지난해 4월 이 분야에 대한 질문이 시작된 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또 미국 정부가 의회에 요청한 870억달러의 이라크 재건비를 어떻게 조성해야 하느냐는 질문에 대해 응답자의 56%는 지난 5월 의회를 통과한 감세안 일부를 철회해 충당해야 한다고 답변했다. 감세 정책은 상위소득 납세자에게 유리하다는 비난을 받아왔다. 부시 대통령은 앞서 CNN과 USA투데이, 갤럽이 지난 22일 공개한 공동 여론 조사 에서도 지지율이 50%로 나타나 취임 이후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한 바 있다. 그러나 대통령 선거가 오늘 치러진다면 어느 후보를 뽑겠느냐는 질문에 응답자들은 민주당의 하워드 딘 전 버몬트 주지사나 웨슬리 클라크 전 나토사령관보다 부시 대통령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2일 CNN 등의 여론조사에서 클라크 후보에게 3% 포인트 차로 뒤졌던 부시 대통령은 이날 조사에서 클라크 후보를 7% 포인트 차로 앞서 근소한 우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부시 대통령과 딘 후보가 맞붙었을 경우 부시 대통령이 48%, 딘 후보가 35%의 지지율을 얻어 부시 대통령이 13% 포인트 차로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난 7월 여론조사에서 부시 대통령이 딘 후보를 22% 포인트 차로 크게 앞섰던 것에 비하면 이는 지지율 차이가 10% 포인트 가까이 좁혀진 것이어서 향후 대선 가도에서 치열한 경합이 예상된다.
리처드 아미티지 미국 국무부 부장관은 25일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KEDO)가 담당하고 있는 북한 경수로건설공사는 중단됐다고 밝혔다. 아미티지 부장관은 이날짜 아사히(朝日)신문과 워싱턴에서 가진 회견에서 이같이 밝히고 "한국과 일본이 막대한 재정을 부담하고 있기 때문에 협의를 해야 하겠지만 더 이상 건설을 계속하기는 어렵다"고 강조했다. 아미티지 부장관은 북한 핵문제와 관련, "부시 대통령은 평화적이고 외교적인 해결책을 찾아낼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또 6차 회담과 관련, "중국이 매우 유익하게 기여하고 있어 북한은 차기 6자회담에 참가할 것"이라면서 "후속회담에 대해서는 나도 낙관적으로 보고 있다"고 강조했다. 아미티지 부장관은 이밖에 이라크 재건을 위한 일본의 재정지원문제에 대해 "관대한 공헌을 할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으나 구체적인 액수는 제시하지 않았다. 일본은 걸프전 당시 약 140억달러를 지출했으나 아미티지 부장관은 "당시 일본이 부담한 액수는 놀랄만한 규모지만 이는 군사적 공헌을 하지 못한데 대한 미안함이 반영된 것"이라면서 이번에는 "아프가니스탄 재건에 중요한 공헌을 하는 등 사정이 다르기 때문에 얼마가 적당하다고 말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또 "이라크로부터의 안정적인 석유공급은 일본의 국익에도 부합한다"고 지적하고 자위대 파견문제에 대해서도 "고이즈미(小泉) 총리는 (이라크 문제에 대해) 관람석에서가 아니라 플레이어로 운동장에 서는 길을 선택했으므로 포지션을 스스로 정해야 하지만 언젠가는 다른 국가들과 함께 이라크 안정에 임하게 될 것으로 낙관한다"고 덧붙였다.
미 행정부가 중국과 일본의 환율문제를 공개적으로 비난함으로써 미국내 제조업체들의 찬사를 얻고 있지만 백악관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전문가들을 포함해 많은 경제전문가들은 이 같은 노력으로 해결되는 것보다 훨씬 많은 문제를 야기할 수도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고 뉴욕타임스 인터넷판이 25일 보도했다. 타임스는 중국과 다른 아시아 국가들이 자국 통화가 달러화를 상대로 저평가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지난해 미 재무부 채권을 대규모로 구입함으로써 급격하게 늘어나는 미국의 재정적자를 줄이는데 일조했다고 지적한 뒤 이 같은 재무부 채권의 수요는 저금리 유지에 도움을 주고 있다고 강조했다. 타임스는 중국과 일본이 방향을 선회할 경우 재무부 채권을 매각하기 시작할 것이며 이는 이자율 상승을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미 백악관과 긴밀하게 연계돼 있는 보수정책연구소인 미국기업연구소(AEI) 데즈몬드 락스만 상임연구원은 "아시아인들이 채권을 매수하지 않는다면 누가 채권을 매수할 것인지 스스로 자문해 봐야한다"고 말했다. 글렌 허바드 전(前) 백악관 경제자문회의(CEA)의장은 월스트리트저널(WSJ) 기고문에서 미 제조업체의 일자리 감소문제를 위앤화의 탓으로 돌리는 것은 "설득력이 없는데다 부적절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중국에 변동환율제를 강요하는 것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국의 대형 금융분야에 재앙을 초래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타임스는 많은 이코노미스트들이 중국과 일본이 대미 수출경쟁력을 위해 자국 통화를 인위적으로 평가절하한다는데 동의하지만 갑작스러운 정책변화가 재앙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모건스탠리 딘 위터의 수석 이코노미스트 스티븐 로치는 "이는 중국을 불안하게 하고, 미국을 불안하게 하며 결국 전세계를 불안하게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타임스는 심지어 호르스트 쾰러 국제통화기금(IMF)총재가 공개적으로 환율정책을 변경하도록 압력을 가하는 것에 대해 경고했다고 소개하면서 오랫동안 미국과 유사한 주장을 하던 사람들조차 미국의 정책에 거리를 두고 있다고 전했다. 또 하이프리퀀시이코노믹스의 칼 와인버그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부시 행정부의 전술은 경제보다는 정치에 기초한 것이라면서 "재선을 위해 뛰고 있는 부시 대통령은 대기업들의 지지를 원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홍콩의 병원과 학교, 공항 등 전역이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에 대비해 다음달 말까지 대대적인 모의훈련을 실시한다. 여응키옹(楊永强) 홍콩 위생복리국 국장(장관)은 23일 홍콩 전체 시민들과 정부의 사스 대응 능력을 점검하기 위해 대규모 사스 모의훈련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여 국장은 "이번 모의훈련 대상은 학교와 주택, 민간병원, 기업, 공공주택, 복지단체, 공공교통, 항공, 관광여행업, 식당, 시장 등 17개 부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이번 모의훈련은 사스 보고체계와 대응계획을 총점검하기 위한 것이며 구체적인 훈련방안은 부문별로 마련해 다음달 말까지 끝낼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중요한 것은 사스 발생시 신속하게 대응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며 사스 가능성이 있거나 사스가 발생할 경우 단계별 행동요령을 파악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홍콩 정부는 22일 사스가 발생할 경우 둥젠화(董建華) 행정장관을 사령관으로 하고 3단계 사스 공격 방안을 담은 `사스와의 전쟁계획안'을 발표했다. 이 방안에 따르면 홍콩 정부는 우선 외국에서 사스 양성반응을 보인 환자가 발생할 경우 즉각 홍콩 전역에 사스 경계경보를 발령하기로 했다. 또 홍콩에서 사스 환자가 1명 이상 발생했으나 연계성이 없을 경우 1단계 공격 상황으로 규정하고 위생복리국장이 운영위원회를 주재하며 대응해 나가기로 했다. 그러나 사스가 지역사회에 확산될 조짐을 보일 경우 2단계 공격 상황으로 승급하고 둥젠화 장관이 운영위원회를 이끌며 사스 퇴치에 나서기로 했다. 둥젠화 장관은 2단계에서 사스 확산을 막기 위해 사스 감염자가 거주하고 있는 건물에 검역조치를 실시하고 격리캠프를 활용하는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지난달 태국에서 체포된 동남아 거물 테러범 함발리(본명 리두안 이사무딘)는 방콕의 돈므엉 국제공항을 미사일로 공격할 계획이었다고 털어놓은 것으로 태국 신문들이 22일 보도했다. 태국 신문들은 함발리 체포 작전에 참여했던 보안 소식통의 말을 인용해 함발리가 방콕 주재 미국, 이스라엘, 일본 대사관 등의 폭파를 기도했던 사실과 함께 돈므엉 국제공항과 민간 항공사들 및 여객기를 겨냥한 미사일 공격 계획을 세웠다는 점을 시인했다고 전했다. 이 소식통은 "함발리가 취조 과정에서 배낭여행자 숙박시설이 밀집한 방콕 시내 `카오산'거리도 폭파할 계획이었고 답사도 이미 끝낸 상태였음을 자백했다"고 밝혔다. 함발리는 다음달 방콕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체(APEC)정상회담에 때를 맞춰 이곳들을 공격하려 했던 것은 아니며 "그는 준비가 되는 대로 빨리 공격 계획을 실행에 옮기려 했다고 밝혔다"고 이 소식통은 전했다. 이 소식통은 함발리가 지난달 11일 중부 고대 도시 아유타야의 임대 아파트에서 체포될 때 그를 덮친 수사관들에게 권총을 쏘려 했다고 말했다. 함발리가 정예 요원 20명이 아파트 주위를 둘러싼 상황에서 특수부대원들에게 6층 짜리 아파트 건물 밖으로 유인돼 나오는 사이 다른 체포조가 그의 부인을 붙잡기 위해 아파트 안으로 진입했다고 이 소식통은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 당시 함발리가 기거하던 아파트에서는 많은 무기와 폭약 원료 및 폭탄 제조 설명서 등이 발견됐다고 이 소식통은 말했다. 이 소식통은 함발리가 태국 보안 당국에서 1주일 이상 신문을 받은 후 미국에 넘겨졌다고 밝혔다.
일본 엔(円)화 시세의 급등 행진이 계속된 가운데 주가가 폭락하고 장기금리도 급락했다. 22일 도쿄(東京) 외환시장에서는 엔화의 달러화에 대한 시세가 한때 달러당 111엔 전반까지 가파르게 상승하며 지난 2000년 12월 이후 2년 9개월만의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난주말 급등세를 보였던 뉴욕시장의 흐름에다, 두바이에서 개최된 선진7개국(G7)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회의에서 일본 통화당국의 시장개입을 견제한 공동성명 등의 영향으로 엔화 강세가 가속화됐다. 엔화는 이날 본격적인 거래가 시작되기전인 오전 8시 조금 넘어 지난주보다 3.85엔이 오른 111.37엔까지 치솟은 뒤 일부 시세차익을 노린 매도세가 나타나면서 이후 112엔대 전반을 중심으로 거래됐다. 시장에서는 G7 성명에 따라 일본 통화당국이 엔화를 내다팔고 달러는 사들이는 시장개입에 적극 나서지 못할 것이라는 관측이 퍼져있으며, 미국과 유럽 투자가들을 중심으로 엔을 사려는 세력이 여전히 강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급격한 엔화강세로 당국의 시장개입을 경계하는 분위기도 있으며, 일각에서는 "매도세력 가운데는 일부 시장개입으로 볼 수 있는 것도 있다"는 분석도 제기 됐다. 앞으로의 엔화 추이에 대해 시장 관계자들 사이에서는 시장 개입 경계감 등으로 112엔대에서 공방을 벌일 것으로 보는 관측과 함께 수출기업들의 채산성 마지노선인 110엔대를 돌파할 가능성도 있다는 견해 등이 혼재해 있다. 엔고(高)가 더욱 가속화될 경우 최근 완만한 경기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일본 경제에 대한 악영향이 우려되고 있어 시장에서는 통화당국의 향후 대응을 예의 주시하고 있다. 이날 개각에서 새로 임명된 다니가키 사다카즈(谷垣楨一) 재무상은 최근의 엔고현상에 대해 "환율은 안정적으로 움직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해 급격한 변동을 방치하지않을 것임을 시사했다. 한편, 도쿄 주식시장에서는 급격한 엔고로 타격을 입게될 수출주 등이 큰 폭으로 떨어지며 닛케이평균주가(225종목)가 폭락, 463포인트 이상 내린 10,475.10포인트로 장을 마감했다. 또한 채권시장에서도 엔화 급등의 영향으로 장기금리가 급락(채권가격은 상승)했다. 장기금리의 지표가 되는 10년만기 국채의 유통수익률은 오후 3시 현재 지난주말에 비해 0.165%포인트 하락한 1.225%를 기록, 약 1개월만에 1.3% 밑으로 떨어졌다.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의 오는 23일 유엔총회 연설은 주요 국제사회의 이라크 개입을 다시 한번 호소하기 위한 것으로 미국은 세계가 필요하다는 뜻을 인정하고 있는 것이라고 21일 로스앤젤레스 타임스가 전했다. 이 신문은 이날 '부시, 달라진 이라크 입장으로 유엔 회귀' 제하의 기사에서 이같이 말하고 이는 부시 대통령이 (과거) 이라크에 들어가는데 유엔을 무시할 수 있었을 지라도 전후 평화를 공고히 하고 그런 다음 이라크에서 나오는 일은 유엔의 허가(imprimatur)없이는 어렵다는 사실을 입증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익명을 요구한 믿을 만한 관리는 "그는 그런 식으로 하지 않으려 하겠지만 그게 현실"이라고 말했다. 부시 대통령은 지난 해 유엔 총회 개막 연설에서 이라크 개입의 긴급한 필요성을 강조하고 "우리는 위험이 가중되는 마당에 기다리며 아무 것도 안하고 있을 수 없다. 미국은 다른 나라들이 망설인다면 유엔없이 행동에 옮길 준비가 돼있다"고 선언한 바 있다. LA 타임스는 또 미국은 새 유엔 결의안이 무엇보다도 먼저 이라크 정책에 대한 극심한 분열을 치유하고 결국에는 출구전략의 필요조건(the prerequisites of an exit strategy), 즉 동맹국들이 병력과 전후복구기금을 추가 제공하도록 이끌게 되길 바라고 있다고 덧붙였다. 미국 고위 관리들은 부시 대통령의 이번 주 유엔 연설은 이라크 문제에 대한 다른 도전이라며 부시 대통령이 숱한 인명과 자원 희생이 점점 늘고 있는 불안한 (이라크ㆍ아프가니스탄) 정책에서 빠져 나오려면 미국 행정부가 실제로 국제사회에 다른 핵심사항에 대한 양보가 있어야 한다고 말한 것으로 이 신문은 전했다.
=당 3역 개편, 간사장에 아베 관방부장관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일본 총리의 집권 2기 내각이 22일 출범한다. 자민당 총재로 재선된 고이즈미 총리는 21일 아베 신조(安倍晋三) 관방부장관을 당 서열 2위인 간사장으로 기용하고 정조회장에 누카가 후쿠시로(額賀福志郞) 간사장 대리를 임명하는 한편 호리우치 미쓰오(堀內光雄) 총무회장을 유임시키는 당 3역인사를 단행했다. 야마사키 다쿠(山崎拓) 전 간사장은 당 부총재로 임명됐으며 나카가와 히데나오(中川秀直) 국회대책위원장은 유임됐다. 고이즈미 총리는 21일 저녁 연립여당인 공명당 및 보수당 대표와 회동, 조각작업을 거쳐 22일 새 내각을 발족시킬 계획이다. 올해 49세로 3선에 불과한 아베 관방 부장관의 파격적인 간사장 발탁은 참신한 인사를 강조하면서 차기 총리 후보 1위로 꼽히는 그의 대중적 인기를 총선거에 적극 활용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아베 신임 간사장은 일본 정부내의 대표적 대북(對北) 강경파로 꼽히며 개헌에도 매우 적극적인 인물이다. 정조회장에 임명된 누카가 간사장대리는 당내 최대 파벌인 하시모토(橋本)파로 이번 총재선거에서 고이즈미 총리 지지를 선언한 아오키 미키오(靑木幹雄) 참의원 간사장과 가까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이즈미 총리는 재선 직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중의원 해산과 관련, "10월에 중.참의원 동시 보궐선거가 있기 때문에 야당의 반응을 보아가면서 판단하겠다"고 말해 26일 소집되는 임시국회에서 테러대책특별법 등을 처리한 후 10월중 중의원 해산, 11월중 총선거를 실시할 생각임을 내비쳤다. 일본 언론들은 정치일정을 감안할 때 10월 10일 중의원 해산, 11월 9일 선거가 유력한 것으로 점치고 있다. 고이즈미 총리는 내각개편과 관련, "당내의 균형을 생각하면서 거당체제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도 "파벌단위 추천을 요청하는 방식은 취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해 독자적인 인사를 추진할 생각임을 분명히 했다. 고이즈미 총리는 후쿠다 야스오(福田康夫) 관방장관을 유임시키기로 하고 본인에게 통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건강상의 이유로 사퇴의사를 표명한 시오카와 마사주로(鹽川正十郞) 재무상과 가와구치 요리코(川口順子) 외상, 도야마 아쓰코(遠山敦子) 문부과학상은 교체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고이즈미 총리가 추진해온 경제 구조조정의 간판격으로 이번 내각개편의 초점인 민간 출신 다케나카 헤이조(竹中平藏) 경제재정.금융상의 경우 당내에서는 경질요구가 높으나 고이즈미 총리는 겸무를 해제해 한쪽에만 전념토록 하는 방안을 검토중인것으로 전해졌다.
중국이 작년부터 동북부 옌볜(延邊) 조선족 자치주를 대상으로 `조선족의 조국은 중국이다'는 내용의 사상교육을 시작하는 등 중국에 대한 귀속의식을 강조하는 정책을 펴고 있다고 마이니치(每日)신문이 19일 서울발로 보도했다. 중국이 이같은 사상교육에 나선 이유는 지난 2001년 한국의 국회의원들이 발의한 `재외 동포법 개정안'이 미국과 일본의 동포 뿐만 아니라 조선족까지도 재외동포의 범주에 넣으려는데 대한 반발에서 비롯됐다고 신문은 전했다. `중국인'인 조선족 200만명을 대상으로 한 한국의 민족주의적 법안내용에 충격을 받은 중국은 지난 해 장쩌민(江澤民) 당시 국가주석의 지시로 대책을 검토했다. 이를 토대로 중국은 지난해 8월부터 조선족 자치구에서 ▲조선족의 역사는 중국에 살고 있는 소수 민족으로서의 역사이다(역사관) ▲조선족은 중국의 다양한 민족 가운데 살고 있는 민족이다(민족관) ▲조선족의 조국은 중국이다(조국관) 등 `3관(觀) 교육'을 시작했다. 이와 함께 중국은 사회과학원 산하 기관에 `동북공정(東北工程)'이라고 명명된 5년 프로젝트를 만들어 기원전후 중국 동북부 및 조선반도 북부를 지배한 고구려에 대한 역사연구에 착수했다. 사회과학원의 연구원은 "한국과 북한은 고구려가 고대 조선의 국가라고 말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다르다"며 "고구려 발상지는 중국 동북부이며, 중국 변경의 민족정권이었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다"고 말했다고 신문은 전했다. 마이니치는 이 연구원의 언급에 대해 "장차 (제기될 수 있는) 영토분쟁에 대비하기 위한 논리무장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재독 철학자 송두율 교수가 19일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앞으로 오는 22일 귀국하겠다는 의사를 통보했다. 송 교수는 이날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앞으로 보낸 성명서를 통해 "이번에도 저의 조국방문을 가로막은 여러가지 어려움이 있었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를 꼭 성사시켜 보려했던 것은 그러한 변화속에서도 그래도 변치 않은 그 무엇들이 있을 것이라 기대하고 이를 확인하고 싶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물론 이러한 바람이 현실과 부딪히면서 부정될 수도 있겠지만 37년만에 고향을 찾는 오늘의 제 솔직한 심정"이라고 귀국의사를 공식적으로 밝혔다. 그는 또 아버님 묘소를 찾고 고향 어르신도 만나고 싶다고 소망도 함께 전해왔다. 그는 "무엇보다 임종을 지켜보지도 못한 아버님의 묘소를 처와 두 아들과 함께 찾아가 본의 아니게 저지른 그 동안의 불효를 너그러이 용서해 주십사고 통절히 빌고 싶다"고 말했다. 그는 또 "짧은 일정이지만 어떻든 그 동안 정말 보고 싶었던 많은 사람들, 특히 친구 및 선후배들과 고향 어르신들을 만나 뵙고 싶다"는 희망도 피력했다. 그는 또 "우리 젊은이들과 더불어 앞으로 우리 민족의 평화로운 번영과 발전에 대해 허심탄회하게 토론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게 되기를 기원한다"고 전했다. 그는 "여러분의 진지한 도움으로 저의 한국 체류가 무리없이 잘 이뤄질 수 있다면 오랜동안 `경계인'으로 살아온 자신의 삶을 반추하고 싶다"고 말했다. 송교수는 21일 오후 2시30분(독일 현지 시간) 베를린에서 루프트한자 LH712 항공기를 타고 22일 오전 11시10분 인천공항에 도착할 예정이다. 송 교수는 22∼27일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가 주관하는 해외민주인사 초청행사의 공식일정을 소화하게 되지만 23일 청와대 방문, 24일 판문점 방문은 어려울 전망이다. 송 교수는 해외민주인사 초청 공식행사가 끝난 뒤에도 28∼29일 전남대 강연에 참석하고 30일에는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주관 심포지엄에서 `한국민주화운동의 과제'를 주제로 기조발제를 할 예정이다.
미국 동부 해안 도시들이 강풍과 폭우에 대비하는 가운데 2등급 허리케인 `이사벨'이 17일 자정(한국시각 18일 오후 1시)께 노스 캐롤라이나와 버지니아주의 해안에 상륙한다고 국립 허리케인센터가 밝혔다. ABC 방송은 이날 정부 기상담당관의 말을 인용해 이사벨이 과거에 본 적이 없는 새로운 코스를 밟고 있으며 이 때문에 피해가 예상보다 더 커질 것으로 우려된다고 보도했다. 대서양에서 형성되는 허리케인들은 대부분 노스 캐롤라이나의 아우터뱅크스와 평행으로 해안선을 따라 북쪽으로 올라가지만 이사벨은 직접 해안으로 치고 들어오고 있다는 것이다. 국립해양대기청(NOAA)의 예보관들은 허리케인에 이름이 붙여지기 시작한 지난 1933년 이후 지금까지 어떤 폭풍도 그런 코스를 택한 적이 없다고 말했다. NOAA 환경예보센터의 루이스 우첼리니 국장은 "직각으로 해안에 접근하는 이런 종류의 폭풍은 더 큰 폭풍 해일과 높은 파도, 강풍을 동반해 (해안선과 평행으로 올라가는 폭풍보다) 훨씬 더 많은 피해를 낼 수 있다"고 말했다. 우첼리니 국장은 이날 백악관 웹사이트에 올린 글에서 컴퓨터 모델로 실험한 결과 이사벨은 해안에 상륙할 때 13.5m 높이의 파도를 동반할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그는 ABC 방송과 한 회견에서 "그래서 이것은 위험한 상황"이라면서 "과거에도 폭풍을 이겨냈으며 이것도 과거 경험했던 전형적인 허리케인과 마찬가지라고 믿고 싶어하는 사람들에게 말하지만 이것은 당신들이 과거에 경험했던 허리케인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사벨의 눈은 미국 동부시각 17일 오후 8시 현재 노스 캐롤라이나주 케이프 해테라스 남남동쪽 450.5㎞ 해상에서 시속 169㎞의 강풍을 동반한 채 시속 22.5㎞로 북북서진하고 있다. 지난 1989년 허리케인 휴고도 역시 해안선에 직각으로 치고 들어왔지만 훨씬 더 남쪽 해안이었으며 당시 보험 청구액은 61억달러에 달해 1992년 플로리다주를 강타한 허리케인 앤드루때 청구된 155억달러에 이어 역대 2위의 청구액을 기록했다. 일부 기상전문가들은 이사벨이 지나간 뒤 보험청구액이 40억달러로 역대 3위를 기록할 것 같다고 전망했다. 한편 MSNBC 방송은 노스 캐롤라이나주의 해안에서 대피하라는 정부 당국의 명령을 무시하고 머물고 있는 사람들이 많아 인명피해가 커질 것같다면서 정부측은 그들에게 "우리는 당신들을 구출하려는 영웅적행위를 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정부는 오는 2008년까지 건강보험료율을 현행 3.94%에서 6.7%로 인상하고, 진료비와 약값 등 전체 의료비 지출 가운데 건강보험에서지급되는 비율을 현행 52%에서 70%로 끌어올리는 방안을 검토키로 했다.정부는 이같은 내용을 포함한 `참여정부 보건의료발전 계획안'을 놓고 관계 부처 협의와 공청회 등을 거쳐 오는 12월까지 최종 확정할 방침인 것으로 17일 알려졌다.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정부의 용역 의뢰를 받아 작성된 중간보고서에 따르면 2008년이 되면 우리나라의 평균 수명은 76.5세, 만성질환 유병률은 41%가 되고 전체의료기관 가운데 공공의료기관의 비율은 현재의 15%에서 두배인 30%로 늘어나게 된다.또 성인흡연율은 현재의 35.1%에서 30%로, 성인비만율은 20.6%에서 15% 줄어드는 반면 암조기검진율은 20%가 되도록 할 계획이다.보고서는 이와함께 인구 10만명당 활동 의사수를 136명에서 163명으로 늘리는등 의료인력 대폭 확충을 꾀하는 한편, 보건의료산업의 생산액이 85조원까지 확대되고 수출액도 40억달러에 달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복지부 관계자는 "보건사회연구원의 중간보고서를 토대로 참여정부 보건의료발전 계획안 마련을 위해 11월까지 부처협의와 공청회, 종합보고서 발간 등을 끝낸뒤12월 국무회의를 거쳐 최종 확정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은 지난 2001년 빌 클린턴 당시 미국 대통령에게 북한을 방문하라고 강력히 촉구했다고 매들린 올브라이트 전(前) 미국 국무장관이 16일 출간된 회고록에서 밝혔다. 올브라이트 전 장관은 '마담 세크러테리(MADAM SECRETARY)'라는 제목의 이 회고록에서 2000년 10월 북한을 방문했을 때 김정일 국방위원장에게서 받은 인상과 김대중 전 대통령과 얽힌 일화, 미북 정상회담이 무산한 경위 등을 소상히 밝혔다. 올브라이트 전장관은 "김대중 전 대통령은 (클린턴) 대통령에게 평양행을 강력히 촉구하면서 김정일이 그 방문을 성공(적인 방문)으로 만들기를 원하는 점을 확신한다고 말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올브라이트 전 장관은 "우리는 너무 시간이 없었기 때문에 비정상적인 상황에서 움직이고 있었다"면서 "의회와 전문가 그룹의 많은 사람들이 북한과 하는 거래가 국가미사일방어(NMD)의 구축의 명분을 약화시킬 것을 우려했기 때문에 그 정상회담에 반대했다"고 말했다. 올브라이트 전 장관은 이어 "다른 사람들은 그 정상회담이 북한의 악한 지도자들을 `합법화'해줄 것이라고 말해 리처드 닉슨 대통령의 1972년 중국 방문과 워싱턴-모스크바간 여러 정상회담이 만든 전례를 무시했다"고 말했다. 또 다른 사람들은 클린턴 대통령의 임기말이 다가와 북한과 정상회담을 추진하기는 시간이 너무 늦었기 때문에 그 추가 협상작업을 후임자에게 넘겨야 한다고 주장했다는 것. 그래서 클린턴 대통령은 조지 W. 부시 후보가 2000년 대통령 선거의 승자로 선언됐을 때 부시 당선자에게 평양과 하는 정상회담을 반대할 지를 물었다. 부시 당선자는 그것은 빌 클린턴 대통령의 결정이었으며 우리는 한번에 하나만의 최고 행정책임자를 갖는다고 대답했다. 클린턴 대통령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간의 중동사태가 급박하게 돌아가자 북한을 방문하는 방안과 중동평화의 마지막 중재노력을 하는 방안 사이에서 고민하다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에게 미국을 방문해줄 수 있느냐고 물었다. 북한측은 국제외교관례에 어긋나는 이 급박한 제안을 거절했고 결국 미북 정상회담은 무산했다.
멕시코 정부는 이번 제5차 세계무역기구(WTO) 각료회의에서 한국측으로부터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제의를 받은 데 대해 현 단계에서는 일본-멕시코 FTA에 주력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각료회의에 참석한 한국정부 대표단 관계자들이 15일 밝혔다. 멕시코 WTO 협상단은 한국과의 FTA 체결 문제와 관련해 멕시코 기업들 사이에 한-멕 FTA 체결에 공감하는 분위기 형성이 필요하므로 먼저 민간분야에서 FTA 체결 노력을 해야 한다고 밝혀 아직은 정부 수준에서 FTA 협상을 시작할 단계가 아니라는 점을 재차 밝혔다. 최근 한국 정부는 멕시코와 FTA 체결을 적극 추진한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한편 멕시코는 5차 WTO 각료회의가 열린 멕시코 칸쿤에서 각료회의 폐막에 곧이어 16일부터 제10차 일-멕 FTA 실무회의를 개최한다. 멕시코측은 일본과의 FTA 협상이 일정 대로 추진될 경우 비센테 폭스 대통령이 오는 10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 참석하는 길에 일본을 방문해 FTA 양해각서(MOU)를 체결토록 한다는 계획이다. 일본 정부는 멕시코와의 FTA 체결과 관련, 내년 하반기 협정 발효를 목표로 연내 협상을 타결하기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멕시코 경제일간지 엘 피난시에로가 이날 보도했다. 일본측은 비농업부문의 경우 99.9%의 개방을 제안하고 있으며, 금융부문 진출을 통해 멕시코 투자 일본기업들의 활동을 원활하게 하겠다는 계획을 제시했다. 그러나 현재 일본측의 철강 관세인하 요청과 멕시코측의 돼지고기 수입개방에 대한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있어 협상 진전에 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고 신문은 전했다. 멕시코는 모든 제품에 대해 10년이내에 관세를 전면 철폐하는 방안을 주장하고 있는 반면, 일본은 자국산업 보호를 이유로 돼지고기와 피혁제품을 FTA 대상에서 제외할 것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으로서는 멕시코와 FTA를 체결할 경우, 지난해 1월 싱가포르와 양국간 교역품의 98%에 대한 수출입 관세 철폐를 내용으로 한 협정 체결 이후 두 번째가 된다. 일본은 필리핀, 한국, 대만 등 다른 나라와도 비슷한 FTA를 추진하고 있다.
고열과 폐의 반점 등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유사증세로 지난 15일 밤부터 정부 병원에 격리 수용돼 치료받고 있는 홍콩 여성(34)에서 사스 바이러스가 발견되지 않았다고 홍콩 당국이 밝혔다. 16일 현지 언론에 따르면 홍콩 위생서는 정부가 경영하는 '프린세스 마거렛 병원'에 입원중인 이 환자의 몸에서 채취한 샘플을 정밀 검사한 결과 사스 바이러스와 다른 반응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이 환자를 사스 의심환자로 분류할 필요가 없다고 덧붙였다. 위생서는 또 환자의 가족에서도 사스 유사증세를 발견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위생서는 그러나 만일의 경우에 대비, 사스 예방 조치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여성은 지난 8일부터 숨이 가쁜 증세를 겪다가 이틀만인 10일 개인 병원으로 가 X레이를 찍은 결과 열 이외에도 폐에 반점들이 나타나 사스에 감염됐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어 추가적인 검사를 받기 위해 정부 병원에 입원했다고 위생서는 밝혔다.
한국 영문국호 Korea를 Corea로 바꾸려는 움직임이 최근 한반도 내에서 폭넓게 이뤄지고 있다고 15일 로스앤젤레스 타임스가 전했다. 신문은 이날 '남북 국호표기 'C'변경 모색(A 'C' Change in Spelling Sought for the Koreas)' 제하의 서울발 국제면 주요기사에서 지난 2002년 한일 월드컵축구 당시 '붉은 악마'들이 '코레아(Corea)' 스카프를 들고 열광하는 사진을 함께 싣고 원래 Corea가 1910-45년 일제 강점기에 일본이 영문 알파벳 서열상 뒤에 오도록 Korea로 바꿔놨다며 이를 원상회복해야 된다는 주장이 일고 있다고 보도했다.. 한때 언어학자들이나 역사가들에게 대수롭지 않게 여겨졌던 알파벳순위 복원문제는 김성호 의원(민주) 등 국회의원 22명이 지난 8월 결의안을 제출까지 진전됐다고 신문은 전했다. LA 타임스는 또 남북한 학자들은 지난 달 평양에서 학술토론회를 개최, 남북 양측이 국호변경에 공동 노력키로 합의했으며 북측이 단일팀을 구성할 용의도 있다고 밝힌 오는 2004년 아테네올림픽에 때를 맞춰 이뤄지길 희망했다고 밝혔다. 'Corea'를 주장하는 이들은 1890년 영국정부가 주한 영국대사관 주춧돌에도 'Corea)'로 표기한 것처럼, 19세기에 간행된 영문 서적이나 지도가 한국을 'Corea'로 표기하고 있으나 일제의 한반도 강점시점과 맞물리는 20세기 초 얼마간은 'Korea'가 'Corea' 보다 빈번하게 사용됐다고 말하고 있다. 정용욱 서울대 교수는 1910년 한반도를 공식적으로 식민지화하기에 앞서 4년동안 한국을 통치했던 일본이 런던올림픽(1908년)당시 영문국호를 Korea로 바꿔 Japan 선수단이 앞서 입장하도록 했고, 식민통치시절 한 일본인 관리의 1912년 비망록에도 '그들이 국호표기를 C로 고집함으로써 독립된 국가임을 주장'하려 하고 있다고 쓰고 있는 것도 일제의 소행이 분명하다는 증거임을 강조했다고 신문은 전했다. 이와 함께 신문은 월드컵축구 당시 한국의 젊은이들은 '알레 꼬레(Allez Coree!)' '포르차 코레아(Forza Corea)' 등 대체로 'C'표기가 많은 프랑스어나 이탈리아어 걸개를 들고나와 응원을 했다고 전하면서 최근 온라인 여론조사에서도 영문국호 변경을 지지한 응답자는 69.4%로 반대 목소리(27.4%)를 압도했다고 타임스는 덧붙였다.
멕시코 칸쿤에서 개최된 제5차 세계무역기구(WTO) 각료회의가 결렬돼 각료선언문을 채택하지 못하고 각료성명만 발표한 채 공식 폐막했다. 이번 각료회의 의장인 루이스 에르네스토 데르베스 멕시코 장관은 최종일인 14일 오후 6시께 148개 WTO 회원국 대표들이 참가한 가운데 전체 회의를 열고 각료선언문 대신 짤막한 각료성명을 발표하고 회의 폐막을 공식 선언했다. 새로운 세계무역 질서를 재편하게 될 도하개발아젠다(DDA)의 협상이 `중간합의'의 성격인 각료선언문을 채택하지 못함에 따라 내년말까지 일괄타결을 목표로 한 DDA의 앞날에 암운을 드리우게 됐다. 미국의 로버트 졸릭 무역대표부 대표는 회의 폐막후 기자들에게 "현재의 상황을 볼때 (협상을) 기한내에 타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기 어렵다"며 매우 비관적인 견해를 표명했다. 회원국 대표들은 이날 성명에서 "이번 회의 참가국 모두가 DDA 협상 진전을 위해 건설적으로 노력했으며 상당한 진전을 이뤘다"고 평가하며 "그러나 앞으로 DDA 협상을 타결하는 데 필요한 일부 핵심 현안에 대해 더욱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밝혔다. 성명은 또 "우리들은 각국 실무자들이 긴급함과 사명감을 갖고 이번 회의에서 표현된 모든 의견을 충분히 고려해 핵심 이슈들을 계속해 논의해야 한다는 데 인식을 같이한다"면서 "앞으로 WTO 일반이사회 의장이 WTO 사무총장과 협력해 오는 12월15일 이전 제네바 WTO 본부에서 각국 고위급 대표들이 참가하는 WTO 일반이사회를 개최해 조율할 것을 요구한다"고 향후 일정을 밝혔다. 성명은 이어 "이번 협상에서 각료선언문이 채택되지 못하는 상황을 맞이했음에도 불구, 우리는 도하 선언과 결정을 따를 것임을 재확인하고 이를 충실히, 그리고 완전히 이행하기 위해 계속 노력할 것임을 밝힌다"고 덧붙였다. 제6차 WTO 각료회의 일정에 대해 대표들은 홍콩에서 개최한다는 데만 합의하고 시기에 대해서는 추후 논의하기로 했다. 이번 협상 결렬은 이날 오전 8시30분부터 30여개국이 참가한 가운데 열린 주요국 비공식 회의에서 아프리카.카리브해.태평양(ACP) 그룹 등 개도국들이 싱가포르 이슈를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반발한 데 따른 것이다. 비공식 회의에서 유럽연합(EU)은 싱가포르 이슈의 절반만 협상을 개시한다는 제안을 했으나 ACP 국가들을 비롯해 아프리카연맹(AU), 최빈개도국(LDCs) 등을 중심으로 싱가포르 이슈가 자국들에 미치는 영향을 반영하지 않았다며 이 제안에 반대했다. 이에 따라 비공식 회의를 주재한 데르베스 장관은 싱가포르 이슈 합의가 어려운 것으로 드러나자 이런 상태로는 합의문 도출이 어렵다며 사실상 결렬을 선언하고, 이날 오후 4시 전체 수석대표회의(HOD)를 거쳐 회의를 공식 폐막한다고 밝혔다. 4개 싱가포르 이슈에 대해 13일 발표된 선언문 초안은 무역원활화, 정부조달 투명성 부문만 즉시 협상을 개시하고, 투자와 경쟁 부문은 농업과 비농산물의 시장접근과 관련된 협상세부원칙이 결정된 이후 협상을 시작한다는 쪽으로 결정됐었다. 당초 일정으로 이날 오후 1시로 각국 대표 기조연설을 모두 끝내고 오후 3시께부터 폐막식에 들어가 합의된 선언문 초안을 상정해 채택하고 차기 각료회의 개최 시기와 장소를 결정한 뒤 오후 6시께 공식 폐막할 예정이었다. 당초 첨예한 대립을 보인 농업시장 개방분야로 인해 각국 대표들간에 밤샘 막후협상이 숨가쁘게 진행되면서 하루 정도 폐막식이 연기될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이 제기됐으나, 일단 표면적으로는 농업문제가 아닌 싱가포르 이슈에 대한 이견으로 결렬된 것으로 나타났다. 각료회의 선언문 채택은 전체 회원국의 동의를 받도록 하고 있어 형식적으로는 한 국가라도 반대하면 선언문 채택이 안되도록 규정해 놓고 있다. 13일 데르베스 장관이 배포한 선언문 초안은 농산물 관세인하 방식과 관련해 개도국에 대해 최소한의 감축률을 인정받는 특별품목(SP)과 일정 비율의 농산물만 제외하고 급격한 관세인하가 이뤄지는 스위스 공식(높은 관세를 더 많이 감축해 일정수준 이하로 감축하는 방식)을 적용하거나 5% 이하의 저관세를 설정토록 했다.
새만금개발청 군산대 이전 무산…교직원 58% 반대
‘이춘석 빈 자리’ 민주당 익산갑 위원장 누가 될까
정년 1년 늦추면 고령 정규직 5만명 은퇴 미뤄질 듯
전북 2026년 국가예산 ‘AI시대 에너지 실험도시’ 목표
전북 하수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검출
1조 2000억 인공태양 유치 시동…전북 민·관·학 손잡고 대장정 돌입
전북출신 김지형 경사노위 위원장, 김용선 지식재산처장
미국 고관세 맞서는 전북, 수출기업 맞춤형 종합대책 가동
새만금 신항만, 국내 8대 크루즈 기항지로
임승식 전북도의원, 노인 임플란트 지원근거 마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