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11-07 13:41 (Fri)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지역 chevron_right 정읍

정읍 소성농공단지 산업시설용지 재분양

정읍시가 소성면 등계리 일원에 조성중인 소성식품특화농공단지 내 산업시설용지의 분양조건을 완화해서 지난6일부터 26일까지 재분양하고 있다.첨단산업과(과장 양환창)에 따르면 소성식품특화농공단지는 전체 23만2000㎡ 중 산업시설용지는 16만4000㎡(25개 블럭)으로, 3.3㎡ 당 19만7000원의 저렴한 분양가와 사통발달의 교통입지를 갖추고 있다.시는 지난해 10월 1차 분양 당시 계약체결(계약금 10%) 후 1개월 이내에 중도금(30%)을 납부토록 한 바 있다.이번 재분양 공고에서는 입주기업들의 재정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중도금 납부 조건을 2개월 연장해 3개월 이내에 납부토록 했고, 잔금 60%에 대한 이자율도 6%에서 3%로 인하했다.2012년 농식품부로부터 환경친화적 식품특화농공단지로 선정, 총사업비 172억원(국비 49, 도비 4, 시비 119억원)이 투입돼 조성되고 있는 소성식품특화농공단지는 지난 2013년 11월 전라북도로부터 단지지정 승인을 받았다.이후 2014년 4월 공사에 착수하여 현재 약 75%의 공정율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올 하반기 완공예정이다.첨단산업과는 이곳에 정읍지역에서 생산되는 우수한 농산물을 원자재로 하는 지역 향토산업 생산시설을 유치해 농촌지역 유휴인력에 취업기회를 제공하는등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 정읍
  • 임장훈
  • 2016.04.14 23:02

정읍시, 산림 가치 증대 '총력'

정읍시가 지속가능한 산림자원 육성과 생태적으로 건강한 숲 조성 등 산림의 공익기능 증진을 통한 산림의 가치를 높이는데 총력을 쏟고있다.산림녹지과(과장 강성식)에 따르면 정읍지역 산림면적은 전체 면적인 6만9266ha의 47%인 3만2610ha로 국유림이 3982ha, 사유림이 2만8128ha, 공유림 500ha를 차지하고 있다.특히 올해 산림휴양복지와 산림 6차 산업 등 지속가능한 산림정책 개발을 위한 시책사업을 발굴해 추진계획을 수립했다.이와 관련 지난 3월 29~30일까지 양심묵 부시장을 비롯 산림녹지과장 등 관계자들이 국립수목원 등 전국 우수 산림사업 관련 벤치마킹을 실시했다.또 쌍암동 일대 200ha의 부지에 209억원을 투입해 산림휴양복합단지를 조성할 계획으로 여기에는 자연휴양림과 산악레포츠, 목재 문화체험장, 산약초 체험단지 등이 들어서게 된다.현재 내년도 예산 확보에 주력하는 한편 대상지 적지조사와 기본계획용역을 진행하고 있다.산내면 일원 2778ha 부지에는 140억원을 투입해 선도 산림경영단지 공모사업을 추진한다. 구절초테마공원과 연계한 6차 산업화를 통해 산림소득 사업과 연계할 계획으로 공모사업 선정기준 중 하나인 사업대상 산주들의 동의를 60% 이상 얻은 상태다.아울러 5개년 계획으로 옹동면 일원의 시 유림에 밀원수종 67ha를 조성한다. 아까시나무, 옻나무 등을 식재 수종으로 검토 중이며 임도 주변에 경관수종 식재와 함께 체험활동도 병행할 예정이다.

  • 정읍
  • 임장훈
  • 2016.04.12 23:02

K-water 정읍권관리단 "믿고 마실 수 있는 건강한 수돗물 공급"

2016년 4월1일 정읍시 상수도 수탁 운영 만11년을 맞은 K-water 정읍권관리단(단장 문용관)은 앞으로도 정읍시 지방상수도 운영 효율화를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전개할 계획이다.특히 금년에는 건강한 수돗물 생산과 수돗물 공급과정의 신뢰성 향상을 위해 노후된 섬진강계통 광역정수장 개량공사, 복선화 사업, 관로이설 등을 성공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또한 노후관로 개대체를 추진하고 직결 급수구간은 배수지를 거쳐 정화 후 유입될 수 있도록 간접급수체계로 전환하는 한편 지속적인 누수탐사 등을 통해 정읍 시민들이 믿고 마실 수 있는 건강한 수돗물을 차질 없이 공급할 방침이다.아울러 모든 배수지의 수질을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수돗물 소독제의 농도를 균등하게 유지하기 위해 재염소 주입설비를 추가 설치 운영할 예정이다.이와 관련 K-water는 지방상수도의 미래 물관리 모델로 스마트 물관리(SWM, Smart Water Manage- ment)와 통합물관리(IWRM, Integrated Water Resources Management)를 제시하고 있다.스마트 물관리(SWM)란 취수원부터 수도꼭지까지 건강한 수돗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 과정에 첨단 ICT를 접목한 선진 운영 관리기법이다.각 가정에 부착된 스마트 미터를 통해 수량 정보를 파악할 수 있고, 공급 전반에 계측기 및 센서를 부착해 수량, 수질, 누수감지 등을 통합 관리하여 운영 효율을 높인다.또 유역 내에서 발생하는 복잡한 물문제와 변화된 물관리 환경에 대처하기 위해 통합물관리(IWRM)를 추진 중에 있다.현재 물을 둘러싼 심각한 갈등과 기후변화 등 복잡한 물환경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유역전체를 하나의 유기체로 통합하여 관리함으로써 효율성, 공평성, 지속가능성 측면의 시너지를 극대화하도록 유역 단위로 물을 관리하는 것이다.문용관 단장은정읍시와 K-water가 지방상수도 위수탁 운영이라는 상생을 통하여 정읍시민의 물복지 실현에 K-water가 기여할 수 있어서 큰 보람을 느끼고 있다며 K-water의 스마트 물관리로 깨끗하고 안전한 물의 개념을 넘어 건강한 물을 만들어 공급하겠다고 밝혔다.

  • 정읍
  • 임장훈
  • 2016.04.05 23:02

정읍시 구도심활성화 사업 발굴 '도시재생대학' 수료식

정읍시가 구도심 활성화 사업 발굴을 위해 지난 한달 동안 운영한 도시재생대학수료식이 지난달 31일 열렸다.시 도시과(과장 최낙술)에 따르면 주민들의 자발적 참여를 통한 지속적인 도시재생사업 주체 육성을 위해 공모를 거쳐 3개 지역인 우암태평회와 쌍화차거리, 새암길 상가번영회를 대상으로 총 8회, 33시간에 걸쳐 재생대학을 운영했다.도시재생대학에는 3개 지역 주민들이 참여하고 전문가와 시민기획단이 힘을 합쳐 생활환경개선사업과 주민참여사업을 발굴했다.이날 우암태평회는 △저렴한 임대료정책으로 입점하고 싶은 거리 △성당을 활용한 빛의 거리 △하우스막걸리 등 맛과 창업의 거리 조성사업을 발표했다.또 쌍화차 거리는 △쌍화차축제 △내장산 연계 셔틀버스 운영 △아포카토 등 신메뉴 개발 △빈 점포 문화예술인 입점사업을 제안했다.새암길상가번영회는 △주차장 조성으로 접근이 편안한 거리 △빈 점포 활용 문화조성 △청소년 와이파이 거리 △지역화폐 활용사업을 발표했다.특히 우암태평회와 새암길 상가번영회는 빈 점포를 활용한 구도심 활성화 방안으로 △건물주 협동조합 결성을 통한 5년간 임대료 동결의지를 제시, 주목 받았다.김생기 시장은 수료증을 전달하고주민들이 도시재생대학에 참여하여 열심히 발굴한 사업들은 관계부서에서 실행력을 보완하여 정부 공모사업 신청 시 적극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 정읍
  • 임장훈
  • 2016.04.04 23:02
지역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