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11-05 04:53 (Wed)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지역 chevron_right 완주

완주군 아파트 세대 비중 38%

완주지역 주택 가운데 아파트 세대 비중이 40%에 달하면서 도시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완주군에 따르면 지난해 12월말 아파트 세대수는 모두 1만5634세대로, 전체 주택 세대수 4만750세대의 38.3%에 달했다.이는 지난 2005년 7891세대에 비해 98.1%가 늘어났으며 2014년 말 1만3958세대에 비해 1년새 1676세대, 12.0% 늘어난 것이다. 아파트는 분양 1만159세대, 임대 5475세대다. 또이처럼 완주지역 아파트 세대가 급증한 것은 혁신도시 조성과 완주공단, 테크노밸리 등 입주 등으로 아파트 건설 수요가 크게 늘어났기 때문이다.군은 현재 봉동읍 제내리 제일 오투그란데 526세대와 봉동읍 낙평리 광신 프로그레스 400세대, 고산면 읍내리 동우리치 119세대 등 모두 1045세대가 분양 중에 있고 삼례읍 삼례리 248세대와 봉동읍 신성리에 347세대 규모의 공동주택사업도 추진되고 있어 연내 아파트 세대비중이 40%를 넘어설 것으로 내다봤다.군은 앞으로 삼봉신도시 5211세대를 비롯 미니복합타운 3000세대, 이서 은교지구 892세대, 봉동 은하지구 730세대 등 대규모 주택단지가 조성될 예정이어서 도시화가 빠르게 진행될 전망이다.신세희 도시개발과장은 완주군이 도농복합도시답게 주거형태로서의 아파트 비중이 늘어나고 있다며 아파트 르네상스 사업 등을 통해 주민의 삶의 질이 향상되고 15만 자족도시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말했다.

  • 완주
  • 권순택
  • 2016.08.17 23:02

"완주군 동의 없인 전주대대 이전 안해"

국방부가 전주대대의 완주 이전과 관련, 완주군의 동의 없이는 완주군내로 전주대대 이전을 추진하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밝혀옴에 따라 전주대대 이전이 사실상 백지화됐다.완주군에 따르면 국방부가 지난 9일 완주군의 전주대대 완주군내 이전사업 백지화 요구에 대한 의견 회신이란 공문을 통해 전주시와 기부 대 양여사업으로 협의하고 있는 35사단 전주대대 이전사업에 대하여 전주시-완주군간 이전동의를 전제로 추진할 계획이다고 회신했다는 것.국방부의 이같은 입장 표명은 완주군 동의 없이는 전주대대 이전을 추진하지 않겠다는 뜻으로 완주군이 전주대대의 완주지역 이전을 강력 반대함에 따라 전주대대 이전은 사실상 백지화된 것으로 풀이된다.이에 앞서 전주시는 지난 7월 6일 완주군으로 보낸 공문을 통해 완주군의 동의 없는 전주대대 이전을 추진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전달했다.전주대대 이전반대 범 완주군공동대책위원회는 국방부의 입장 표명에 대해 완주군 동의 없이는 전주대대 이전을 추진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혀 온 것은 매우 고무적이라며 이는 완주군민 모두가 하나로 똘똘 뭉쳐서 단합된 힘을 보여준 결과라고 밝혔다.범 완주군공대위는 이어 국방부가 전주대대 이전을 공식적으로 완전 백지화하지 않은 만큼 앞으로 추이를 지켜보며 대처방안을 강구해 나가겠다고 전했다.박성일 완주군수는 그동안 전주대대 이전의 백지화를 위해 중지를 모아준 공대위를 비롯 모든 군민들에게 감사드린다며 앞으로 전주대대 이전사업이 완전히 백지화될 수 있도록 행정력을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앞서 범 완주군 공대위는 지난 7월 11일 출범식을 갖고 전주대대 완주군내 이전사업 백지화를 요구하는 한편 지난달 20일 국방부를 방문해 완주군민 6만591명의 전주대대 이전반대 뜻을 모은 서명부를 전달했었다.

  • 완주
  • 권순택
  • 2016.08.16 23:02

전국 첫 '江 가치 프로젝트' 만경강서 찾는다

전국 최초로 완주군이 강(江)의 가치 발견 프로젝트를 시작했다.완주군은 11일 삼례예술촌 세미나실에서 전국의 생태활동가와 전국 NGO 대표 지역주민 관련 공무원 등 150명이 참석한 가운데 완주군 생태정책 선언 및 제1회 만경강 생태포럼을 개최했다.한국강의 날 전북완주대회와 연계해서 진행한 이번 생태포럼은 만경강의 생태와 역사 문화 마을과 삶을 주제로 만경강의 재발견과 가치의 중요성을 찾아가는 자리로 마련했다.이날 행사는 안도현 시인의 만경강을 주제로 한 시낭송에 이어 완주군 생태정책 선언문 낭독, 만경강 생태포럼 활성화 방안, 그리고 2018년까지 지속적인 생태포럼 개최 방안 등을 토론했다.첫 발제자로 나선 김진태 전북보건환경연구원장은 만경강의 자원 이해를 주제로 만경강의 생물 다양성을 소개하고 만경강에 서식하는 곤충 동물 수생식물 조류 등 생태자원의 보전 필요성을 제안했다.이어 발제에 나선 이정현 전북환경연합 사무처장은 만경강 생태포럼 활성화 방안 제안을 통해 만경강의 자연환경 특징과 생태적 조명, 농업과 연계된 만경강 스토리텔링 개발, 만경강의 역사문화 자원과 마을 재생, 민간 거버넌스 구축을 통한 생태보존 등을 포럼의 활동방향으로 제시했다. 그는 이어 만경강 생태포럼 협의체를 구축하고 자연생태분과를 비롯 역사문화분과, 마을재생분과, 교육홍보분과 등 4개 분과를 구성해 만경강 포럼에서 제안된 사업들을 추진해 나가는 협력네트워크 구축을 주문했다.토론에 나선 김용찬 완주군의원은 만경강 생태보전 및 육성조례 제정을 제안했고 황태규 우석대 교수는 만경강 100리길 생태관광 활성화 필요성을, 김상식 이학박사는 민간중심의 강 보전 거버넌스 구축을 통해 지속가능한 생태보전 사업을 주장했다.박성일 완주군수는 그동안 재해를 줄이기 위해 강을 다스리는 치수(治水)에 힘써왔지만 이제는 만경강의 가치를 발견하고 이를 사업으로 연계한 만경강 생태포럼을 민선6기 후반기 생태정책으로 이끌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 완주
  • 권순택
  • 2016.08.12 23:02

제424주기 웅치전투 추모식 완주 소양면서 열려

임진왜란 당시 웅치재에서 왜군에 맞서 장렬하게 산화한 3000여 순국선열을 기리는 제424주기 웅치전투 추모식이 10일 소양면 신촌리 월상마을 웅치전적비 광장에서 거행됐다. 이날 추모식에는 박성일 완주군수와 정성모 군의회 의장을 비롯 지역기관 단체장 등 1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분향과 헌화 추모사 낭독 추모 헌무·헌가 순으로 엄수됐다.강시복 웅치전투기념사업추진위원장은 “오랜 세월 잊혀져가던 웅치전투가 완주군과 지역민의 관심 속에 역사적 가치를 바로 세워가고 있음을 자랑스럽게 생각한다”고 들고 “전주성을 수호하기 위해 장렬하게 순국한 선열들의 나라사랑 정신을 우리의 자랑으로 삼고 자긍심을 가지고 애향 애국을 실천해 나가자”고 역설했다.전주성을 방어한 웅치전투는 1592년 금산을 점거한 왜군이 웅치재를 넘어 전주방면으로 진격해 오자 나주판관 이복남 의병장 황박 김제군수 정담 남해현감 변응정 등이 7월 8일(음력) 관군과 의병의 세력을 규합해서 왜구의 침입을 저지했다. 이 전투 과정에서 장군 4명을 포함 3000여명이 결사항전을 펼쳐 전주를 지키는데 공을 세웠다.웅치전투기념사업추진위원회는 3000여 순국선열의 숭고한 희생정신을 기려 매년 음력 7월 8일 웅치전투 추모식을 거행해오고 있다.

  • 완주
  • 권순택
  • 2016.08.11 23:02
지역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