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창군, 민선7기 발전 전략 정책 포럼
고창군이 민선 7기 출범 100일에 즈음하여 농생문화 살려 다시 치솟는 한반도 첫 수도 고창의 비전 달성을 위해 농업, 관광, 환경분야에 대한 포럼을 개최했다. 지난 18일 동리국악당에서 열린 포럼은 전문가를 초청하여 군민, 사회단체, 공무원 등이 참석한 가운에 이양재 원광대학교 명예교수의 진행으로 열렸다. 이날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활용방안에 대해 김창환 교수는 고창군 생물다양성 보전 및 관리전략, 향상전략, 고창군 생태계서비스 활용전략, 파트너쉽 구축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전략 등에 대한 주제발표를 했다. 특히, 자연이 인간에게 되돌려주는 혜택에 대한 생태계서비스에 대하여 심도있는 분석결과를 발표해 주목을 받았다. 전주대학교 최영기 교수는 고창군의 관광전략 수립에 있어서 문재인 정부의 관광정책에 발맞추어 중산층 관광객 유치 정책, 4차산업 혁명 시대에 부응하는 융합형 관광산업, 생애주기별 맞춤형 여행 지원 등을 위한 기반 정비와 지역주민과 참여하는 관광서비스 고도화 전략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제안했다. 농업분야에서 전북대학교 신동화 명예교수와 송춘호 교수는 식품산업의 발전방향과 고창군 농업현실의 진단 및 마케팅 추진 전략에 대하여 발표했다. 특히 신동화 교수는 고창의 주요 수산물인 바지락과, 청보리밭으로 대표되는 보리를 활용한 식품사업의 발전 가능성이 충분한 만큼 바지락을 이용한 소스개발, 안주, 스넥제품, 식자재 상품으로 이용계획과 보리 면류, 빵, 주류 상품과 보리 잎, 보릿대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으로 개발가능성이 충분하고 국내외 시장선점에 고창군이 큰장점이 있다고 제언했다. 송춘호 교수는 고창군의 농업발전을 위해서는 반드시 농민이 주도하는 조직화규모화, 마케팅, 경영능력 향상 인적자원 관리가 반드시 필요하고, 농업인 소득증대를 위해서는 친환경농업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패널로 참석한 전북대학교 김영수 교수는 최근 보리를 구매한 1000명을 조사한결과 대부분의 사람들이 구매이유를 성인병 예방을 위해 섭취 한다는 의견이 많았던 만큼, 보리를 활용한 기능성 식품으로 발전가능성이 크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호원대 장벽원 교수는 생물권 보전지역, 문화관광, 식품분야을 한데 데 묶어 관광과 연계융합해서 통합적으로 접근해 고창이 획일적인 전북도내의 일원으로 묶여있기 보다는 고창만의 색을 찾아야 한다고 제언했다. 전북대학교 김중기 교수는 농식품 브랜드를 활용하여 주민이 아니라 외부의 사람들이 고창을 찾게 해서 고창의 농산물을 브랜드화 할 수 있는 체계를 통합적인 견지에서 되짚어보고 그것을 풀어나갈 수 있는 틀을 만들어가야 하며, 행정에서 그것을 지원 할 수 있어야 하고 해소 할 수 있어야 한다고 발표했다. 유기상 군수는 민선 7기는 군민이 주인인 시대이며, 군민과 함께 힘을 모으면 무엇이든 할 수 있고, 이번 포럼은 함께 만드는 자랑스러운 고창시대를 위한 의지를 다지는 시간이라며 모든 군민이 참여하여 고창군이 농생명산업의 수도, 역사문화의 수도, 생태관광의 수도로 힘차게 나아갈 수 있도록 적극 참여해달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