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문학관 지상강좌 - 한국문학의 메카, 전북] (24) 한국 비평문학의 효시 눌인 김환태
눌인 김환태 여(余)는 예술지상주의자
남도 그렇게 부르고 나도 자처(自處)한다
오월의 아카시아 향기에 묻혀있는 김환태의 묘지석에는 예술의 대상은 영원히 인간이다 생명이다. 예술비평의 대상은 사회도 정치도 사상도 아니요 문학이다. 문학이란 자유의 정신의 표현이다. 구(究)의 정신의 소산이다.라고 새겨져 있다. 그리고 예술은 예술가의 감정을 여과하여 온 외계의 표현입니다. 그리하여 그는 언제나 감정에 호소합니다. 그곳에는 이론도 정치적실용적 관심도 있을 수 없습니다. 예술의 세계는 관조의 세계요, 창조의 세계입니다.(「문예비평가의 태도에 대하여」)라고 했던 김환태는 순수 비평의 씨앗을 튀운 한국비평문학의 효시라 불린다.
눌인 김환태(訥人 金煥泰, 1909~1944)는 무주군 무주면사무소 직원이었던 김종원과 부인 고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전주고보에 입학한 그해(1922) 어머니가 돌아가셨다. 1924년 일본인 교사를 쫓아내려는 항일운동에 연루되어 무기정학 처분을 받았고, 해제조치에서 제외되면서 자퇴하였다.(1926) 그해 보성고등보통학교로 전학하여 신소설 『능라도』를 읽고 문학에 입지하게 되었다.
김환태는 서울 보성고등보통학교로 편입하였다(1926). 당시 보성고보에는 상급반에는 이상(李箱)이 있었고, 김상용(金尙容)이 교사로 재직 중이었다. 그는 이들과의 문학적 교류를 통해 자신의 문학적 소양을 키워 나갔다. 1927년에는 고향을 멀리 떠나 서울에서 생활을 하면서도 무주청년회가 주최한 강연회에 강연자로 참석하여 고향 무주에 대한 애정을 드러내기도 했다.
김환태는 1928년 일본 도시샤대학(同支社大學)에서 유학하였다. 재학 시절 신입생 환영회에서 시인 정지용(鄭芝溶)을 만나 문학적 친교를 맺게 된다. 도시샤대학을 수료한 후 후쿠오카의 규슈제국대학(九州大學)) 법문학부 영문과에 입학하여 영문학을 전공했다. 그는 영국의 비평가 매슈아널드와 월터페이터에 대하여 연구하면서 작품 자체의 미적 구조를 존중하는 순수 문학을 옹호하는 비평가로 기틀을 잡는다. 그의 졸업 논문 『문예비평가로서의 매슈아널드와 월터페이터』를 써 졸업하였다.
고국으로 돌아온 김환태는 본격적인 문학활동을 이어간다. 조선일보에 실린 외국문학작품을 번역하며 각종 신문과 학예지에 평론을 게재했다. 『조선문단』, 『조광』, 『문장』 등에 평론과 수필과 번안소설 등을 발표하였다. 1935년부터는 집필에만 열중하다가 여의전 강사로 활동하며 이헌구 등과 친근하게 지내게 된다. 1936년 구인회에 가입하여, 박팔양, 김상용, 정지용, 이태준 등과 활동했다. 그리고 구인회 회원이었던 박용철과의 교류는 그의 문학적 성향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받았다. 그해 박용철 누이동생 박봉자와 결혼했다. 김환태는 일본 유학 시절 안창호와 교류를 하던 중 동대문경찰서에 1개월 동안 수감되는 등 그의 항일 의지는 확고했다. 이어 일본은 전쟁을 위해 학병 및 징병제도를 실시하였는데, 문학가들과 교사들을 앞세웠다. 일부 문학가들은 변절하여 친일문학을 썼으며, 일부 교사들은 학생들을 전장으로 내몰았다. 일제의 국어말살정책과 친일문학이 확산되자, 김환태는 1940년 절필을 선언한다. 1943년 폐병을 얻어 무학여고 교사직을 사임하고 귀향한다. 1944년 영면에 들었다.
1986년에 문학사상사의 주관으로 김동리, 박두진, 최승범, 이어령 등 52명의 문인들이 뜻을 모아 덕유산 국립공원에 「김환태문학비」를 건립했다. 1988년에 문학사상사는 김환태평론문학상을 제정하였다. 이후 2009년 눌인 탄생 100주년을 기념한 문학제를 개최하고 『김환태 전집』을 발행하였다. 전 전북문인협회 서재균 회장과 무주군수 김세웅 등이 눌인문학관을 건립하였다. 무주군 주최와 김환태문학기념사업회 주관으로 매년 기념행사를 개최하고, 눌인평론문학상금을 주며, 『눌인문학지』를 발행해 그의 공적을 기리고 있다.
나는 상징의 화원에 노는 한 마리 나비이고자 한다. 아폴로의 아이들이 가까스로 가꾸어 형형색색으로 곱게 피워놓은 꽃송이를 찾아 그 미에 흠뻑 취하면 족하다. 그러나 그때의 꿈이 한껏 아름다웠을 때는 쉬운 그 꿈을 말의 실마리로 얽어놓으려는 안타까운 욕망을 가진다. 그리하여 이 욕망을 채우기 위하여 쓰여진 것이 소위 나의 비평이다.(「김환태 문학비평의 길」, 김환태문학비에 새긴 글)
김환태는 문예비평가의 태도에 대하여 문예비평이란 문예작품의 예술적 의의와 심미적 효과를 획득하기 위하여 대상을 실제로 있는 그대로 보려는 인간정신의 노력입니다. 따라서 문예비평가는 작품의 예술적 의의와 딴 성질과의 혼동에서 기인하는 모든 편견을 버리고, 순수히 작품 그것에서 얻은 인상과 감동을 충실히 표출해야 합니다. 라고 언급했다.
또한 「나의 비평의 태도」에 따르면 비평은 작품에 의하여 부여된 정서와 인상을 암시된 방향에 따라 가장 유효하게 통일하고 종합하는 재구성적 체험이요, 따라서 비평가는 그가 비평하는 작품에서 얻은 효과, 즉 지적정적 전 인상을 표현하고 전달하기 위하여 어느 정도까지 창조적 예술가가 되지 않으면 안 된다고 믿어 움직이지 않는 자이다.라는 견해를 밝혔다.
김환태는 상허는 그의 높고 맑은 상만이 아니라 이를 표현하는 놀라운 기교를 갖추고 있다. 진정한 예술에서일수록 우리는 내용 즉 형식 즉 내용이라는 느낌을 가진다.는 평을 했다. 시인 정지용은 느끼고 감각한 것을 조화하고 통일하는 지성을 고도로 갖추고 있는 시인이다. 그리하여 그는 결코 감정을 그대로 토로하는 일이 없어, 그것이 질서와 조화를 얻을 때까지 억제하고 기다린다. 고 하였다. 시인 김상용론(金尙鎔論) 그는 생에 대하여 가장 진실하게 느끼는 시인요, 생에 대한 그 진실한 느껴움을 읊은 것이 곧 그의 시다. 라고 발표를 했다. 무릇 김환태의 문예비평에 대한 주장은 그 작품에 나타난 사상과 현실이 얼마만한 정도에 있어서 작가의 상상력과 감정 속에 융해되었으며, 그것을 어떤 방향으로 지도하려던 그 작가의 의도가 얼마만한 정도에 있어서 실현되었는가, 그리고 그 결과 그 작품이 얼마만한 정도로 우리를 감동시키고 기쁘게 하였는가를 말하지 않으면 안 된다.며 문예비평이 정치비평이나 사회비평과 다른 점을 부각시키고 있다.
김환태의 일부 수필에서 가을이 되자 나는 머슴을 따라다니며 겨울 먹일 소풀을 뜯어 말렸다. 겨울에는 여물을 썰고 소죽을 쑤었다. 그랬더니 이듬해 첫봄에 소가 새끼를 낳았다. 나는 동생을 보던 날처럼 기뻐 밤새도록 자지 못했다. 이 시절이 나의 가장 행복하던 시절, 내 마음의 고향이다. 돌아가신 어머님 생각이 날 때면 그 시절을 생각한다. 그리고 소를 생각한다. 고향이 그리울 때면 그 시절이 그립다. 그리고 소가 그립다.며 어머니와 고향에 대한 서정적 향수가 형상화되고 있다.(「내 소년시절과 소」)
김환태는 일본대학 재학 중 정문의 위협적인 표정과 정문 수위의 냉담함과 오만함을 묘사하고 있다. 그러나 그가 수험결과에 자신을 얻은 다음 활개를 펴고 오만한 교문을 마음대로 들어 다닐 수가 있었다. 오늘부터 나의 기쁨은 오직 읽고, 생각하고, 스스로 매질하는 데만 있을 것입니다.라고 맹세를 하였다.(「九大 法文學部 正門의 표정」)와 「교토3년」에는 그가 일본 유학시잘 식민지 청년으로서 겪어야 했던 쓸쓸함과 굳은 의지가 잘 표현되었다.
김환태를 추모하는 이어령은 우리 곁에서 영원히 살아 숨 쉬는 그의 문학정신을 많은 비평가들이 얻는 것은 이데올로기요, 잃은 것은 예술이었다고 탄식했다. 이헌구는 지극히 낮고도 부드러운 음성과 웃을 때마다 유난히 하얗게 빛나는 고르고 고운 이빨, 크게 웃지도 않고 조용히 소리없이 포개지는 작약처럼 수줍게 미소짓던 그 모습을 떠올렸다.
지금까지 범박하게 살펴본 김환태는 한국문학사에 한 획을 남겼다. 일제 암흑기에 순수문학의 이론 체계를 정립하고 1930-1940년대에 활약한 비평가이다. 식민지 시대 지식인으로서 애국적 삶과 그의 문학론은 오늘날 많은 후배 평론가들의 귀감이 되고 있다. 그는 이데올로기 문학의 카프와는 달리 문학을 순수한 미적 대상으로 보았던 순수문학의 주창자였다. 그리고 문학에서 받는 인상과 감각을 중시하였고, 예술을 독자적 미를 가진 심미적 존재로 보았다. 김환태는 치열한 문학정신으로 근대 한국 문학의 발전에 공헌한 평론가이다. /김명자 전라북도문학관 학예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