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이 뉴스가 될까- 뉴스의 가치
△ 주제 다가서기
세상에서 일어나는 새로운 정보들 (NEW+S)이라 해서 모든 게 뉴스가 될까?
뉴스(NEWS)는 14세기 중세 영어에서 시작되었고. New의 복수형태로부터 비롯되었다. 동서남북 사방 (North(북), East(동), West(서), South(남))의 첫 글자를 따서 만들어졌다는 어원은 잘못된 것이라고 한다.
뉴스는 뉴스 가치(news values)에 의해 선택된 사실이다. 즉, 우리 주변에서 일어나는 사실이나 사건을 보도의 틀에 맞도록 재구성한 이야기로 정의할 수 있다. (출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미디어 환경이 급변하고 있다. 전문적으로 훈련을 받은 기자들이 아닌 일반인들도 뉴스를 만들고 뉴스를 나르는 플랫폼도 많아졌다. 그러다보니 뉴스는 넘쳐나고, 검증되지 않은 가짜뉴스가 판치고, 선정과 폭력의 수위가 높은 자극적인 뉴스가 많이 만들어지고 있다. 뉴스 이용자들이 똑똑해지지 않으면 안 되는 세상에서 살아가고 있다.
오늘은 뉴스를 만드는 데 가장 중요한 무엇이 뉴스가 되는지 이해하고 최근 뉴스를 읽으며 뉴스 가치를 판단해보자.
△ 신문 읽기 (자료 기사)
<읽기 자료 1> < 출처: 전북일보 2019.05.02.>
<읽기 자료 2> < 출처: 동아일보 2019.05.01.>
<읽기 자료 3> < 출처: 매일경제 2019.04.17 >
<읽기 자료 4> <출처: 강원일보 2019.05.01 >
<읽기 자료 5> < 출처: 한겨레 2019.05.02 >
<읽기 자료 6>
우리의 일부가 불탔다 노트르담 대성당대형화재, 프랑스충격
프랑스 파리의 명소 중 한 곳인 노트르담 대성당에서15일 오후(현지시간) 대형화재가 발생했다.이날 오후 6시50분 쯤 노트르담 성당의 꼭대기 부분에서 검은 연기와 함께 불길이 치솟았다. 불이 나자 파리소방당국과 치안당국이 곧바로 출동해 시민과 관광객들의 접근을 차단하고, 화재 진압 작업에 나섰다. 화재로 인해 노트르담 성당의 첨탑은 붕괴됐고, 성당 지붕도 전소됐다. 사상자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고, 화재 원인도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다. 프랑스경찰은 방화가 아닌 사고로 불이 났을 것으로 보고 조사하고 있다. 건립된 지 850년이 넘은 노트르담 성당은 보수 중이었고 ,첨탑 보수를 위해 세워진 비계 부분에서 불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트위터를 통해 매우 슬프다. 우리의 일부가 불탔다고 안타까워했다.
< 출처: 국민일보 2019-04-16 >
△ 생각 열기
▶ 일주일 동안 내 주변 (가정, 학급, 학교, 사회 등)에서 일어난 일을 생각해 보고 뉴스가 될 만한 일을 생각해 봅시다.
(예: 체육시간 도난 사건, 급식비 인상, 우리 집 강아지 세 마리 탄생, 동방신기 전 멤버 마약 혐의로 입건, 학교 정문 앞 자전거 사고, 중간고사 등)
▶ 내 주변에서 일어난 일들이 모두 뉴스가 될 수 있을까요?
뉴스가 될 수 있는 것과 뉴스가 될 수 없는 것을 나눠볼까요?
가정뉴스와 학급뉴스, 학교뉴스, 그리고 모두가 공유할 수 있는 뉴스를 골라봅시다.
(예: (학교뉴스) 급식비 인상, 학교 정문 앞 올해만 다섯 번 째 자전거 사고, 중간고사 등)
▶ 모둠 활동 1: 뉴스가 되기 위해서는 어떤 가치 기준이 있어야 할지 모둠별로 의견을 나눠봅시다.
(예: 최근에 일어난 일이어야 해요.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질 수 있는 일이어야 해요. 등)
▶ 모둠 별로 공유한 뉴스 가치 기준을 발표하고 모둠 간 공유된 가치를 정리해봅시다.
(예: 최근에 발생한 사건일수록- 시의성/ 해당 사건이나 이슈에 의해 영향을 받는 사람들이 많거나 영향력(긍정, 부정 모두 포함)이 클수록- 영향성/ 보도 대상이 되는 당사자(사람, 기관, 보고서, 물건, 장소 등 )가 유명할수록- 저명성/ 대립과 갈등의 요소가 많을수록- 갈등성/ 지리적( 심리적, 정치적, 문화적으로)으로 가까운 곳에서 발생할수록- 근접성/ 평범하지 않은 특이한 사건일수록- 신기성 등)
▶ 모둠별로 공유된 6가지 뉴스 가치 (미주리 그룹, 2005)를 정리해봅시다.
<뉴스 가치>
시의성 :
영향성 :
저명성 :
갈등성 :
근접성 :
신기성 :
▶ < 읽기 자료 1,2,3,4,5,6 >를 읽고 육하원칙에 맞게 내용을 정리해 봅시다.
누가(who)
언제(when)
어디서(where)
무엇을(what)
어떻게(how)
왜(why)
△ 생각 키우기
▶ 모둠활동 2: 모둠 별로 < 읽기 자료 1,2,3,4,5,6 > 중 하나의 기사를 골라 활동지 뉴스 가치 그래프에 수식화 (10점 만점)로 표현하고 그 이유도 써 봅시다. ( 각 모둠은 역할 (고르미, 이끄미, 깔끄미, 발표미) 분담에 충실하고 가치 수식화는 모둠원들의 토의에 의하여 민주적으로 합의하여 판단함. ) (예: < 읽기 자료 2>의 경우: 시의성(10), 영향성(10점), 저명성(10점), 갈등성(30점: 일본의 천황이 꼭 존재해야 하나?), 근접성(10점), 신기성(100점:천황 제도도 흔치 않고 생전 퇴위는 202년 만이라니까 신기해서)
▶ 모둠활동 3: 뉴스의 가치 그래프를 완성했다면 그 뉴스에 대한 댓글을 모둠원끼리 돌아가면서 씁니다. 그리고 각 모둠의 발표미는 발표합니다. △ 참고자료
- 뉴스가치 (News value)
뉴스가치를 판단할 떼 활용되는 속성은 매우 다양한 것으로 알려졌다.
뉴스 가치 연구의 출발점으로 알려진 갈퉁과 루지(Galtung & Ruge, 1965)의 논문은 시의성, 영향성, 명확성, 근접성, 일치성, 신기성, 연속성, 균형성, 선진국 관련성, 엘리트 관련성, 개인성, 부정성 등 12개의 항목을 뉴스 가치의 속성으로 제시하였다.
이후 하컵과 오닐(Harcup & Oneill, 2001)이 이를 수정해 권력자, 유명인, 연예, 놀라움, 나쁜 소식, 좋은 소식, 강도, 관련성, 후속기사, 미디어 의제 등 10개 항목으로 정리하였다. (이종혁˙길우영강성민최윤정, 2013 재인용). 반면에 실무적으로 좀 더 보편적으로 인정되는 기준으로는 미주리그룹(The Missouri Group, 2005)이 제시한 여섯 가지(시의성, 영향성, 저명성, 갈등성, 근접성, 신기성) 정도가 손꼽힌다.
< 출처: 스마트 미디어 시대의 뉴스분석법 36p, 한국언론진흥재단 >
/제작 = 한국언론진흥재단 장연주 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