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춘예찬] 그땐 그게 전부였다 – 정신건강편
한 가지 일에 집중이 안 된다, 집중이 흐트러져 실수가 잦다, 사소한 자극에도 쉽게 산만해진다, 중요한 일정이나 약속을 자주 잊는다. 이 중 3개 이상 공감된다면 당신은 성인 ADHD일 수 있다. 성인 ADHD는 주의력 부족과 충동 조절 어려움이 성인기까지 지속되는 정신장애다. 하지만 생각보다 많은 20대가 자신의 상태를 병으로 여기지 못한 채, 그저 “내가 게으른가 보다”라고 자책하며 넘기고 만다. 서늘한 가을바람이 불고 어김없이 시험 기간이 다가왔다. 신입생 때부터 열심히 공부하다 보니 과에서 1등까지 한 적이 있을 정도로 학점을 잘 받았다. 처음 받아본 ‘1등’은 성취였고, 동시에 앞으로도 해야 하는 기준선이 돼버렸다. 성적에 대한 욕심이 커지자, 시험은 부담으로 다가왔다. 누구도 강요하지 않았지만, 시험 기간에 스터디 카페 100시간을 끊으면 본격적으로 공부를 시작했다. 수업 끝나면 바로 공부하러 가서 오후 11시 40분이 지나야만 집으로 돌아갔다. 어느새 공부는 지식을 늘리기 위하기보다 나의 노력을 증명하는 일이 돼 있었다. 헬스, 러닝 같은 운동은 시험 기간 때 사치였다. 한 번 가서 운동하고 씻으면 기본 2시간이나 뺏긴다는 생각에 ‘아 시험 끝나고 가면 돼’라며 미루게 됐다. 수업, 스터디 카페를 반복해서 다니다 보니 몸과 마음의 피로는 더욱 쌓였다. 스트레스로 사소한 것에도 예민해졌지만, 그것을 풀어내야 한다는 생각은 하지 못했다. 그렇게 한동안 부담감을 안고 공부했다. 시험을 준비하던 중 ‘정신장애’를 공부하게 됐다. 정신장애는 생각, 감정, 인지, 행동 등에 어려움을 겪어 일상생활에 현저한 제약이 생기는 상태를 말한다. 대표적인 예로는 불안장애, 기분장애, 충동조절장애, 물질남용장애가 있다. 주로 청소년기나 성인 초기 발병된다. 실제로 지난해 보건복지부 조사를 따르면 ‘성인 정신질환 발병의 50% 이상이 14~24세에 시작됐다’라고 밝혔다. 그중 ‘불안장애는 정신장애의 일환으로 명백하지 않은 위험이 존재할 때 공포, 위협 그리고 두려움을 느끼는 것’임을 알게 됐다. 많은 양의 시험 범위를 다 외울 수 있을지에 대한 불안함과 싸우다, 뒤통수를 한 대 맞은 기분이 들었다. 뻐근한 어깨를 펴고 스터디 카페를 나와 달리기 시작했다. 멈추지 않고 3km를 뛰었다. 숨이 차고 땀이 났지만, 머리는 개운해졌다. 학창 시절부터 ‘힘들어도 묵묵하게 버티는 것’이 성실하고 책임감 있게 사는 것이라고 배웠다. 고등학교 때에도 “참고 공부하면, 대학 가서 원하는 것을 다 하면서 살 수 있어”라는 말을 자주 들었다. 정신장애는 누구나 언제든 걸릴 수 있다. 발병 원인은 다양하겠지만 불안정한 미래, 관계의 변화, 경쟁이 만연한 사회에서 쉬지 않고 버티면 생길 수 있다. 어쩌면 버티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자신만의 회복 루틴을 찾는 것일지 모른다. 20대 초반은 가장 불안정하고, 미래가 확실하지 않은 시기이다. 어떤 일이든 미래를 위해 좋은 성과를 내고자 했다. 이번 시험 기간을 지나며 버티기만 하는 삶이 꼭 답은 아니라는 것을 깨달았다. 학점을 잘 받고 싶다는 욕심에 지쳤던 나에게 러닝이라는 작고 소박한 회복 루틴이 생겼다. 앞으로는 ‘잘 버티는 청춘’이 아닌 ‘잘 회복하는 청춘’이 되고 싶다. 송주현 전북대신문 문화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