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11-08 19:32 (Sat)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사회 chevron_right 환경

전국에 내린 비에서 방사성 요오드 검출

7일 전국에 내린 비에서 일본 후쿠시마 원전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되는 방사성 요오드(I-131)가 나왔다. 일부 지역에서는 세슘(Cs-137, Cs-134)도 함께 검출됐다. 공기 중에서도 이틀째 전국 모든 측정소에서 요오드와 세슘이 확인됐다.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은 8일 전국 12개 지방측정소에서 공기 중 방사성물질을 검사한 결과, 모든 지역에서 방사성 요오드(I-131)가 검출됐다고 밝혔다. 요오드의 방사선량은 0.580~1.45m㏃/㎥로 인체에 거의 영향이 없는 수준이다. 최고 농도(수원)를 연간 피폭 방사선량으로 환산하면 0.000140mSv로 일반인의 연간 방사선량 한도(1mSv)의 7천100분의 1 정도다. 방사성 세슘(Cs-137, Cs-134)도 12개 측정소에서 모두 발견됐다. 세슘-137과 세슘-134의 최고 농도는 각각 1.25, 1.19m㏃/㎥로 피폭 방사선량 환산값은 각각 0.0000646, 0.000313mSv다. 이는 연간 방사선량 한도의 1천600분의 1, 3천200분의 1에 불과하다. 강원도의 공기 중 방사성 제논(Xe-133) 농도는 0.532㏃/㎥로, 전날(0.596Bq/㎥)보다 다소 낮아졌다. 이날 발표된 대기 방사선 측정값은 지난 6일 오전 10시부터 7일 오전 10시까지채집된 대기성분 분석 결과다. 강릉을 제외한 11개 측정소에서 지난 7일 오전 10시에 모은 빗물에서도 방사성요오드(I-131)가 예외없이 발견됐다. 농도는 0.763~2.81Bq/ℓ 범위였다. 제주·부산·광주·군산·대전 등 5곳에서는 0.254~0.978Bq/ℓ의 세슘도 나왔다.그러나 최고 농도의 요오드와 세슘이 각각 들어있는 빗물을 하루에 2ℓ씩 1년동안 마시더라도 예상되는 방사선 최대 피폭량은 각각 0.0451mSv, 0.0129mSv에 불과하다. 이는 일반인 방사선량 한도(1mSv)의 20분의 1을 넘지 않는 수준이다. KINS는 이 같은 대기 및 빗물 방사성 물질 농도와 관련, "방사성 요오드는 전날보다 감소했으나, 방사성 세슘은 다소 증가했다"며 "전 지구적으로 방사성 물질이확산된 상태라 단정적 해석이 어렵고, 기상 상황과 지형 조건에 따라 극미량 수준에서 당분간 농도가 오르내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전국 12개 측정소 공기 중 요오드 검사 결과>(단위 : m㏃/㎥)┌──────┬─────┬─────┬─────┬──────┬─────┐│ 측 │ 채취일시 │ 채취일시 │ 채취일시 │ 채취일시 │ 채취일시 ││ 정 ├─────┼─────┼─────┼──────┼─────┤│ 소 │4.2, 10:00│4.3, 10:00│4.4, 10:00│ 4.5, 10:00 │4.6, 10:00││ │ ~4.3, │ ~4.4, │ ~4.5, │~4.6, 10:00 │ ~4.7,││ │ 10:00 │ 10:00 │ 10:00 │ │ 10:00 ││ ├─────┼─────┼─────┼──────┼─────┤│ │ 측정일시 │ 측정일시 │ 측정일시 │ 측정일시 │ 측정일시 ││ ├─────┼─────┼─────┼──────┼─────┤│ │4.3, 10:00│4.4, 10:00│4.5, 10:00│ 4.6, 10:00 │4.7, 10:00││ │ ~4.4, │ ~4.5, │ ~4.6, │~4.7, 10:00 │ ~4.8,││ │ 10:00 │ 10:00 │ 10:00 │ │ 10:00 │├──────┼─────┼─────┼─────┼──────┼─────┤│ 서울 │ 0.188 │ 0.498 │ 1.15 │ 1.29 │ 1.11 ││ │ │ │ │ │(0.000107)│├──────┼─────┼─────┼─────┼──────┼─────┤│ 춘천 │ 0.456 │ 0.758 │ 0.952 │ 2.16 │ 1.35││ │ │ │ │ │(0.000130)│├──────┼─────┼─────┼─────┼──────┼─────┤│ 대전 │ 0.442 │ 0.265 │ 1.39 │ 1.86 │ 0.762 ││ │ │ │ │ │(0.0000734││ │ │ │ │ │ ) │├──────┼─────┼─────┼─────┼──────┼─────┤│ 군산 │ 0.636 │ 0.500 │ 1.80 │ 3.12 │ 1.33 ││ │ │ │ │ │(0.000128)│├──────┼─────┼─────┼─────┼──────┼─────┤│ 광주 │ 0.156 │ 0.124 │ 0.636 │ 1.29 │ 0.620││ │ │ │ │ │(0.0000597││ │ │ │ │ │ )│├──────┼─────┼─────┼─────┼──────┼─────┤│ 대구 │ 0.332 │ 0.381 │ 1.12 │ 1.05 │ 0.568││ │ │ │ │ │(0.0000547││ │ │ │ │ │ )│├──────┼─────┼─────┼─────┼──────┼─────┤│ 부산 │ 0.442 │ 0.622 │ 1.08 │ 0.766 │ 1.32││ │ │ │ │ │(0.000127)│├──────┼─────┼─────┼─────┼──────┼─────┤│ 제주 │ 0.121 │ 0.321 │ 0.854 │ 0.887 │ 0.580 ││ │ │ │ │ │(0.0000559││ │ │ │ │ │ ) │├──────┼─────┼─────┼─────┼──────┼─────┤│ 강릉 │ 0.452 │ 0.641 │ 1.79 │ 2.37 │ 1.32 ││ │ │ │ │ │(0.000127)│├──────┼─────┼─────┼─────┼──────┼─────┤│ 안동 │ 0.151 │ 0.095 │ 0.689 │ 0.436 │ 0.619││ │ │ │ │ │(0.0000596││ │ │ │ │ │ )│├──────┼─────┼─────┼─────┼──────┼─────┤│ 수원 │ 0.302 │ 0.516 │ 0.971 │ 1.92 │ 1.45││ │ │ │ │ │(0.000140)│├──────┼─────┼─────┼─────┼──────┼─────┤│ 청주 │ 0.605 │ 0.360 │ 1.27 │ 1.74 │ 1.06 ││ │ │ │ │ │(0.000102)│└──────┴─────┴─────┴─────┴──────┴─────┘* ( )안은 연간피폭선량으로 환산한 값. 단위는 mSv.* 연간피폭선량 : 검출된 농도가 지속되는 대기 중에 1년 동안 노출될 경우의피폭선량<전국 12개 측정소 공기 중 세슘 검사 결과>(단위 : m㏃/㎥)┌─────┬─────┬─────┬─────┬─────┬───────┐│ 측 │ 채취일시 │ 채취일시 │ 채취일시 │ 채취일시 │ 채취일시││ 정 ├─────┼─────┼─────┼─────┼───────┤│ 소 │4.2, 10:00│4.3, 10:00│4.4, 10:00│4.5, 10:00│ 4.6, 10:00││ │ ~4.3, │ ~4.4, │ ~4.5, │ ~4.6, │ ~4.7, 10:00 ││ │ 10:00 │ 10:00 │ 10:00 │ 10:00 │││ ├─────┼─────┼─────┼─────┼───────┤│ │ 측정일시 │ 측정일시 │ 측정일시 │ 측정일시 │ 측정일시││ ├─────┼─────┼─────┼─────┼───────┤│ │4.3, 10:00│4.4, 10:00│4.5, 10:00│4.6, 10:00│ 4.7, 10:00││ │ ~4.4, │ ~4.5, │ ~4.6, │ ~4.7, │ ~4.8, 10:00 ││ │ 10:00 │ 10:00 │ 10:00 │ 10:00 ││├─────┼──┬──┼──┬──┼──┬──┼──┬──┼───┬───┤│ 구분 │137C│134C│137C│134C│137C│134C│137C│134C│137Cs │134Cs││ │ s │ s │ s │ s │ s │ s │ s │ s │ │ │├─────┼──┼──┼──┼──┼──┼──┼──┼──┼───┼───┤│ 서울 │불검│0.04│0.07│0.07│0.06│0.06│불검│0.07│0.171 │0.153 ││ │ 출 │ 9 │ 5 │ 9 │ 2 │ 7 │ 출 │ 6 │(0.000│(0.000││ │ │ │ │ │ │ │ │ │0884) │0402) │├─────┼──┼──┼──┼──┼──┼──┼──┼──┼───┼───┤│ 춘천 │불검│0.05│불검│불검│0.09│0.13│0.13│0.13│0.202 │0.162 ││ │ 출 │ 4 │ 출 │ 출 │ 6 │ 8 │ 0 │ 6 │(0.000│(0.000││ │ │ │ │ │ │ │ │ │ 104) │0426) │├─────┼──┼──┼──┼──┼──┼──┼──┼──┼───┼───┤│ 대전 │0.10│0.10│불검│불검│0.09│0.09│0.06│0.10│0.131 │0.139 ││ │ 4 │ 7 │ 출 │ 출 │ 2 │ 7 │ 9 │ 0 │(0.000│(0.000││ │ │ │ │ │ │ │ │ │0677) │0365) │├─────┼──┼──┼──┼──┼──┼──┼──┼──┼───┼───┤│ 군산 │0.07│0.09│불검│불검│0.14│0.17│0.11│0.35│0.298 │0.281 ││ │ 9 │ 8 │ 출 │ 출 │ 4 │ 6 │ 0 │ 8 │(0.000│(0.000││ │ │ │ │ │ │ │ │ │ 154) │0738) │├─────┼──┼──┼──┼──┼──┼──┼──┼──┼───┼───┤│ 광주 │불검│불검│불검│불검│0.07│0.08│불검│0.09│0.417 │0.411 ││ │ 출 │ 출 │ 출 │ 출 │ 2 │ 4 │ 출 │ 3 │(0.000│(0.000││ │ │ │ │ │ │ │ │ │ 216) │ 108) │├─────┼──┼──┼──┼──┼──┼──┼──┼──┼───┼───┤│ 대구 │불검│0.04│불검│불검│0.02│0.02│0.10│0.11│0.271 │0.247 ││ │ 출 │ 5 │ 출 │ 출 │ 4 │ 4 │ 2 │ 9 │(0.000│(0.000││ │ │ │ │ │ │ │ │ │ 140) │0649) │├─────┼──┼──┼──┼──┼──┼──┼──┼──┼───┼───┤│ 부산 │불검│불검│0.07│불검│0.06│0.07│0.15│0.16│ 1.25 │ 1.19 ││ │ 출 │ 출 │ 4 │ 출 │ 2 │ 7 │ 7 │ 3 │(0.000│(0.000││ │ │ │ │ │ │ │ │ │ 646) │ 313) │├─────┼──┼──┼──┼──┼──┼──┼──┼──┼───┼───┤│ 제주 │불검│불검│0.04│0.03│0.10│0.07│0.18│0.12│0.550 │0.515 ││ │ 출 │ 출 │ 3 │ 7 │ 8 │ 4 │ 2 │ 7 │(0.000│(0.000││ │ │ │ │ │ │ │ │ │ 284) │ 135) │├─────┼──┼──┼──┼──┼──┼──┼──┼──┼───┼───┤│ 강릉 │불검│불검│불검│불검│0.18│0.19│0.17│0.16│0.213 │0.194 ││ │ 출 │ 출 │ 출 │ 출 │ 5 │ 6 │ 1 │ 4 │(0.000│(0.000││ │ │ │ │ │ │ │ │ │ 110) │0510) │├─────┼──┼──┼──┼──┼──┼──┼──┼──┼───┼───┤│ 안동 │불검│불검│불검│불검│불검│불검│0.07│불검│0.154 │0.148 ││ │ 출 │ 출 │ 출 │ 출 │ 출 │ 출 │ 2 │ 출 │(0.000│(0.000││ │ │ │ │ │ │ │ │ │0796) │0389) │├─────┼──┼──┼──┼──┼──┼──┼──┼──┼───┼───┤│ 수원 │0.10│0.09│불검│0.08│0.07│0.07│0.18│0.17│0.216 │0.225 ││ │ 6 │ 4 │ 출 │ 3 │ 5 │ 0 │ 1 │ 3 │(0.000│(0.000││ │ │ │ │ │ │ │ │ │ 112) │0591) │├─────┼──┼──┼──┼──┼──┼──┼──┼──┼───┼───┤│ 청주 │0.07│0.08│불검│0.05│불검│0.06│0.19│0.22│0.113 │0.120 ││ │ 8 │ 0 │ 출 │ 1 │ 출 │ 4 │ 7 │ 8 │(0.000│(0.000││ │ │ │ │ │ │ │ │ │0584) │0315) │└─────┴──┴──┴──┴──┴──┴──┴──┴──┴───┴───┘<강원도 방사성 제논 측정 결과>┌──────┬───────┬─────────┬────────────┐│ 구분 │채취 종료일자 │ 측정 종료일자 │ 대기중 농도││ │(12시간 포집) │(11시간 10분 측정)│ (Bq/㎥) │├──────┼───────┼─────────┼────────────┤│ 1 │3.23(수) 오전 │ 3.24(목) 오전 │ 0.00159 │├──────┼───────┼─────────┼────────────┤│ 2 │3.23(수) 오후 │ 3.24(목) 오후 │ 0.0139 │├──────┼───────┼─────────┼────────────┤│ 3 │3.24(목) 오전 │ 3.25(금) 오전 │ 0.00085 │├──────┼───────┼─────────┼────────────┤│ 4 │3.24(목) 오후 │ 3.25(금) 오후 │ 0.00214 │├──────┼───────┼─────────┼────────────┤│ 5 │3.25(금) 오전 │ 3.26(토) 오전 │ 0.00173 │├──────┼───────┼─────────┼────────────┤│ 6 │3.25(금) 오후 │ 3.26(토) 오후 │ 0.0316 │├──────┼───────┼─────────┼────────────┤│ 7 │3.26(토) 오전 │ 3.27(일) 오전 │ 0.0611 │├──────┼───────┼─────────┼────────────┤│ 8 │3.26(토) 오후 │ 3.27(일) 오후 │ 0.878 │├──────┼───────┼─────────┼────────────┤│ 9 │3.27(일) 오전 │ 3.28(월) 오전 │ 0.464 │├──────┼───────┼─────────┼────────────┤│ 10 │3.27(일) 오후 │ 3.28(월) 오후 │ 0.395 │├──────┼───────┼─────────┼────────────┤│ 11 │3.28(월) 오전 │ 3.29(화) 오전 │ 0.589 │├──────┼───────┼─────────┼────────────┤│ 12 │3.28(월) 오후 │ 3.29(화) 오후 │ 0.674 │├──────┼───────┼─────────┼────────────┤│ 13 │3.29(화) 오전 │ 3.30(수) 오전 │ 0.464 │├──────┼───────┼─────────┼────────────┤│ 14 │3.29(화) 오후 │ 3.30(수) 오후 │ 0.180 │├──────┼───────┼─────────┼────────────┤│ 15 │3.30(수) 오전 │ 3.31(목) 오전 │ 0.130 │├──────┼───────┼─────────┼────────────┤│ 16 │3.30(수) 오후 │ 3.31(목) 오후 │ 0.714 │├──────┼───────┼─────────┼────────────┤│ 17 │3.31(목) 오전 │ 4.1(금) 오전 │ 0.504 │├──────┼───────┼─────────┼────────────┤│ 18 │3.31(목) 오후 │ 4.1(금) 오후 │ 0.436 │├──────┼───────┼─────────┼────────────┤│ 19 │ 4.1(금) 오전 │ 4.2(토) 오전 │ 0.147 │├──────┼───────┼─────────┼────────────┤│ 20 │ 4.1(금) 오후 │ 4.2(토) 오후 │ 0.080 │├──────┼───────┼─────────┼────────────┤│ 21 │ 4.2(토) 오전 │ 4.3(일) 오전 │ 0.644 │├──────┼───────┼─────────┼────────────┤│ 22 │ 4.2(토) 오후 │ 4.3(일) 오후 │ 0.477 │├──────┼───────┼─────────┼────────────┤│ 23 │ 4.3(일) 오전 │ 4.4(월) 오전 │ 0.454 │├──────┼───────┼─────────┼────────────┤│ 24 │ 4.3(일) 오후 │ 4.4(월) 오후 │ 0.457 │├──────┼───────┼─────────┼────────────┤│ 25 │ 4.4(월) 오전 │ 4.5(화) 오전 │ 0.413 │├──────┼───────┼─────────┼────────────┤│ 26 │ 4.4(월) 오후 │ 4.5(화) 오후 │ 0.631 │├──────┼───────┼─────────┼────────────┤│ 27 │ 4.5(화) 오전 │ 4.6(수) 오전 │ 0.928 │├──────┼───────┼─────────┼────────────┤│ 28 │ 4.5(화) 오후 │ 4.6(수) 오후 │ 0.878 │├──────┼───────┼─────────┼────────────┤│ 29 │ 4.6(수) 오전 │ 4.7(목) 오전 │ 0.811 │├──────┼───────┼─────────┼────────────┤│ 30 │ 4.6(수) 오후 │ 4.7(목) 오후 │ 0.596 (0.0000386) │├──────┼───────┼─────────┼────────────┤│ 31 │ 4.7(목) 오전 │ 4.8(금) 오전 │ 0.532 (0.0000345) │└──────┴───────┴─────────┴────────────┘<12개 지역 빗물 방사능 검사 결과>(단위 : Bq/ℓ)┌──────┬─────┬──────────┬─────┬───────┐│ 측정소 │ 채취일시 │ 측정일시 │ I-131 │ Cs-137/││ │ │ │ │ Cs-134 │├──────┼─────┼──────────┼─────┼───────┤│ 서울 │4.7, 10:00│ 4.7, 16:00∼4.8, │ 1.81 │ 불검출 ││ │ │ 10:00 │ (0.0291) ├───────┤│ │ │ │ │ 불검출 │├──────┼─────┼──────────┼─────┼───────┤│ 춘천 │4.7, 10:00│ 4.7, 16:00∼4.8, │ 0.763 │ 불검출 ││ │ │ 10:00 │ (0.0123) ├───────┤│ │ │ │ │ 불검출 │├──────┼─────┼──────────┼─────┼───────┤│ 대전 │4.7, 10:00│ 4.7, 13:00∼4.8, │ 1.40 │ 0.387 ││ │ │ 10:00 │ (0.0225) │ (0.0037)││ │ │ │ ├───────┤│ │ │ │ │ 0.334││ │ │ │ │ (0.0046) │├──────┼─────┼──────────┼─────┼───────┤│ 군산 │4.7, 10:00│ 4.7, 15:00∼4.8, │ 1.49 │ 불검출 ││ │ │ 10:00 │ (0.0239) ├───────┤│ │ │ │ │ 0.254 ││ │ │ │ │ (0.0035)│├──────┼─────┼──────────┼─────┼───────┤│ 광주 │4.7, 10:00│ 4.7, 16:00∼4.8, │ 2.69 │ 0.406││ │ │ 10:00 │ (0.0430) │ (0.0039) ││ │ │ │ ├───────┤│ │ │ │ │ 0.379 ││ │ │ │ │ (0.0035)│├──────┼─────┼──────────┼─────┼───────┤│ 대구 │4.7, 10:00│ 4.7, 11:00∼4.8, │ 0.910 │ 불검출││ │ │ 10:00 │ (0.0146) ├───────┤│ │ │ │ │ 불검출│├──────┼─────┼──────────┼─────┼───────┤│ 부산 │4.7, 10:00│ 4.7, 10:00∼4.8, │ 2.49 │ 0.299││ │ │ 10:00 │ (0.0400) │ (0.0028) ││ │ │ │ ├───────┤│ │ │ │ │ 0.273 ││ │ │ │ │ (0.0038)│├──────┼─────┼──────────┼─────┼───────┤│ 제주 │4.7, 10:00│ 4.7, 21:00∼4.8, │ 2.81 │ 0.978││ │ │ 10:00 │ (0.0451) │ (0.0093) ││ │ │ │ ├───────┤│ │ │ │ │ 0.928 ││ │ │ │ │ (0.0129)│├──────┼─────┴──────────┴─────┴───────┤│ 강릉 │ 강우 없음│├──────┼─────┬──────────┬─────┬───────┤│ 안동 │4.7, 10:00│ 4.7, 17:00∼4.8, │ 1.83 │ 불검출││ │ │ 10:00 │ (0.0294) ├───────┤│ │ │ │ │ 불검출│├──────┼─────┼──────────┼─────┼───────┤│ 수원 │4.7, 10:00│ 4.7, 18:00∼4.8, │ 0.944 │ 불검출││ │ │ 10:00 │ (0.0152) ├───────┤│ │ │ │ │ 불검출│├──────┼─────┼──────────┼─────┼───────┤│ 청주 │4.7, 10:00│ 4.7, 15:00∼4.8, │ 1.33 │ 불검출││ │ │ 10:00 │ (0.0214) ├───────┤│ │ │ │ │ 불검출│└──────┴─────┴──────────┴─────┴───────┘

  • 환경
  • 연합
  • 2011.04.08 23:02

'방사능 비' 수돗물ㆍ토양오염 점검도 비상

국내에 유입된 일본발(發) 방사성 물질이 공중에 떠 있다가 비에 섞여 내릴 가능성이 커지면서 수돗물과 토양 오염의 우려도 번지고 있다. 방사성 물질이 대기 중에서는 바람 따라 흩날려 검출됐다 사라지기도 하지만 물과 땅에는 모이거나 쌓이면서 치명적인 오염원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본에서 방사성 물질이 수돗물을 필두로 '먹거리 공포'를 키우기 시작한 지난달까지도 '남의 일'로만 여기던 환경당국도 급기야 대응에 나섰다. 환경부는 7일 전국적으로 내리는 비에 방사성 물질이 섞여 내릴 가능성에 대비해 전날 전국 시ㆍ도 등 지방자치단체와 수도사업자에게 노천 정수시설을 빗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덮개 등을 설치하라고 긴급 지시했다. 또 배수지를 최고 수위로 유지하고 병에 담는 수돗물 생산시설을 점검하는 등 '방사능 비'에 대비해 수도시설 관리를 빈틈없이 해줄 것을 주문했다. 환경부는 이에 앞서 지난 1일에도 방사성 요오드 검출 시 정수를 위한 분말 활성탄을 확보하고 필요하면 방사성 물질 분석을 전문기관에 의뢰하도록 당부한 것으로 확인됐다.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도 지난 4일 전국 12개 지방측정소에서 토양 시료를채취해 방사성 물질이 포함돼 있는지를 분석 중이다. 특히 방사능 오염대응이 '환경정책기본법'에서 제외돼 있고 '원자력 시설 등의방호ㆍ방사능 방재 대책법'에 따라 교육과학기술부 소관 업무라는 입장을 견지해 오던 환경부는 그야말로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아직 수돗물에서 방사성 물질이 나오진 않았지만 만일 검출되기 시작한다면 수질오염이나 토양오염 조사 항목에도 방사성 물질이 포함돼 있지 않아 측정 노하우는물론 장비나 전문인력도 없기 때문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방사능 문제가 교과부 소관이긴 하지만 환경업무 차원에서도접근해야 할 필요가 있다"면서도 "수십 년 만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라서 준비가 잘돼 있지는 않지만 기민하게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번 원전사태를 계기로 정수장 등의 방사능 오염에 대응할 수 있는 매뉴얼도 만들고 방사성 물질 포함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총알파, 총베타 등을 수질감시 항목으로 지정하는 문제도 단계적으로 검토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 환경
  • 연합
  • 2011.04.07 23:02

한국환경공단 전북지사 '환경사랑교실' 무료 운영

한국환경공단 전북지사는 미래 자원순환사회를 이끌어갈 어린이를 대상으로 환경사랑홍보관을 연중 무료 운영하고 있다.전북지사 환경사랑홍보관은 연령별 차별화된 환경교육을 비롯해 친환경제품 전시 및 녹색생활체험관 등 다양한 환경체험학습을 실시하고 있다.환경사랑홍보관은 단체관람객(30인 이상) 대상으로 버스(38인승)를 무료 제공하고 있으며, 폐휴대폰을 가져오는 방문객에게는 예쁜 기념품과 교환해주는 폐기물자원화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또한, 특별 프로그램으로 장애우 및 다문화가정, 저소득층가정을 대상으로 '사랑나눔♥환경교실'을 연중 운영하고 있다.'사랑나눔♥환경교실'에서는 재활용품 만들기 교실 및 환경퀴즈이벤트 등 환경교육을 비롯해 다채로운 체험을 통해 환경사랑을 함께 실천하는 시간도 가지게 된다.전북지사 조증곤 산업지원팀장은 "미래 자원순환사회를 이끌어갈 어린이와 생활폐기물 발생 중심에 있는 주부들에게 체험위주의 환경교육을 통해 자원의 소중함과 환경보전의 필요성을 깊이 알리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관람신청은 환경사랑홍보관 홈페이지 http://ecoplaza.keco.or.kr 로 인터넷 접수 가능하며, 자세한 사항은 전북지사 산업지원팀(김숙희 063-530-0836)으로 연락하면 친절히 안내 받을 수 있다.

  • 환경
  • 정대섭
  • 2011.03.30 23:02

[새만금 환경] 전북도·정부·시민사회단체 '새만금 환경' 머리 맞대

전북도와 정부 관계부처, 시민·사회단체 등이 새만금 환경문제를 논(論) 했다.국무총리실 새만금추진기획단이 주최하고 전라북도가 주관한 '새만금 환경 커뮤니티'가 23일 오후 전북도청에서 도와 환경부 공무원, 전북환경운동연합 관계자 등 30여개 기관·단체에서 6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이날 행사는 성공적인 새만금 사업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환경문제를 국민들이 참여하는 거버넌스를 구축, 추진하기 위해 마련됐다.참석자들은 최근 정부에서 발표한 새만금 종합개발계획과 새만금 제2단계 수질대책, 환경변화 등 다양하게 논의했다.환경부는 새만금이 인간과 자연이 함께 공존하는 명품 녹색·수변도시로 조성되기 위해서는 국민들의 참여가 관건이라고 설명했다.또 전주지방환경청은 정기적인 생태변화에 대한 모니터링과 개발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오염사고를 예방할 계획임을 밝혔다.전북환경운동연합 이정현 국장은 "새만금 내부개발 과정에서 수질 및 생태환경 변화가 예상되므로 이 지역 내의 다양한 생물종 보호를 위해서는 습지를 보존하고 해수유통 정밀관리와 조력발전 유치를 적극 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환경
  • 구대식
  • 2011.03.24 23:02

수달 서식지 확산 공식 확인

전주 삼천에 서식하던 수달(천연기념물)이 차에 치여 숨진 채로 발견돼 수달의 서식지가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공식 확인됐다.22일 전주시에 따르면 지난 20일 오후 11시 12분께 효자동 우림교 언더패스 도로변에서 도로횡단 중 통행차량에 치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는 수달이 발견, 전북대 수의과학대에 부검을 의뢰했다.사체의 크기는 1m(몸통 65cm·꼬리 35cm)로 생후 2년된 성체로 분석됐으며, 사체의 경직도가 높은 점으로 미뤄 1~2일전 교통사고로 사망한 것으로 추정됐다.이에 앞서 지난해 11월에는 금암동 시외버스터미널 인근의 전주천에서 길이 60cm가량의 수달이 죽은 채 발견된 점으로 미뤄 전주천과 삼천 일대에 상당수의 수달이 서식하고 있음을 짐작하게 했다.그간 삼천에서는 수달이 생존할 것이라는 추론만 있었을뿐 실체가 확인된 사례는 없었다.환경단체는 전주천을 비롯한 삼천에서도 과거 수달의 족적 등이 발견됐었다고 주장하며, 그간 수집·분석한 데이터를 통해 다수의 수달이 서식 할 것으로 예상했다.이와 관련, 전주시는 지난 3월 전주천과 삼천의 수달 서식 실태 조사를 위한 용역을 발주한 바 있다.전북환경운동연합 김진태 사무처장은 "지난해 가을 삼천 상류에서 수달의 족적이 발견된데 이어 우림교 언더패스에서는 로드킬을 당한 수달의 실체가 확인됐다"며 "현장을 보니 수달이 1회성으로 언더패스를 왕래한 것이 아닌 이곳(언더패스)을 생활 근거지로 삼고 활동 반경을 넓혀가고 있는 것으로 추정됐다"고 말했다.

  • 환경
  • 이강모
  • 2011.03.23 23:02

"하천 보 제거 어류 이동 통로 마련해야"

전주천에 설치된 일부 보들이 사실상 제기능을 상실, 끊어진 물길을 잇고 어류의 이동통로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일부 보들을 제거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세계 물의 날(3월22일)을 앞두고 21일 대한주부클럽연합회전주전북지회가 전주시 완산구 서신동 소비자정보센터 회의실에서 개최한 '시민참여형 수질개선과 하천생태복원 사업의 개선 방향'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은 전주천을 생태하천으로 복원하는 '고향의 강' 사업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 중점적으로 논의했다.이날 오창환 교수(전북대 지구환경과)는 전주천 생태계 복원과 관련, "전주 완산동 초록바위 옆 도로를 터널로 조성해 초록바위와 전주천의 생태축을 연결하고, 또 다가공원 옆 도로의 차도를 철거하고 인도로 조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오 교수는 이어 "현재 복개돼 있는 공수천을 복원해 한옥마을·남부시장·초록바위·구하천으로 연결해야 한다"면서 "공수천이 복원되면 이 일대 생태계가 복원되는 것은 물론 전주천과 천주교 성지인 초록바위, 조팝나무군락 등이 어우러지는 역사·문화적 공간을 창출하고, 더불어 아름다운 천변경관을 연출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오 교수는 또"남부시장 싸전다리 및 보의 경우 이미 용수 공급 기능을 상실, 물길 흐름을 방해하고 어류의 원활한 이동을 제한하고 있다"면서 "한벽보의 어도가 꺾어지는 곳의 벽을 조금 낮게 해 현재 자연적으로 육화돼 있는 곳으로 물이 흘러가게 해 자연스러운 하중도가 만들어 질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또한 한벽루 옛 기찻길 터널 및 생태학습관 도로를 추억의 길로 조성하고 한옥마을과 전주천, 아태재단, 남고산성을 연결할 수 있는 테마로 생태하천을 복원해 추억이 있고, 역사가 함께하는 전주천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이날 토론회에는 오 교수의 제안에 이어 '주민참여형 수질 개선 운동 어떻게 할 것인가?'를 주제로 전북발전연구원 김보국 환경팀장의 제안이 이어졌으며, 한승우 사무국장(전북녹색연합)과 곽동희 교수(서남대학교), 신행순 과장(전북도 물환경관리과), 김진태 사무국장(전북환경운동연합), 윤창호 소장(우리물고기연구소)이 토론을 벌였다.

  • 환경
  • 강정원
  • 2011.03.22 23:02

[전주 지속가능 발전 전략 좌담회] 생태·환경분야 지표와 평가결과

맑은 물과 하천 깃대종의 지속적인 서식 환경은 건강한 생태도시의 필수조건이다. 전주시 생태·환경분야의 지표는 '맑고 푸른 도시' 조성에 초점을 맞췄다. 각 지표는 현장 표본조사와 전수조사·통계 분석 등의 방법으로 결과를 도출했다.▲ 쉬리 노는 곳에 배스야 오지마라도심 하천 전주천의 지표종인 쉬리가 지금 외래종 배스에게 쫓기고 있다.2010년 4차례에 걸쳐 전주천 한벽보와 다가교·백제교 등 6개 지점에서 어류 개체수를 조사한 결과 쉬리는 상류인 완주군 상관면 신리와 중·상류에 해당하는 전주 오목대 부근에서 가장 높은 밀도를 보였고, 장마철에는 도심 백제교 구간에서도 확인됐다. 표본조사 결과 쉬리의 개체수는 2006년 91마리에서 2008년 76마리, 2009년 65마리, 2010년 109마리로 변동폭이 크지 않았다.그러나 전주천 하류 구간에 머물던 외래종 배스가 덕진보 철거 이후 쉬리 서식구간인 백제교까지 거슬러 올라왔고, 개체 수 역시 증가하고 있어 대책이 요구된다. 실제 전주천의 배스는 2006년 한 마리도 발견되지 않았고 2008년 19마리, 2009년 8마리에 그쳤으나 2010년에는 111마리로 1년 사이 14배나 늘었다.▲ 탄소 발자국전주의 푸른 하늘이 매년 늘어나는 화석연료 사용으로 위협받고 있다. 전주시 각 가정에서 나오는 1세대 당 온실가스 배출량은 2005년 '9,624kg CO₂/년'에서 2009년 '10,491kg CO₂/년'으로 증가했다.특히, 자가용 이용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량은 다른 활동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2005년부터 2009년도까지 1세대 당 836kg CO₂의 높은 증가량을 보여주고 있다. 가정활동 부문별 온실가스 평균 배출비율을 살펴보면 자가용 이용이 59%로 가장 많았고, 가정에너지 사용이 38%, 가정 쓰레기 배출이 3%를 차지하고 있다.▲ 전주의 소류지도시 습지인 소류지는 다양한 생물 종들이 안정된 생태계를 이루며 서식하는 곳으로 생태학적 가치가 매우 높은 곳이다. 각 자치단체와 시민단체가 택지개발 등 도시화 정책에 따라 매립되거나 훼손·방치돼 온 도시 소류지 복원·보전에 관심을 쏟는 이유다. 전주에서도 지시제(평화동)·오송제(송천동) 등의 소류지가 생태·친수 공간으로 복원됐다. 그러나 복원의 방향성을 놓고 논란은 계속되고 있다.전주의 소류지는 2004년 59개에서 2009년 55개, 그리고 2010년에는 54개로 줄었다. 또 유역면적은 2004년 2090ha에서 2009년 1969ha, 2010년에는 1913ha로 조사됐다.▲ 노거수 현황살아있는 생명문화재로 불리는 노거수(老巨樹)는 마을과 지역의 역사다. 향토 수종이며 고유의 유전자를 갖고 있는 노거수를 보호·관리하는 것은 지역사회의 임무다.전주시에는 천연기념물 제 355호로 지정된 삼천동 곰솔과 시지정 보호수 25주를 포함해서 모두 99그루의 노거수가 있다. 2010년에는 수령 400년을 넘긴 서완산동 기령당내 느티나무가 고사함에 따라 시지정 보호수가 한 그루 줄었다. 전주의 보호수는 수종별로 느티나무와 은행나무·왕버들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 환경
  • 김종표
  • 2011.03.22 23:02

[전주 지속가능 발전 전략 좌담회] ③생태와 환경

<전주 지속가능 발전 전략 좌담회 - 생태·환경 분과>▲ 일시 및 장소 : 3월 18일, 전주시청 별관 회의실▲ 사회 : 엄성복(전주의제21 사무국장)▲ 토론 : 김임순(전주시 환경과 온난화대책 담당)·김하생(시민행동21 정책기획실장)·박비오(그린에코텍 대표)·박정원(Urban bank 도시연구소 소장)·박종영(전북대 생물과학부 교수)·박창호(푸른전주운동본부 사무국장)·변무섭(전북대 조경학과 교수)·선성진(전주시의회 의원)·이정현(전북환경운동연합 정책기획국장)·최현규(시민행동21 사무처장)도심하천에 쉬리와 수달이 돌아와 생태도시의 전국적 모델이 된 전주. 그러나 생활공간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 속도는 여느 도시와 크게 다르지 않다. 온실가스 감축은 생태도시 전주 시민들이 안고가야 할 과제다. 기후변화에 적극 대응, 살고싶은 친환경 녹색도시를 만들어 가기 위한 적극적인 정책과 시민들의 동참이 요구되는 부분이다.◆ 전주천 깃대종 살리자전주의 하천 건강성을 대표하는 깃대종(지표종)으로는 도심하천 전주천의 이미지를 녹색으로 바꿔놓은 토종 어류 '쉬리'를 꼽을 수 있다. 그러나 지금 전주천의 쉬리는 하류에서 상류로 거슬러 올라오고 있는 외래종 배스로부터 서식지를 위협받고 있다. 지난해 하천 생태계 조사에서도 배스의 개체수가 급격히 늘어난 것으로 나타나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박종영 전북대 교수(생물과학부)는 "전주천이 외래어종 퇴치의 모범사례가 될 수 있도록 시민단체의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박교수는 전주천 배스 퇴치 방안으로 △산란시기 포획과 인공산란장 조성을 통한 알 제거 △산란직후 치어 제거 및 지속적인 성체 제거 노력 △시민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홍보활동 등을 들었다.깃대종은 특정 지역의 생태·문화적 특성을 반영하는 동·식물을 의미한다. 깃대종 복원·보전 노력은 지역 생태계 전체를 살리는 파급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탄소포인트제 참여, 에너지 절약을전주시는 전기와 도시가스 분야를 대상으로 했던 '탄소포인트' 제도를 올부터 상수도까지 확대하기로 했다. 탄소포인트제는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에너지를 절약하는 가정에 일정한 점수(포인트)를 줘 이를 현금처럼 쓸 수 있도록 하는 정책이다. 전주에서는 현재 1만1000여 세대가 탄소포인트제도에 가입한 것으로 나타났다.전주시는 지난해 탄소포인트제 시행으로 이산화탄소 1301톤 감축 효과를 거둔 것으로 추산했다. 이는 50년생 소나무 59만그루를 심은 것과 동일한 효과라는 게 전주시의 설명이다.김임순 전주시 환경과 온난화대책 담당은 "올해는 각 아파트를 순회하면서 탄소포인트제 참여를 적극 독려하고 인터넷을 통해서도 가입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며 "그린리더를 통한 에너지 진단과 교육·홍보활동도 확대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자치단체의 정책 방향과 시민들의 참여 방안도 속속 제시됐다. 이정현 전북환경운동연합 정책기획국장은 "전북혁신도시 일부 구간, 또는 35사단 부지 에코타운 등에 도시형 에너지 자립마을을 조성했으면 한다"고 제안했다.◆ 도시습지 보전, 생태공간으로급속한 도시개발로 하나 둘씩 사라졌던 소류지가 도시 생태공간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전주에서도 소류지를 시민 친수공간으로 조성하는 생태공원화 사업이 속속 추진됐다.변무섭 전북대 교수(조경학과)는 "도시습지 보전을 위해서는 단순하게 드러난 소류지뿐 아니라 물그릇이 어떻게 형성되는지 유역권을 정밀 조사, 도시개발 전에 충분히 검토해야 한다"면서 "보호해야 할 소류지는 이같은 정밀조사 과정에서 시민들이 습지 지킴이 역할을 해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또 전북혁신도시 조성 사례에서 나타난 것처럼 물을 중심으로 한 도시개발이 시대적 트랜드인 만큼, 소류지 보호는 이제 도시계획과 상충되는 개념이 아니라는 지적도 설득력을 얻었다.◆ 푸른 전주, 노거수의 가치를 알리자지역의 역사를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는 살아있는 생명문화재 노거수를 지켜내기 위해서는 보호수 지정 확대 등 자치단체의 노력과 함께 시민들의 관심이 요구된다.김하생 시민행동21 정책기획실장은 "단순한 실태 파악에 그쳐서는 안되며, 노거수의 가치를 알려 주민들이 직접 나무를 지키고 가꿀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면서 "1마을 1노거수 결연 사업도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또 변무섭 교수는 "수령도 중요하지만 마을 주민들의 애환을 간직한 당산나무 등 노거수가 갖는 다양한 가치를 고려, 보호수 지정을 확대해야 한다"고 덧붙였다.이와함께 노거수를 중심으로 한 마을공동체 복원 노력과 스토리텔링이 필요하다는 제안도 관심을 모았다.*전북일보·전주시·전주의제21추진협의회 공동기획

  • 환경
  • 김종표
  • 2011.03.22 23:02

[동진강, 생명의 길을 묻다] (30)새만금 2단계 수질개선 대책과 동진강

동진강과 만경강 등 새만금 유역 하천호소의 수질이 정부 차원에서 중점 관리된다.정부는 지난 16일 제6차 새만금위원회를 열어 '새만금 종합개발계획(Master Plan)' 과 '새만금 유역 제 2단계(2011~2020년) 수질개선 종합대책'을 확정, 앞으로 10년간 새만금 수질 개선을 위해 2조8905억원을 투입하겠다고 밝혔다.동진만경강 수역인 새만금 중상류 지역은 농업용수 공급을 위해 목표수질을 4등급(약간 나쁨)으로, 하류 지역은 관광레저 등 적극적 친수활동 보장과 쾌적한 수변환경 조성을 위해 3등급(보통)으로 설정했다.새만금을 창조적 명품 녹색수변도시로 조성하기 위한 수질개선 사업비의 대부분은 새만금 중상류지역 ▲점오염원 및 비점오염원 저감 ▲축산분뇨 대책 ▲하천 유지용수 확보 등에 쓰인다. 점오염원 대책에는 하폐수 처리시설과 마을하수도 등 환경기초시설 확충 사업, 비점오염원 대책에는 생태하천 조성 및 강변 저류지 설치 사업 등이 포함된다.정부는 최근 5년간(2005~2009년)의 추이를 통해 새만금 유역의 수질관리 여건 변화를 분석, 오는 2020년에는 인구와 젖소돼지가 감소하고 폐수 및 토지한우가금류는 증가할 것으로 추정했다. 또 오염원 배출 부하량은 2009년과 비교해서 2020년에는 BOD(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 2.7%, T-N(총 질소) 2.2%, T-P(총 인) 2.9%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다. 수계별로는 만경강의 배출부하 점유율이 BOD 54.5%, T-N 53.9%, T-P 55.6%로 동진강에 비해 여전히 높을 것으로 분석됐다.만경동진수역의 최근 수질변화 추이를 살펴본 결과 만경강은 2001~2006년 용담댐 방류 및 강우량 증가 등의 영향으로 수질이 다소 개선됐지만, 2007년 이후 악화되어 4등급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비해 동진강은 최근 10년간 큰 변화없이 3등급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에따라 정부는 제 2단계 새만금 유역 수질개선 사업비의 약 80%를 오염부하가 큰 만경강 수계에 조기(2011~2015년) 집중 투자하기로 했다.이에앞서 정부는 제 1단계 새만금 유역 수질보전대책에 따라 2001~2010년까지 1조1859억원을 투자, 하수처리장 및 하수관거 확충(2820km) 사업을 추진했다. 또 전북도에서도 4190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자체적으로 마을하수도 설치와 분뇨처리시설 보강생태하천 조성사업 등을 시행했다.정부는 이같은 1단계 사업을 통해 새만금 유역 환경기초시설을 대폭 확충하기는 했지만, 가축 분뇨와 비점오염원 및 총인(T-P) 관리 대책이 미흡해 당초 기대한 만큼의 수질개선 성과를 거두지 못한 것으로 평가했다.새만금호에 유통되고 있는 바닷물을 민물로 바꾸는 담수화는 2020년을 목표로 추진하되 2015년 상반기까지 오염원 변화와 수질상황 등에 대한 중간평가를 실시, 필요할 경우 추가 대책을 추진하기로 했다.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의 수질예측 모델링 결과 2단계 수질개선 대책의 정상 추진과 담수화 조건에서 2020년 새만금 유역 중상류 구간(농업용지)은 목표수질(4등급)이 달성되지만, 하류 구간(도시용지)은 목표수질(3등급) 달성이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3등급으로 설정된 도시용지 구간 목표수질의 적정성과 달성 가능성에 대해서는 좀처럼 논란이 식지 않고 있다.이에따라 중간평가 시점인 2015년까지 수질이 개선되지 않아 2020년 목표수질 달성이 어렵게 된다면 새만금 해수유통 문제가 또 다시 논란의 중심으로 떠오를 전망이다.

  • 환경
  • 김종표
  • 2011.03.21 23:02

[동진강, 생명의 길을 묻다] 제방·방조제

동진강은 평야지대의 여느 하천처럼 직강공사 등 대규모 치수사업으로 물길의 모습이 크게 바뀌었다. 식량수탈 목적으로 미곡증산 계획을 추진한 일제는 1920년대 중반부터 동진강 일대 치수사업을 본격화, 물가에 둑을 쌓고 강 하구에는 방조제를 축조했다.또한 해방 이후에도 제방축조와 하안정비 공사가 끊이지 않고 계속돼 옛 자연 하천의 모습은 점차 찾아보기 어렵게 됐다. 1920년대 후반 운암제가 준공되고 김제정읍 용수간선 등 대규모 수리시설이 들어섰으며 섬진강수력발전소의 방류수가 흘러나오는 정읍 칠보면 시산리에서부터 강의 거의 모든 유로를 따라서 인공제방이 축조됐다.이에따라 예전의 물길은 찾아보기 어렵게 됐지만 신태인 화호(禾湖)리와 신덕(新德)리,감곡면 삼평(三坪)리, 부량면 신흥(新興)리 등에서는 아직도 곡류하천의 흔적을 찾아 볼 수 있다.새만금 방조제가 완공되고 호수(새만금호) 안쪽에서 방수제 공사가 진행되면서 강 하구와 계화도 간척지에 축조됐던 옛 방조제는 이제 그 기능을 상실했다.옛 방조제는 강의 물길이 크게 확장되면서 바다와 접하게 되는 23번국도 동진대교 인근에서부터 나타난다. 바닷물로부터 간척농지의 염분피해를 막아낸 동진강 하구 방조제는 일제시대 공유수면 간척에 의해 축조됐다. 하구 방조제는 이후 농장보호를 위해 개인이 관리하다가 1963년 12월 '방조제 관리법'이 제정되면서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관리하는 공공 시설물이 됐다.동진강 하구에 접해있는 방조제는 광활방조제와 대창서포도선장계화방조제 등이 있다.김제시 광활면 은파(銀波)리에 위치한 광활(廣活)방조제는 1924년에 준공됐으며 9.5km 길이에 5개의 갑문이 설치됐다. 또 1927년 완공된 대창(大倉)방조제는 김제시 죽산면 대창리 일대 원평천과 신평천 하구 3.7km구간을 잇고 있으며, 길이 5.3km에 이르는 서포(西浦)방조제는 1929년에 준공됐다.부안지역에는 동진면 동전(銅田)리와 장등(長登)리안성(安城)리 6km구역에 설치된 도선장(渡船場)방조제와 계화방조제가 있다. 계화지구농업종합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착공, 1968년 말에 준공된 계화(界火)방조제는 길이 12.8km에 이르는 대규모 제방으로 계화도 간척사업의 든든한 토대가 됐다.

  • 환경
  • 김종표
  • 2011.03.21 23:02

[새만금 수질개선] 전북환경운동연합 성명 "새만금 내부개발계획 유감"

전북환경운동연합은 16일 새만금위원회의 새만금 내부개발계획 발표와 관련, "4대강 사업처럼 예산낭비를 위한 사업이 아닌 지역개발과 주민을 위한 진정한 사업으로 거듭나야 한다"고 성명서를 발표했다.환경운동연합은 "개발안을 보면 새만금 중상류지역은 농업용수 유지를 위해 4등급을 유지하고 하류지역의 담수호지역은 3등급을 유지하겠다는 것이 주 내용"이라며 "현재의 수질을 보면 2007년 이후 만경강 중하류지역은 4등급, 새만금호 역시 최근 3년간 3등급을 유지, 그럼에도 불구하고 각각 4등급과 3등급을 유지하기 위해 2.8조원의 예산을 투입하겠다는 계획은 답답하기 이를 데 없다"고 지적했다.또한 "수질개선과 유지를 위한 해수유통 방안이나 방수제 중단을 통한 전반적인 수질 환경 유지, 만경강주변 비점오염원 저감방안을 통한 수질개선 등 다양한 방안에 대한 도입검토가 배제된 이번 개발계획 확정은 심히 유감스럽다"고 밝혔다.환경운동연합 관계자는 "새만금종합개발계획 발표내용 어디에도 환경에 대한 가치와 중점을 두고 있는 내용을 찾아볼 수 없다"며 "시대착오적인 대규모 토목공사의 허울에 가려진 환경파괴적인 새만금사업의 문제점을 그대로 안고 가기보다는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 환경
  • 이강모
  • 2011.03.17 23:02

[동진강, 생명의 길을 묻다] (29)강 하구의 '길'

바람이 분다. 언제나처럼 새만금엔 바람이 분다. 수년전까지만 해도 그 바람을 타고 수만리를 날아온 도요물떼새가, 그 바람을 타고 한겨울 숭어떼가, 그 바람을 타고 오는 밀물에 작은 배들이 몸을 실었다.지난 11일, 모처럼 따뜻한 봄바람을 맞으며 허철희 부안생태문화활력소 대표와 유칠선 생태해설사, 그리고 두 신입 활동가와 함께 동진강 휴게소 제방에서 출발해서 계화도까지 걸었다.▲새들의 마지막 보루, 학당장돌문포 하구 습지동진대교를 건너 제방 안쪽의 작은 둑길로 길을 잡았다. 이 일대는 고부천을 만나 몸을 불린 동진강이 원평천을 만나자마자 드넓은 갯벌에 몸을 푼 곳이다. 수년 전까지만 해도 갯골을 따라 푸른 강물이 휘감아 흐르고, 육지에서 실어 온 흙과 유기물이 만든 기름진 갯벌이 펼쳐졌다. 그 뒤로 붉은 칠면초와 갈대 군락이 넓게 자리를 잡았던, 우리나라에서 가장 아름다운 하구 습지 중 하나였다.예전에 비할 바는 아니지만 아직도 넓게 펼쳐진 갈대군락은 수면과 어우러져 멋진 경관을 연출해낸다. 농발게와 대추귀고동을 품었던 갈대는 이제 새로운 생명을 품었다. 발을 내디딜 때마다 "푸드덕, 푸드덕" 장끼와 까투리가 여기저기서 솟아오른다. 고라니, 너구리 발자국도 배설물도 흔하다. 먼 길 떠날 채비를 마친 큰기러기는 강 둑 너머 논에서 큰 엉덩이를 들고 먹이를 먹느라 바쁘다. 세계적으로도 2천 마리 밖에 남지 않은 저어새는 새만금에서 겨울을 나느라 스푼 같은 부리로 열심히 강바닥을 젓고 있다.2006년 물막이 이후에도 문포, 장돌, 학당의 갯등은 갈 곳 잃은 도요물떼새는 물론 겨울 철새들이 많이 찾았던 곳이다. 먹이를 섭취할 수 있는 갯벌이 크게 줄어들면서 동진강 하구 문포와 만경강 하구 화포 염습지 갯등이 그나마 먹이를 찾아 헤매는 새들의 숨통을 틔워주었기 때문이다.▲포구, 그 쓸쓸함에 대하여이 같은 평화로운 풍경은 잠시, 방수제 공사 구간이 시작되면서 불도저와 대형 트럭굴삭기의 소음이 바람을 가른다. 마치 4대강 공사장을 방불케 하는 현장은 동진강 방수제 3공구다. 제방 아래 갯벌을 밀어서 평탄화 작업을 하고, 갯등을 퍼올려 제방용 흙을 쌓고 있었다. 강 건너 장돌 학당마을 앞 하구도 공사판이다.새만금 바깥쪽에 33km의 거대한 방조제가 있고, 내측의 평균 수위를 -1.6m로 낮춘 지금, 광활한 면적의 갯등이 추가로 드러났다. 이 땅만으로도 충분해 보이는데 무엇이 급해서 새만금의 생태적 자산을 날려버리는지 안타깝기만 하다. 비상한 기러기떼가 어디에 내려야할지 망설이다 선회 끝에 멀리로 날아간다.한 시간 남짓 걸으니 어느새 국토지리원이 정한 동진강의 마지막 종점부 문포다. 문포는 한 때 쌀을 실어 나르던 동진강의 큰 포구였다. 2006년 새만금 물막이 전까지만 해도 바로 앞 갯벌에서도 생합을 잡고 물고기를 잡았다고 한다. 하지만 옛 포구의 영화는 간데없이 긴 그물을 내리지도 못한 실뱀장어 배와 선외기 몇 대만이 할 일 없이 닻을 내리고 있을 뿐이다. 10여 가구 남짓 남은 동네도 적막하기만하다.▲근대의 흔적을 따라 걷는 길문포에서부터 본격적인 계화 1호방조제 제방 길이다. 왼쪽으로는 넓은 간척평야가 펼쳐져 있고 오른쪽으로는 갯등 사이로 흐르는 푸른 물이 눈에 들어온다. 멀리 심포 거전의 민가사 섬이 보인다. 4대강 공사로 소란스런 금강을 떠나온 가창오리 수 만 마리가 수면에서 휴식을 취하고 있다. 가마우지, 고방오리, 비오리, 홍머리오리. 유칠선 해설사의 설명이 바쁘게 이어진다.제방 아래쪽으로 제방을 보호하기 위해 바다 쪽으로 길게,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쌓여 있는 돌무더기, 풀에 덮여 제방과 한 몸이 된 것처럼 보이는 텅 빈 초소가 인상적이다.시대의 한계를 딛기 위한 기술자들의 노력과 땀방울, 실향민의 눈물과 쓸쓸한 귀향, 소금기 머금은 땅에 남은 농민들의 애환을 떠올리며 걷다보니 어느새 계화 조류지가 내려다보인다. 수변의 갈대 군락과 둑길의 소나무, 200ha에 이르는 수면이 보기가 좋다. 바닷물의 영향으로부터 제방과 간척지 3,968ha를 보호하기 위하여 만들어졌다. 간척 평야와 하구 갯벌, 그리고 넓은 저류지가 한 곳에 있으니 많은 새들이 이 곳을 찾아서 '조수보호구역' 으로 지정되어 있다.제방 길은 계화도 양지 포구에서 끝이 난다. 물때가 사라지고 갯벌이 메말라가면서 만선의 깃발을 달고, 그레를 메고, 경운기에 몸을 싣고 물때에 맞춰 돌아오던 아름답고 숭고한 포구의 풍경은 이제 사진 속에서만 남았다.그런데 근대화의 기억이 고스란히 담긴 아름다운 이 길이 세상에 소개되기 전에 사라질 판이다. 어처구니없게도 내측의 방수제를 쌓는데 필요한 토석을 얻기 위함이란다. 지난해 말 슬며시 2호 방조제를 헐어 내다가 염분 피해 우려와 계화도의 상징을 주민 협의 없이 헐 수 없다는 반발에 막혀 중단된 상태다. 하지만 농어촌공사는 주민들과 합의를 통해 제방을 헐겠다는 입장에 변화가 없으니 안타까울 뿐이다./ 이정현(전북환경운동연합 정책기획국장)

  • 환경
  • 전북일보
  • 2011.03.14 23:02

[동진강, 생명의 길을 묻다] 1960년대 후반 지도를 바꾼 대 역사

동진강 제방 길의 역사는 일제강점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일제는 김제 광활진봉죽산 등의 하구 습지를 간척하기 위해 강 하구에 제방을 쌓아 농로를 냈다. 그리고 박정희 정권은 근대화의 대표사업으로 계화도와 육지를 이어 길을 냈다.계화방조제는 계화도를 기점으로 부안군 동진면 안성리를 연결하는 길이 9,254m의 1호 방조제와 하서면 돈지마을을 이은 3,556m의 2호 방조제로 이뤄졌다. 착공 3년8개월만인 1968년12월31일 완공되었다. 방조제 공사는 지도를 바꾼 대역사이자 토목기술을 한 단계 도약시킨 계기가 되었다.지금은 일반화 된 조약돌자갈모래의 3층 필터 설치나 지반의 세굴을 방지하는 매트리스 공법 등 방조제의 안전성을 높이는 기술이 선보였다. 돌을 철망에 담아 쌓는 돌망태 공법도 이 때가 처음이다. 하지만 처음부터 시도된 기술은 아니었다. 방조제 유실과 지반 침하 등 많은 실패와 시행착오를 통해 얻을 수 있었던 기술이었다.변변한 장비 하나 없이 일제 때부터 간척공사에 사용한 23대의 소형 디젤 기관차에 720대의 토운차를 달아서 하루 2000㎥ 씩 쌓아 나갔다. 기관차를 움직이기 위해 부설된 레일의 길이도 총 연장이 32㎞에 이르렀다. 방조제 사면의 기울기도 밀려드는 파도의 힘을 감당하기 위해 완만하게 시공하고, 일정한 간격 마다 방파제처럼 돌무더기를 쌓았다.방조제의 완성은 끝이 아니라 시작이었다. 계화지구 간척농지 전체 2,467㏊에 실질적인 영농이 가능해진 것은 1983년부터였으니 간척공사가 시작된 지 무려 20년이 지나서야 마침표를 찍을 수 있었다./ 이정현(전북환경운동연합 정책기획국장)

  • 환경
  • 전북일보
  • 2011.03.14 23:02

고창 운곡습지, 습지보호지역 지정

고창 운곡습지가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된다.고창군은 10일 환경부가 고창군 아산면 운곡리 '운곡습지'를 습지보전법에 따라 습지보호지역으로 14일 지정·고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이번에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되는 운곡습지(1.797㎢)는 과거 계단식 논 등으로 개간돼 경작이 이뤄지면서 산지형 저층 습지훼손지역의 전형이었으나, 현재는 생태계의 놀라운 회복과정을 거쳐 원시 습지형태로 복원되고 있는 DMZ와 비교될 만한 생태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곳이다.이 곳은 멸종위기 야생 동물인 수달 등 6종의 보호 동·식물을 비롯해 식물 49종, 포유류 11종, 조류 48종, 양서·파충류 9종 등 모두 549종의 동·식물이 서식하는 대표적인 생물다양성의 보고로 알려진 지역이다. 서식하는 주요 동·식물은 삿갓사초, 사조풀, 고마리, 미꾸리낚시, 검정말, 붕어마름, 달뿌리풀, 이삭사초, 말조개대칭이, 이매패, 청딱따구리, 꾀꼬리 등이다.한편 군은 운곡습지 등록을 위해 2009년 1차 운곡지구 생물조사를 거쳐 2010년부터 2013년까지 90억원을 투자하여 교란식물 제거, 습지체험센터·생태체험장 조성 등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선운사, 고인돌유적지, 운곡습지, 고창갯벌 일대를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받기 위해 연내 신청서를 제출할 계획이다.

  • 환경
  • 김성규
  • 2011.03.11 23:02
사회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