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11-07 13:42 (Fri)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문화 chevron_right 방송·연예

"한국에는 '욘사마'만 있는게 아니랍니다"

스타 중심의 한류(韓流) 붐이 한층 가라앉으면서 한국 문화를 소개하는 다양한 라디오 프로그램들이 일본에서 인기를 모으고 있다. 11일 오사카 한국문화원과 한국관광공사 오사카 사무소 등에 따르면 현재 일본 전역에서 방송되고 있는 한류 관련 정규 라디오 프로그램은 20여개로 추정되며 2005~2006년 한류 붐이 가라앉으면서 오히려 늘고 있는 추세다. 드라마나 영화, 콘서트 등 통한 화려한 비주얼을 중심으로 시작된 한류 붐을 라디오 방송이 이어받아 문화 중심의 한류로 숙성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는 셈이다. 김종호 오사카 한국문화원장은 "최근 들어 한국문화를 소개하는 라디오 프로그램이 급격하게 늘고 있다"며 "붐으로서의 한류를 넘어 실제 한국의 모습을 소개하는 내용들이 많은 만큼 라디오 방송이 차분하지만 깊이 있게 한류를 이어나가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 같은 추세는 한류 열풍의 영향으로 친한파 방송인들이 활발히 활동하게 된 결과이기도 하다. 한국의 대중문화를 즐기던 방송인들이 이젠 한국을 일본에 적극 알리는 한국 홍보대사로 맹활약하고 있는 것이다. 한국 음악 전문가인 후루야 마사유키(35.古家正亨)씨는 한류 이전인 1999년부터 라디오 DJ로 활동해왔다. 그가 진행하고 있는 라디오 일본 전국에 걸쳐 모두 6개나 된다. 현재 홋카이도를 청취권으로 하는 '비트 오브 코리아'나 간사이(關西) 지방의 '한스타일'(Han-StyleㆍFM 코코로), 간토(關東) 지역의 'K제너레이션'(K-Generationㆍ인터 FM) 등 그가 진행하는 한류 프로그램은 일본 전역에 걸쳐 있다. 한국 가수 '토이'를 좋아해 한국 대중음악에 빠지게 된 그는 최근에는 한국 인디 음악을 일본에 소개하기 위해 음반 레이블 '올드 하우스'를 만들기도 했다. 인디 음악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는 만큼 그가 자신의 라디오 프로그램에서 소개하는 한국 가요는 이미 널리 알려진 한류 스타의 노래에서부터 비교적 덜 알려진 홍대 출신 밴드의 음악까지 다양하다. "과거의 한류 팬들보다 어린 10~30대의 젊은 층이 좋아하는 노래를 소개하고 싶다"는 후루야씨는 "대형 연예기획사의 입김이 한류 붐을 일으키는 데에 큰 역할을 했다면 이젠 힘은 없지만 실력이 있는 그런 가수들의 노래로 한류를 이어가고 싶다"고 말했다. 도쿄방송(TBS) 계열의 간사이(關西) 지역 방송인 마이니치 방송(MBS) 방송의 인기 아나운서 야기 사키(八木 早希ㆍ31)씨 역시 라디오 프로그램 '좋아요 한국'을 통해 한국 문화를 소개하고 있으며 인터넷 인터넷 오디오 방송 '괜찮아요 한국어'를 통해 한국어를 알리고 있다. 야기씨의 방송이 이전의 한류 관련 방송과 다른 점이라면 스타 중심이 아니라 실질적인 한국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이다. 한국의 요리나 관광 명소에서부터 한국의 마사지숍에서 쓰이는 한국어 회화 등을 통해 직접 한국을 경험하려는 한류 팬들을 돕고 있다. FM홋카이도의 인기 라디오 프로그램 '비비드 쿨레르'에서 한국 문화를 소개하고 있는 하가 메구미(芳賀惠)씨는 "한국의 생얼굴을 보여주는 게 목표"라고 프로그램에 대해 소개했다. 음식문화에서부터 인테리어,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방법에 이르기까지 한국에 대한 실질적인 정보를 전달하고 있다. "'서편제'를 본 뒤 줄곧 한국영화의 팬이다"고 자신을 소개하는 하가씨는 "한류 열풍이 일었지만 일본인들이 한국의 진짜 모습은 잘 모른다"며 "한류팬이라도 한국 사람들은 매운 것만 먹는다거나 한국에는 배용준 같은 남자만 있다고 착각하는 일본 사람들이 많다. 꼭 그렇지만은 않다는 것을 보여주고 싶다"고 말했다.

  • 방송·연예
  • 연합
  • 2009.06.12 23:02

타카피 "우리 음악은 거친 다큐멘터리"

펑크 록밴드 타카피(김재국 37ㆍ김태일 29ㆍ이성식 27ㆍ김남규 26)는 같은 장르를 대표하는 크라잉넛이나 노브레인에 비해 이름이 덜 알려져있다. 1997년 결성됐으니 올해로 12주년이지만 최근 발표한 '케세라세라'가 고작 5집이다. 발표 음반이 적은 것은 밴드 이름을 지켜내기 위한 고군분투의 시기가 있었기 때문이다. 9일 만난 멤버들은 "타카피라는 이름을 지켜낸 사람은 보컬 김재국 형"이라고 입을 모았다. 나머지 세 멤버는 지난해 새로 합류했기 때문이다. 타카피(TACOPY)는 고려 무신정권 때의 특수군대인 삼별초(三別抄)의 영어식 표기인 '스리 어나더 카피(Three Another Copy)'에서 조합했다. 김재국은 "홍대 언더그라운드에서 활동할 때인 1999년 가수 김범룡 씨가 밴드를 키우고 싶다고 우리를 영입했다"며 "이때 '밴드 이름이 어렵다'고 치킨헤드로 개명하라더라. 1999년 치킨헤드 1집이 나왔지만 소속사가 어려워지며 나오게 됐다"고 말했다. 다시 타카피로 돌아갔지만 2001년 새로이 옮긴 소속사에서도 "'불량 펭귄'으로 개명하는 것이 어떻겠냐"는 제안을 받았다. 김재국은 "소속사에서 펭귄으로 캐릭터 사업을 하는데 우리를 이용하려 했던 것 같다"며 "마지막 논의 자리에서 '계약금을 환불하겠다. 목에 칼이 들어와도 못하겠다'고 했더니 타카피라는 이름을 쓰게 해주더라. 타카피 1집이 2002년 나온 것도 그런 이유"라고 웃었다. 어렵사리 지켜낸 이름이지만 김재국은 2007년 4집 이후 한꺼번에 멤버들이 나가면서 지난해 밴드를 그만두려 했다. 10년 가량 밴드 생활을 하다보니 쉬지 못했고 정신적, 경제적으로도 힘들었기 때문이다. "커다란 목표를 갖고 달린 건 아니지만 제가 생각한 위치에 도달하지 못했다는 자책에 쉬고 싶었어요. 처음에는 음악 자체가 목표였는데 초등학생 아들이 아빠 직업란에 '로커'라고 적는 걸 보고는 돈, 명예가 충족되지 않는다는 생각에 회의가 들었죠." 김재국의 말을 묵묵히 듣고 있던 기타의 김태일은 "지난해초 형을 만났는데 초밥과 돌솥비빔밥 만드는 기술을 배우겠다더라"고 거들었다. "타카피 재건에 힘을 쓴 건 지난해초, 여름에 열릴 펜타포트 록페스티벌 출연 제의를 받았던 때예요. 다시 심기일전했고, 지난해 4월부터 김태일, 드럼의 이성식, 베이스의 김남규가 차례로 합류했죠. 태일이는 운전병 출신인데다 밴드가 타기 좋은 차를 갖고 있었고, 남규는 원래 전공이 기타인데 베이스를 친다며 속이고 들어왔죠. 하하."(김재국)끈기있게 살아남은 덕택에 이들은 한달 평균 10여개 무대를 뛰어다닌다. 5집 타이틀곡 '나는 뜨겁다'와 수록곡 '케세라세라' 등을 부를 때면 객석은 뜨겁게 달아오른다. 한귀에 쏙 들어오는 직설적인 가사와 쉽고 신나는 멜로디는 이들의 최대 무기다. "곡 작업을 할 때면 최대한 순수해지려고 노력해요. 집에도 안 들어가고 노숙하다시피 살죠. 이번 음반 작업 때는 홍대에 처음 발을 들여놓을 때의 기분을 느끼려고 술을 많이 먹으며 '정신줄'을 놓아보려고 했어요. 현실에 얽매이지 않으려고요."(김재국)멤버들은 "살을 붙이려 하기보다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걸 전달하다 보니 영화 '워낭소리' 같은 노래들이 나왔다"며 "우리 음악은 다큐멘터리처럼 투박하고 거칠다. 그런 사운드가 대중의 마음을 뜨겁게 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어린 시절 내면을 들여다본 모던록 곡인 '괴물', 서울역에서 웃고있는 정신이상자를 보고 쓴 전형적인 펑크 곡 '미친년' 등은 타카피 음악의 숨은 명곡이다. 제목은 강하지만 이들의 노래는 따뜻하다.

  • 방송·연예
  • 연합
  • 2009.06.11 23:02

유희열 "TV음악프로 진행 내 영역의 한계"

"TV 음악프로그램 진행이 내가 할 수 있는 영역의 끝이라고 생각했어요. 그래서 욕심을 한번 내본 것이 '스케치북'입니다."지난 4월부터 KBS 2TV '유희열의 스케치북'의 MC를 맡은 유희열이 9일 프로그램 녹화 후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TV 음악프로그램 진행이 자신이 할 수 있는 한계이며 앞으로 예능 프로그램을 맡지는 않을 것이라고 못박았다. 유희열은 "(예능 프로그램과 같은) 음악 외적인 부분에 욕심을 낼까 봐 변화가 두렵다"면서도 "보기보다 고집이 세고 독해서 달라진 것은 별로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이어 '고품격 음악 프로그램'을 표방하는 '스케치북'이 토크쇼로 바뀌고 있다는 일각의 지적을 의식한 듯 "이 프로그램에서 여러 가지 변화된 모습을 보여주는 것은 두렵지 않다"고 덧붙였다. '스케치북'이 결국 음악프로그램일 것이라는 믿음이 있기 때문이라는 것. '유희열의 음악도시', '올댓뮤직', '유희열의 라디오천국' 등 오랫동안 라디오 DJ로 활동해온 유희열은 이번에 '유희열의 스케치북'을 맡으면서 처음으로 TV 음악프로그램 MC를 맡게 됐다. 유희열은 '스케치북'의 장점으로 음악하는 사람이 진행한다는 점을 꼽았다. 음악을 하는 사람이 진행하면 게스트로 나온 음악인들이 은연중에 동질감을 느끼고 편하게 생각해 자연스러워진다는 것이다. 앞으로 초대하고 싶은 게스트로 조용필, 나훈아, 서태지 등 유명 음악인들을 꼽은 유희열은 "무대에서 최선을 다하는 사람이 나왔으면 좋겠다"며 프로그램에 대한 기대를 드러냈다. 이날 간담회에 앞서 진행된 '유희열의 스케치북' 녹화에는 함께 '대규모 공연'에 나서는 김창완 밴드, 크라잉넛, 장기하와 얼굴들 등 밴드 음악인들과 개그맨 박명수와 유재석, 가수 케이윌 등이 게스트로 출연했다. 좋은 자리를 잡기 위해 새벽부터 신관 앞에서 녹화를 기다렸던 일부 방청객들은 게스트를 소개할 때마다 환성을 지르며 열광해 박명수 등 일부 출연진들이 방청객들을 진정시키기도 했다.

  • 방송·연예
  • 연합
  • 2009.06.11 23:02

조셉 칸 "한국말 배워 韓서 영화 찍고파"

세계적인 한국계 뮤직비디오 감독 조셉 칸(본명 안준희.36)은 "손에 땀이 많이 난다"며 손바닥을 바지에 닦고 나서 악수를 청했다. 10일 서울 압구정동의 한 스튜디오에서 만난 그는 비 온 뒤 다소 서늘한 초여름 날씨에도 검은색 가죽 재킷을 걸쳤다. 비즈니스 차 3박4일 일정으로 고국에 왔다는 그는 "2001년 이후 8년 만에 온 한국이 얼마나 변했는지 궁금하다"며 시종일관 유쾌한 표정으로 답변했다. 그는 미국 팝 시장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사로 꼽힌다. 브리트니 스피어스, 재닛 잭슨, 에미넴, 데스티니스 차일드, 레이디 가가 등 유명 팝스타들이 그와 작업했다. 또 보아의 미국 1집 타이틀곡 '아이 디드 잇 포 러브(I Did It For Love)' 뮤직비디오도 그의 작품이다. 화려한 수상 경력도 자랑이다. 1998년 MTV '비디오 뮤직 어워드'에서 브랜디&모니카의 '더 보이 이즈 마인(The Boy is Mine)' 뮤직비디오로 최우수 비디오상을 수상한 게 유명세의 시작. 이어 2002년 그래미 어워드에서 에미넴의 '위드아웃 미(Without Me)' 뮤직비디오로 최우수 비디오상과 최우수 감독상, 2004년 MTV '비디오 뮤직 어워드'에서 브리트니 스피어스의 '톡식(Toxic)' 뮤직비디오로 최우수 비디오상을 거머쥐었다. 할리우드로 진출해 2004년 오토바이 소재 액션영화 '토크(Torque)'로 감독 데뷔도 했다. 그는 한국 비즈니스 파트너인 붐치크엔터테인먼트와의 사업 논의, 삼성전자와 CJ미디어 등 국내 주요 기업과의 미팅, SM엔터테인먼트 이수만 회장과의 미팅을 위해 한국을 방문했다. 재미교포 2세로서 그의 성공 스토리가 궁금했다. "한국에서 태어나 군인인 아버지를 따라 3살 때 미국, 5살 때 이탈리아로 건너갔어요, 9살 때 미국 텍사스로 다시 와 17살 때까지 살았죠. 미국 뉴욕대(NYU)에 진학해 1년 반을 다니다 그만두고 텍사스의 한 극장에서 팝콘 파는 아르바이트를 시작했어요. 이후 필름 비즈니스에 관심을 두게 됐고 1993년 게토 보이스의 뮤직비디오가 첫번째 작품이었죠." 1995년 로스앤젤레스로 온 그는 14년간 400여 편의 뮤직비디오를 촬영했다. 하지만 동양인이 지금의 위치까지 오르기는 쉽지 않았을 터. "데뷔 초기, 록 비디오를 찍고 싶었지만 당시에는 5천 달러로 찍을 수 있는 게 랩 비디오밖에 없었다. 제작비가 적어 위험한 동네에서 촬영하기도 했다"고 웃었다. 당초 꿈은 의사, 만화가였다. "의사가 됐으면 큰일 날 뻔했어요. 손에 땀이 많아 수술 도구를 떨어뜨려 다칠 수 있으니까요. 만화가도 되고 싶었지만 그림을 못 그렸죠. 하지만 필름 메이킹은 제가 시키기만 하면 되잖아요. 하하." 그는 가장 기억에 남는 팝스타로 에미넴을 꼽았다. 최근 발매된 에미넴의 새음반 첫 싱글 '위 메이드 유(We Made You)'의 독특한 뮤직비디오도 그가 작업했다. "에미넴과는 함께 노는 것처럼 즐기며 촬영해요. 보통 다른 아티스트는 보드에 그림을 그리며 계획을 짜지만, 아이디어가 많은 에미넴과는 즉흥적으로 작업하죠."이어 그는 보아와 작업한 소감도 얘기했다. 그는 "한국인은 보아를 자랑스러워 해야 한다"고 극찬했다. "보아는 브리트니 스피어스보다 춤을 잘 춰요. 뮤직비디오도 춤의 어려운 동작을 부각시켜 단순하게 찍고 싶었죠. 보통 가수들은 특정 스텝을 반복하는데 보아는 처음부터 끝까지 다양하고 어려운 춤을 소화했어요. 최근에 본 팝스타 중 춤을 가장 잘 추는 여자 가수였습니다."팝 시장에서 보아 등 동양인의 성공 가능성도 물었다. "충분히 가능성이 있죠. 외모가 좋은 데다, 다른 인종이 갖지 않은 재능도 탁월하니까요. 요즘 한국에서는 미국 교포들의 활동이 많은데, 이들은 언어가 되니 한국에서 트레이닝 받은 후 미국에 진출한다면 성공 가능성이 더 높을 겁니다. 영국식 악센트가 강한 배우 크리스천 베일이 노력 끝에 미국식 악센트로 바꿨듯이 한국인들도 언어 문제를 극복하는 게 관건이죠."그는 뮤직비디오에 국한되지 않고 현재 광고, 영화 등 다양한 영상 분야에서 활동 중이다. 특히 영화에 대한 강한 애정을 드러냈다. 내년에는 두 가지 작품을 구상 중이다. 윌리엄 깁슨의 '뉴로맨서(Neuromancer)'를 원작으로 한 SF액션물과 하이스쿨 코미디물 중 어떤 작업을 먼저 할지는 고민 중이다. 그는 "뮤직비디오와 영화는 100m 달리기와 마라톤에 비교할 수 있다"며 "성공하려면 실패를 경험해야 한다. 쓰러지면서 좋은 작품을 만드는 것이다. 나는 특별한 재능은 없지만 여느 감독과 다른 점은 실패하더라도 그만두지 않는다는 점이다. 여기까지 온 것도 성공했다기보다 포기하지 않은 것"이라고 강조했다. 영화 '태극기 휘날리며'와 '괴물'을 인상적으로 봤다는 그는 "한국 영화 스타일을 배우고 내 작품에 접목하고 싶다. 한국 영화는 코미디, 공포, 액션이 고루 섞였다. 한국 음식도 맵고 달지 않나. '토크'에서도 여러 장르를 섞었는데 미국인들에게는 너무 매웠나 보다"고 웃었다. 인터뷰 말미, 그에게 한국인이라는 정체성이 있는지 물었다. "먼저, 25억짜리 뮤직비디오도 찍어봤다는 점이 아니라 작품의 질에 대한 자부심은 늘 느껴요. 장래에는 한국에서 한국영화를 찍고 싶어요. 지금은 한국말의 단어는 알지만 단어를 조합하면 문장의 뜻을 모르는 수준이죠. 몇년간 한국말을 배워 액션 코미디 영화를 찍고 싶어요."

  • 방송·연예
  • 연합
  • 2009.06.11 23:02
문화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