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11-05 04:54 (Wed)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문화 chevron_right 방송·연예

"녹음실·음향회사 기증"

노래는 추억을 동반한다. 이승철의 공연에서 '희야' '비와 당신의 이야기'에 눈물 훔치는 30~40대 관객이 많은 이유도 그 때문이다.그의 새 공연 브랜드는 '더 타임머신(The Time Machine)'. 그러나 과거가 아닌,미래를 지향한다. 무빙 트러스(Moving Truss)를 이용해 미래적인 이미지를 만들고 히트곡을 일렉트로니카로 편곡해 디지털 사운드를 선보인다. 첫 공연은 5월10일 충남 천안 유관순열사기념관. 이어 5월23~24일 서울 용산 전쟁기념관 평화의광장 무대에 오른 뒤 7월부터 뉴욕ㆍLAㆍ워싱턴ㆍ샌디에이고ㆍ하와이 등 미국 투어에 나선다. 이때 미국에서 녹음해 최근 음반 전속 계약을 한 CJ미디어를 통해 9~10월께 음반을 발매할 예정이다. 일본 매니지먼트는 배용준의 소속사인 BOF와 구두 계약을 한상태다. 그는 국내에서 첫손에 꼽히는 보컬리스트답게 공연 얘기를 할 때면 음향에 대한남다른 애정을 과시한다. 루이레코딩스튜디오(녹음실)에 이어 25억 원을 투자해 음향전문회사인 루이사운드를 설립한 것도 그 때문이다. 영화관이나 가정용 홈시어터에서 접한 고감도 음향시설인 '5.1 돌비 서라운드 시스템'을 이번에도 선보인다. "이 시스템으로 공연하기 위해선 음원을 모두 다시 녹음해야 하죠. 녹음 스튜디오와 음향회사가 없으면 엄청난 비용이 들어요. 녹음실과 음향회사를 만든 건 제 음악인생에서 가장 잘한 일인 것 같아요. 음악적인 욕심을 편안하게 낼 수 있는 이유죠." 향후 녹음실과 음향회사는 예술대학 엔지니어스쿨 등에 기증할 것이란 계획도 귀띔했다. 하나 남은 욕심이 있다면, 공연 전용극장을 갖는 것. 그는 "1천200석 규모의 공연장을 갖고 싶다"며 "10년 안에 미사리 인근에 한전아트센터 규모로 계획하고 있다. 서커스 '퀴담'의 내한 때 공연장이던 천막을 사고 싶었다. 공연장 대관이 너무 힘드니까, 고수부지에 천막 쳐놓고 공연하고 싶더라"고말했다. 관객을 위한 서비스를 강화해 명품 공연을 만들겠다는 의지도 밝혔다. 일종의 감동 마케팅이다. 시작 전 공연장을 찾으면 페스티벌처럼 느끼도록 물풍선 놀이, 솜사탕, 음료 등을 공연장에 마련하고 음료, 케이크 등이 구비된 VIP 관객용 라운지를 준비한다. 또아이를 동반한 관객을 위한 유아방도 갖춘다. "서비스가 기본이 되는 공연 문화가 돼야 해요. 기본적인 것들이 갖춰질 때 관객은 더 크게 감동받거든요. 예를 들어 가수도 마찬가지죠. 국내 방송 환경은 정말 발전했는데 안 바뀐 것 딱 하나가 대기실이에요. 의자 두 개에 물병 하나, 너무 서글퍼요. 일본에서는 있을 수 없는 일이죠." '되는 사람만 된다'는 빈부 격차가 큰 공연업계에서 그가 지속적으로 공연할 수있는 원동력은 역시 관객. "제 공연은 95%가 처음 오거나 5~6년 만에 나들이한 분들이에요. 한편으로는 웃기는 얘기죠. 아직도 시장의 고객이 많다는 거니까요. 그럼에도 전 5%의 골수 팬을 위해 계속 콘셉트를 바꿔야 하죠."

  • 방송·연예
  • 연합
  • 2008.04.30 23:02

이재룡, SBS '이재룡 정은아의 좋은 아침' 새 MC

"시청자들이 우리 프로그램을 보면서 '정말 매일매일 좋은 아침이구나' 하는 생각이 들 수 있도록 진행하겠습니다." 28일 오후 경기도 고양시 탄현 SBS 제작센터에서 공개한 '이재룡 정은아의 좋은아침'의 첫 녹화에서 탤런트 이재룡(44)은 "유쾌하고 즐겁고 흐뭇한 프로그램이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사람 좋은 미소를 지었다.1999년 MBC의 '선택 토요일이 좋다'의 MC 이후 연기에만 전념해오던 이재룡은 5월5일부터 '좋은 아침'을 통해 9년 만에 MC로 시청자들을 다시 만난다."MC를 다시 맡게 돼 너무 좋고 무엇보다 정은아 씨, 조형기 씨와 함께 하게 돼 든든하고 '좋은 아침'을 더욱 좋게 만들 수 있을 것 같다." 이재룡은 "제작진이 전임 MC인 김승현 씨가 그만두게 됐다면서 제게 후임을 제안했다. 가을에는 드라마도 한 편 들어가서 부담이 되기도 했지만 아내인 유호정 씨가 적극적으로 하라고 해서 흔쾌히 맡았다"고 말했다. 남편의 MC 복귀를 적극적으로 후원한 유호정(39)은 이날 남편의 첫 녹화에서 첫게스트로 직접 나서 부부금실을 과시했다. 유호정은 "남편이 MC로서의 재능이 많다고 평소 생각했는데 한동안은 본인이 MC보는 것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 것 같아 강요는 하지 않았다. 그런데 이번에 좋은 기회가 와서 추천보다는 거의 강요에 가깝게 맡으라고 했다"며 수줍게 웃었다. "주부의 심정을 굉장히 잘 아는 게 남편의 장점이에요. 편안하게 진행할 것 같고 보는 분들도 공감을 많이 할 것 같아요." 이재룡은 "사실 첫 번째 손님으로 아내가 나오는 게 좀 그렇긴 한데 또 생각해보면 첫 녹화에 그가 안 나오면 누가 나오나 싶더라"면서 "늘 같은 편에서 얘기를 하다가 오늘은 반대편 라인에서 서로 얘기를 해야하니 좀 부담스럽긴 하지만 잘해보겠다"고 말했다. 연예계 대표적인 잉꼬부부인 두 사람은 1995년 결혼, 7살 아들과 4살 딸을 뒀다.이재룡은 "결혼 생활이 이 프로그램 진행에 많은 도움이 된다. 또 어려서부터 MC를 보면서 연기에도 많은 도움이 된다고 느껴왔다. 그동안 여러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많은 도움을 얻었던 것 같다"면서 "우리 어머님이 매일 아침 날 TV에서 볼 수 있게 됐다며 무척 좋아하신다"며 웃었다. 유호정은 "남편은 자상한 아빠이자 친구 같고 동생 같다"며 "사람을 아주 편안하게 해주고 뭐라고 딱 말하긴 그렇지만 순간순간 재치가 넘쳐 내 친구들이 더 좋아한다. 같이 있으면 심심해할 시간을 별로 안 주니 인기가 아주 높다"고 말했다. 이재룡이 MC를 맡게 되면서 '좋은 아침' 제작진은 은근히 이재룡-유호정의 연예계 인맥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이재룡은 "출연 강요는 않는다. 그러나 과거 내가 진행하는 프로그램에 친구들이 출연하지 않으면 수년 간 불이익을 보게했다"며 놈담을 했다. 유호정은 "이재룡 씨가 MC를 맡게됐다는 소식을 듣자 신애라 씨 등 친구들이 자진해서 먼저 출연하겠다고 얘기해주고 자기 일처럼 기뻐해줘 고맙다"고 말했다.

  • 방송·연예
  • 연합
  • 2008.04.29 23:02

KBS 방송 금지곡 418곡 해제

KBS는 방송 부적격으로 분류했던 418곡을 금지곡에서 해제했다.KBS는 28일 "과거에 방송 부적격으로 방송이 금지됐던 가요 1천55곡을 재심의해418곡을 금지곡 목록에서 해제했다"고 밝혔다.418곡 가운데는 박상민의 '무기여 잘 있거라'(외설 퇴폐 불륜), 조용필의 '이끌어주오'(외국곡), 서태지의 '1996년 그들이 지구를 지배했을 때'(가사 부적격), 한대수의 '과부타령'(가사 부적격), 윤도현의 '이 땅에 살기 위하여'(가사 부적격) 등유명 가수의 곡도 포함돼 있다. 해제곡들에 대해 KBS는 "체제 부정 등으로 방송 부적격 판정을 받았으나 현 시점에서 현실성이 없거나, 외설ㆍ퇴폐 등으로 부적격 판정을 받았지만 그 내용이 비교적 심하지 않은 노래들"이라면서 "나머지 637곡은 표절, 가사 내용 저속, 간접광고 등 공영방송에서 방송하기가 부적합한 내용인 것으로 판정돼 다시 부적격 결정이내려졌다"고 덧붙였다.이번에 재심의된 1천55곡은 1995~2000년 사이 방송 심의규제에 묶여있던 부적격가요들이다. KBS는 2004년에도 1965~1994년 당시 공연윤리위원회 시절의 방송금지 가요였던 1천46곡을 재심의해 676곡을 방송 금지곡에서 해제한 바 있다.한편 MBC도 1991~2000년 방송사 자율 심의 조치에 따라 방송 금지했던 가요에 대해 금지곡 해제 여부를 놓고 심의작업을 진행하고 있다.MBC 심의평가부의 한 관계자는 "1991~2000년 MBC가 방송 부적격 판정을 내린 후지금까지 금지곡으로 묶여 있는 곡은 약 300곡 정도인데 그 후로 8년의 세월이 흐르며 시대상황이 바뀌어 지금도 이 노래들을 금지하는 것이 과연 적절한지를 놓고 심의 작업을 하고 있다"면서 "올해 말께 관련 작업을 마무리한 후 구체적인 결과를 공식적으로 알릴 계획"이라고 말했다.

  • 방송·연예
  • 연합
  • 2008.04.29 23:02

한국인 비보이, 할리우드 영화 주연 되다

한국인 비보이가 주연으로 출연하는 할리우드 영화가 처음 제작된다. 장경호(25)를 리더로 한 비보이팀 겜블러(Gambler)는 파라마운트 픽처스가 제작ㆍ배급하는 비보이 영화 '하이프 네이션(Hype Nation)'에 미국 유명 힙합그룹 B2K와주연으로 출연한다. 알렉스 칼자티(Alex Calgatti) 감독이 연출을 맡았고 우피 골드버그 등이 출연하기로 정해졌다. 여주인공으로는 한국인 배우를 물색하고 있다. 음악감독은 1990년대 인기를 누린 그룹 블랙스트리트(Blackstreet) 리더 출신이자 마이클 잭슨, 전 레전드, 푸시캣 돌즈 등의 음반 프로듀서로 활약한 테디 라일리(Teddy Rileyㆍ42)가 맡는다.또 테디는 한국 등 아시아 가수를 발굴해 미국에 진출시킬 것이며 이를 위해 오디션 프로그램 '드림 차일드(Dream Child)'를 제작해 아시아와 미국 등지에서 방송할 예정이다. 이같은 프로젝트를 공개하기 위해 테디와 파라마운트 픽처스의 변호사인 브렛 루이스(Bbret Lewis), 파라마운트 픽처스의 제작 계열사인 용 필름의 용 리 씨가 내한, 28일 오전 11시30분 서울 메리어트호텔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국내에서는 겜블러의 소속사인 DR뮤직이 참여한다. 이 영화는 한국에서 60%, 미국에서 40% 촬영되며 겜블러와 B2K가 춤 배틀을 벌인다 것이 기둥줄거리. 겜블러는 6월1일 미국으로 들어가 B2K와 합숙하며 안무를 완성할 예정이다. 용 리 씨는 "1년 전 영화를 기획했고 한국의 비보이 수준이 세계적이란 걸 안다"면서 "미국에서 7월 중순 촬영을 시작한 뒤 한국에서 8월 중순 촬영을 거쳐 내년 1월 개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3년간 가족과 시간을 보내기 위해 가수와 프로듀서 활동을 잠시 쉬었다"는 테디는 아시아에 대한 큰 관심을 드러냈다. 그는 "세계 음악의 중심이 아시아로 쏠리고 있으며 이를 이끄는 나라가 한국으로 알고 있다"며 "향후 아시아에서 세계적인 스타가 나올 것이라고 믿는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을 방문한 느낌을 작곡해 기자회견장에서 선보이기도 했다. 이어 "'아메리칸 아이돌' 같은 신인 발굴 오디션 프로그램을 아시아에서 기획해신인들을 미국 시장에 진출시키겠다"며 "영어와 음악을 가르칠 것이고 미국적인 것보다 아시아적인 매력을 부각시키고 싶다"고 덧붙였다.

  • 방송·연예
  • 연합
  • 2008.04.29 23:02

KBS2 '1박 2일', 오락 프로그램 최신 트렌드 이끌어

복불복(福不福). '복분(福分ㆍ복을 누리는 분수)의 좋고 좋지 않음'이라는 뜻으로 사람의 운수를 이르는 말이다. 요즘 신세대는 복불복을 간단한 사례를 통해 이해하기도 한다. 최근 여러 포털사이트의 검색 코너에 오른 '복불복이 무슨 뜻인가요?'라는 질문에 대한 대부분의 답변은 '1박2일'이다."쉽게 말하자면 행운 아니면 불운이라는 것입니다. '1박2일'에서는 복이 있으면안에서 자고 복이 없으면 밖에서 잔다는 뜻입니다"라는 식이다.◇'복불복'의 힘 이게 다 '1박2일'의 인기 때문이다. 많은 사람들이 '복걸복'으로 잘못 쓰던 '복불복'. 그러나 이 단어는 KBS 2TV '해피선데이'의 '1박2일' 코너를 통해 어린아이까지 쉽게 쓰는 국민적인 유행어로 바뀌었다.'1박2일'에서는 가장 중요하다고 볼 수 있는 '먹고 자는 문제'를 바로 복불복 게임으로 정한다. 예컨대 같은 색깔의 음료수 중에서 간장을 뽑으면 차가운 텐트에서, 콜라를 뽑으면 따뜻한 방에서 잠을 자는 운명의 게임이다.'1박2일'의 팬들은 "'1박2일'을 지금의 자리까지 만든 일등공신은 복불복 게임"이라면서 "복불복이여 영원하라"고 외쳤다. 이러한 인기에 힘입어 각 오락프로그램에서 복불복이 응용되고 있다. MBC에브리원은 이경규의 '복불복쇼'라는 프로그램을 신설했다. 지식이나 상식과 상관없이 오직 느낌과 눈치만으로 퀴즈를 푸는 프로그램이다. 전통의 복불복이 오락프로그램의 최신 트렌드를 이끌고 있다. ◇원초적 본능 복불복은 '1박2일'에서 제 이름을 찾았지만 완전히 새로운 것은 아니다. '1박2일'의 경쟁 상대라고도 할 수 있는 '무한도전'에 등장했던 물공 헤딩, 소금 빙수 등도 복불복의 원리를 담은 게임이다. 그러나 오래 전부터 존재하던 이 단순무식한 게임이 '1박2일'을 통해 비로소 전성기를 맞았다. 복불복이 시청자를 사로잡는 것은 '복'이냐 '불복'를 선택하는 긴장감, '불복'을 피하기 위한 몸부림, 그리고 결과에 따라 천당과 지옥을 오가는 출연진의 표정까지 어느 하나 버릴 것이 없다. 특히 모든 것이 만들어낸 것이 아닌 살아있는 웃음이라는 점이다. 한 시청자는 "가학성 논란도 있지만 복불복 게임에서 나오는 출연자들의 원초적인 모습이야말로 복불복의 묘미"라고 주장한다. ◇단순함의 미덕 이러한 원초적인 단순함은 '1박2일'의 콘셉트인 야생성과도 코드가 통한다. '1박2일'의 이명한 PD는 "6명의 남자가 야생에 적응하고 체험하는 과정을 담는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최소한의 장치를 설정하고 복잡하지 않으며 단순하고, 원초적으로 접근하고자 했다"고 '복불복 게임'을 도입한 이유를 밝혔다.프로그램의 인기가 입증하듯 복불복이라는 장치는 성공적이었다. 복불복은 멤버의 생생한 반응을 이끌어내며 보는 재미를 배가했다.이 PD는 "'복불복'이라는 장치가 복잡하거나 사람 손이 많이 탄 것이라면 출연자들의 반응도 불편했을 텐데 간단하고 군살 없는 접근이 잘 맞았다"고 분석했다.

  • 방송·연예
  • 연합
  • 2008.04.28 23:02
문화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