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해진 유민 김제 이주지 공원사업 확정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해상왕 장보고 대사 재조명 사업의 기본계획에 김제시와 전남 완도군이 함께 반영 돼 탄력을 받고 있는 벽골제 역사 공원화 사업의 일환인 청해진 유민 벽골제 이주기념 공원사업이 가시화 되고 있다.9세기 동북 아시아의 제해권을 장악하면서 한·중·일 등 3국의 무역을 주도했던 장보고 대사에 대한 역사적인 재조명 사업과 기념사업이 그동안 범정부 차원에서 추진되어 왔다.이에 김제시도 장보고 대사의 본거지가 청해진 이었으나 청해진이 폐쇄되면서 그 주민들이 강제로 이주당한 곳이 바로 벽골군(현,김제)임을 상기, 장보고 대사의 업적을 재조명하고 장보고 해상세력이 강제 노역한 벽골제의 역사적·문화적 의미를 찾고자 해양수산부와 완도군 관계자, 언론사, 학계 전문가 등 저명인사들을 초청하여 좌담회와 국제심포지엄을 개최하는 등 벽골제와 장보고 대사의 연관성을 알리는데 주력했다.그 결과 지난 2천년 부터 올해까지 5개년 연차사업으로 청해진 유민 이주지 발굴(학술)용역사업, 벽골제 역사공원 조성 타당성 조사 및 기본설계 용역, 벽골제 역사 공원부지 조성비, 기념관 건립 등의 사업을 장보고사업 기본계획에 반영시키는 성과를 거두었다.금번 벽골제 역사공원화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청해진 유민 벽골제 이주기념 공원사업은 김제시 부량면 신용리 벽골제 주변 7천2백여평에 오는 2천6년까지 총사업비 10억원을 투자, 청해진 이주민 광장조성·장보고 테마 연못조성·유민 행적도 및 상징 배 모형도 제작·기타 주차장 등 편의시설 사업을 추진 할 계획이다.그러나, 이번 공원사업의 원활한 사업추진을 위해서는 국비 지원율을 현 50%에서 70%로 확대함과 동시 10억원의 사업비를 최소 15억원으로 늘려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또한 사업비의 조기 지원과 현재 아리랑문학관에 있는 청해진 이주기념비를 기념공원내로 이전해야 하며 청해진 주민 활동상의 부조 및 동상, 장보고 역사자료 안내실 건립 등이 이뤄져야 완벽한 청해진 유민 벽골제 이주기념 공원사업이 된다는게 관계자들의 주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