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주 토종생강 조성지, 생태계 보고 확인
국가중요농업유산으로 지정된 완주 토종생강 조성지 일대에서 멸종위기 야생동물을 비롯 100여 종의 동식물이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돼 향후 농업유형별로 지표종을 선정해 농업생물종을 보존하고, 서식지를 관리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특정 생물과 희귀 동식물 보존을 위한 안내판과 보호펜스 설치, 시민참여 교육을 통한 환경보전 활동도 요구된다.
완주군 용역으로 국가중요농업유산 제13호 완주 생강 전통농업시스템 중장기 보전관리 체계 구축 및 활용계획 수립 용역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주)누리넷과 동국대는 지난 29일 완주군에 제출한 중간용역보고서를 통해 완주 토종생강의 시범포 조성지에서 100여 종의 동식물과 희귀식물이 서식하고, 멸종위기 야생동물도 출현하고 있다며 적극적인 관리 필요성을 제시했다.
용역 보고서에 따르면 완주군 봉실산 주변 구릉지대와 고산천 평야지대에 있는 완주 토종생강 시범포 조성지 3곳을 대상으로 늦여름인 9월 5일과 6일, 가을 초입의 10월 7일과 8일 등 4회 현장조사에 나선 결과 90여 종의 식물이 분포하고 100여 종의 육상곤충이 출현했다.
주요 식물은 국화과가 15.6%로 가장 높았고, 벼과 11.5%, 콩과 7.3%, 메꽃과와 현삼과 각각 6.3% 등이었으며, 환삼덩굴과 쇠비름, 깨풀 등 전국 경작지에 흔히 생육하는 터주식물이 분포했다.
희귀식물인 약관심종 새박도 유기농업지에서 서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리쟁이와 별꽃, 토끼풀 등 국내에 유입되어 야생화 된 귀화식물 30여 종도 확인됐다.
육상곤충 역시 한국 고유종인 산바퀴와 큰집게벌레, 모메뚜기, 방아깨비 등 15종을 포함하여 무려 105종이 분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주요 목별로는 노린재목이 29.5%로 가장 많았고, 나비목 18.1%, 메뚜기목과 딱정벌레목 각각 12.4%, 파리목 11.4% 등의 순이었다.
조류는 꿩과 검은댕기해오라기, 황로, 왜가리, 중대백로, 쇠백로 등 9목 17과 26종이 확인됐으며,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인 새호리기 1종은 생강 재배지 일대에서 확인됐다 .
이밖에 청개구리와 참개구리 등 양서류 2종과 유혈목 등 파충류 1종, 족제비와 고라니 등 포유류 2종이 확인됐다.
용역 관계자는 전통농업지와 유기농업지, 관행농업지 등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식물은 51~61종이 분포했으며, 육상곤충은 34~71종이 서식했고, 조류와 양서류, 파충류와 포유류 등의 서식지 적합 여부도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서식지 보존 관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완주생강 조성지의 다양한 생태계가 구체적 수치로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박성일 완주군수는 토종생강 시범포 조성지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생물 다양성이 살아 있음을 확인한 만큼 보존과 관리방안 등을 마련해 나갈 것이라며 향후 생강 전통농업시스템의 보존과 활용 계획도 수립하고 주민 주도의 운영체계 구축에 적극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